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01. 전통적 이론
1.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theory)
2. 인간관계 이론(신고전적 조직이론)
3. 관료제론(Max Weber(1947))
4. 시스템이론
02. 현대적 이론
1. XㆍY이론과 Z이론
2. 목표관리론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3. 총체적품질관리론(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4. 임파워먼트(empowermemt) 이론
5. 상황(contingency) 이론
참고문헌
01. 전통적 이론
1.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theory)
2. 인간관계 이론(신고전적 조직이론)
3. 관료제론(Max Weber(1947))
4. 시스템이론
02. 현대적 이론
1. XㆍY이론과 Z이론
2. 목표관리론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3. 총체적품질관리론(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4. 임파워먼트(empowermemt) 이론
5. 상황(contingency) 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참여과정을 통하여 조직 단위와 구성원들에게 측정 가능하고 1년 미만의 비교적 단기적인 목표를 명확하고 체계 있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생산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며 활동의 결과를 평가, 환류 시키는 관리체계이다.
전반적인 경영관리 방법으로 제안되었지만 인사평가에서도 많이 활용.
3. 총체적품질관리론(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품질 향상을 위한 관리기법의 하나로서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키고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조직 구성원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그들 스스로 서비스 생산의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고객중심, 팀워크,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중요하다.
TQM의 6가지 기본요소
품질은 조직의 1차적인 목적이다.
고객은 ‘품질이 무엇인가?’라는 것을 결정하는 사람이다.
고객 만족은 조직을 좌우한다.
조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원인 및 내용을 이해한다.
조직 내에서 변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고관리층의 절대적 관심이 있어야 한다.
4. 임파워먼트(empowermemt) 이론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권한을 실무자에게 이양한다.
책임 범위를 분산·확대시킴으로써 그들의 잠재능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토록 만드는 관리기법이다.
실질적인 권한의 이양과 활동을 지지함으로써 개인의 능력과 의욕을 극대화 시키는 기술이다.
즉 주니어 사회복지사가 주니어 사회복지사에게 권한을 강화시켜줌으로서 직무에 더욱 몰입 할 수 있도록 하여 창의성과 잠재능력을 개발하여 주며 그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상황(contingency) 이론
조직 여건(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상황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이론이다.
모든 조직에 두루 효과적인 조직·관리 방법은 없다.
때문에 효과적인 조직·관리 방법은 조직의 외부환경에 좌우된다.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와 형태를 만드는 것이 현실적이다.
예측 가능한 환경 속의 조직은 위계서열적 조직이 적합하다.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 속의 조직은 탄력적인 구조가 적합하다.
참고문헌
신복기, 박경일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남일재, 문명주 외 저,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정민사 2011
강용규, 김형수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강종수 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학지사 2011
김영종 저,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0
전반적인 경영관리 방법으로 제안되었지만 인사평가에서도 많이 활용.
3. 총체적품질관리론(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품질 향상을 위한 관리기법의 하나로서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키고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조직 구성원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그들 스스로 서비스 생산의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고객중심, 팀워크,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중요하다.
TQM의 6가지 기본요소
품질은 조직의 1차적인 목적이다.
고객은 ‘품질이 무엇인가?’라는 것을 결정하는 사람이다.
고객 만족은 조직을 좌우한다.
조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원인 및 내용을 이해한다.
조직 내에서 변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고관리층의 절대적 관심이 있어야 한다.
4. 임파워먼트(empowermemt) 이론
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권한을 실무자에게 이양한다.
책임 범위를 분산·확대시킴으로써 그들의 잠재능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토록 만드는 관리기법이다.
실질적인 권한의 이양과 활동을 지지함으로써 개인의 능력과 의욕을 극대화 시키는 기술이다.
즉 주니어 사회복지사가 주니어 사회복지사에게 권한을 강화시켜줌으로서 직무에 더욱 몰입 할 수 있도록 하여 창의성과 잠재능력을 개발하여 주며 그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상황(contingency) 이론
조직 여건(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상황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이론이다.
모든 조직에 두루 효과적인 조직·관리 방법은 없다.
때문에 효과적인 조직·관리 방법은 조직의 외부환경에 좌우된다.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와 형태를 만드는 것이 현실적이다.
예측 가능한 환경 속의 조직은 위계서열적 조직이 적합하다.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 속의 조직은 탄력적인 구조가 적합하다.
참고문헌
신복기, 박경일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남일재, 문명주 외 저,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정민사 2011
강용규, 김형수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강종수 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학지사 2011
김영종 저,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0
추천자료
신 공공관리론-도입,성격,내용,비평
우리나라의 행정개혁속의 신공공관리론
공공부문의 개혁과 신 공공관리론의 이론적 기초
(공공관리론)공공성과 리더십의 특징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조직에 적합한 리...
뉴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 비교
[공공관리론]공공성과 리더십의 특징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조직에 적합한 리...
거버넌스,신공공관리론,참여정부의국가발전전략
2008년 1학기 공공관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발생주의, 현금주의, 수정발생주의)
행정학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의 비교 요약자료
데일카네기의 자기관리론
[유통관리론] 훼미리마트(Family Mart)와 편의점
뉴거버넌스와 신공공관리론을 비교하라
[사례관리론] 장애인 노예부부의 빼앗긴 10년
행정학원론 -지식관리론과 전자정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