목차
1. 서론
2. 본론
(1) 체벌의 유형
(2) 체벌의 실태
(3) 체벌에 대한 두 가지 견해
(4) 체벌에 대체해서 해 볼만한 것들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체벌의 유형
(2) 체벌의 실태
(3) 체벌에 대한 두 가지 견해
(4) 체벌에 대체해서 해 볼만한 것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체벌에 대체해서 해 볼만한 것들
① 1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 - 예)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산만할 때 모두 일으켜 세웠다가 10초 뒤쯤에 앉히는 방법
② 재미있는 몸짓하게 하기 - 예) 한 학생이 유난히 떠들 경우 의자를 뒤로 들고 가서 그 의자 위에 올라선 채 자유의 여신상을 흉내내게 하는 방법
③ 손잡고 운동장 한바퀴 돌기 - 예) 조별로 손을 잡게 한 후 나란히 서서 운동장을 한 바퀴만 돌고 오게 하는 방법
④ 업어주기 - 예)둘씩 짝을 지은 다음, 서로 업어주면서 정해진 거리까지 교대로 갖다 오게 하는 방법
⑤ 노래부르게 하기 - 예)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에게 노래를 시켜 분위기 전환하는 방법
⑥ 시 외우게 하기
⑦ 책읽고 글쓰게 하기 - 예) 감동적인 책
⑧ 불러다가 1:1 대화하기
⑨ 남아서 선생님과 함께 퇴근하기 - 예) 수업이 끝난 후 짐을 정리해서 교무실로 오게 하여 옆자리에 앉혀 놓고 책 읽게 하는 방법
⑩ 교장실에서 1시간정도 머물러 있게 하기
⑪ 공익광고 - 예) 학생에게 잘못한 일과 관련된 구호를 만들게 한 다음 다른 반 교실로 보내서 웃는 얼굴로 인사하게 하고 구호를 큰 소리로 외치게 하는 방법, 구호의 끝은 ‘~합시다’투가 아니라 ‘~함께해요’투로 하면 구호가 부드러워져서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방법 William Glasser, 『좋은 학교』,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1.06.25, 169쪽
3. 결론
지금까지 체벌에 대한 유형, 실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측면, 체벌을 대체해서 해볼만한 것들을 알아 보았습니다. 체벌이 꼭 나쁘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어느정도의 체벌은 교육에 있어서 필요하다고는 생각 됩니다. 하지만 체벌이라는 이름으로 과도한 체벌을 한다면 그것은 폭력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좀더 긍정적인 대안을 찾고 학생과 교사간에 갈등이 완화 되어 무너지는 교실, 체벌로 인한 불화스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교사는 아이들을 아끼고 위하는 마음이 있고 학생들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체벌이 가해진다면 위험수위는 넘지 않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김경회, 『체벌의 실태와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12.30.
김호권이성진이상주, 『학교가 무너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2000.04.30.
William Glasser, 『좋은 학교』,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1.06.25.
① 1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 - 예)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산만할 때 모두 일으켜 세웠다가 10초 뒤쯤에 앉히는 방법
② 재미있는 몸짓하게 하기 - 예) 한 학생이 유난히 떠들 경우 의자를 뒤로 들고 가서 그 의자 위에 올라선 채 자유의 여신상을 흉내내게 하는 방법
③ 손잡고 운동장 한바퀴 돌기 - 예) 조별로 손을 잡게 한 후 나란히 서서 운동장을 한 바퀴만 돌고 오게 하는 방법
④ 업어주기 - 예)둘씩 짝을 지은 다음, 서로 업어주면서 정해진 거리까지 교대로 갖다 오게 하는 방법
⑤ 노래부르게 하기 - 예)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에게 노래를 시켜 분위기 전환하는 방법
⑥ 시 외우게 하기
⑦ 책읽고 글쓰게 하기 - 예) 감동적인 책
⑧ 불러다가 1:1 대화하기
⑨ 남아서 선생님과 함께 퇴근하기 - 예) 수업이 끝난 후 짐을 정리해서 교무실로 오게 하여 옆자리에 앉혀 놓고 책 읽게 하는 방법
⑩ 교장실에서 1시간정도 머물러 있게 하기
⑪ 공익광고 - 예) 학생에게 잘못한 일과 관련된 구호를 만들게 한 다음 다른 반 교실로 보내서 웃는 얼굴로 인사하게 하고 구호를 큰 소리로 외치게 하는 방법, 구호의 끝은 ‘~합시다’투가 아니라 ‘~함께해요’투로 하면 구호가 부드러워져서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방법 William Glasser, 『좋은 학교』,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1.06.25, 169쪽
3. 결론
지금까지 체벌에 대한 유형, 실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측면, 체벌을 대체해서 해볼만한 것들을 알아 보았습니다. 체벌이 꼭 나쁘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어느정도의 체벌은 교육에 있어서 필요하다고는 생각 됩니다. 하지만 체벌이라는 이름으로 과도한 체벌을 한다면 그것은 폭력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좀더 긍정적인 대안을 찾고 학생과 교사간에 갈등이 완화 되어 무너지는 교실, 체벌로 인한 불화스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교사는 아이들을 아끼고 위하는 마음이 있고 학생들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체벌이 가해진다면 위험수위는 넘지 않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김경회, 『체벌의 실태와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12.30.
김호권이성진이상주, 『학교가 무너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2000.04.30.
William Glasser, 『좋은 학교』,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1.06.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