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천」― 천상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귀천」― 천상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루는 개념들에 따라 인생이라는 소풍길이 계속적으로 아름다울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2. 결론
본 논문에서는 천상병의 작품 「귀천」을 인지 의미론적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화자가 인지 대상을 인지하는 태도와 자세,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화자가 인지 대상, 인지 행위, 인지 심리 등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밝혔으며, 나아가 이들이 작품의 전체적인 의미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폈다. 이상으로 앞에서 논의된 것들을 요약함으로써 견론을 내리고자 한다.
이 시는 죽음을 편안하고 가벼운 존재로써 대하며 죽음에 대해 초월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화자가 회귀하려고 하는 하늘은 죽음의 세계이며, 지향의 세계다. 그러나 이 작품은 죽음을 전혀 어둡거나 침울하지 않고 오히려 아름답게 생각할 만큼 맑고 곱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적자아는 천상의 공간을 지향하면서도 지상적 삶의 인연을 결코 버리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삶을 사랑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작품은 시인의 인생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인이 하늘로 돌아간 지 수년이 지나도 땅은 이 시를 잊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 작품은 삶과 죽음에 대해 달관하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죽음을 정신적으로 승화시키려는 의지를 동심의 세계를 바탕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귀천」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의의를 두며, 앞으로 「귀천」이라는 시가 인지학적 측면뿐 아니라 다양하게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강성미. 『천상병 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p.8
조태일,「민중언어의 발견」, 『창작과 비평』, 1972. 봄.
이양섭,「천상병시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2.
김용직,『正名의 美學』, 지학사, 1986. 384쪽.
이만교, 「천상병 시 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5
김석준, 「시인의 운명 -천상병론」,『시안』,제 11권, 서울; 시안사, 2001, pp. 238 참고
박남희, 「老莊的 思惟의 두 가지 모습」, 『한국시학연구』 제 7호, 한국시학회, 2002, pp.154쪽 참 고
천상병, 「귀천」, 『새』, 1970, 창작과 비평, pp. 48~49
김종호, 「천상병 시의 의미구조 연구 -<새><하늘>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제101권, 1999. pp. 212 ~ 231 참조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8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