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몸에서 몸으로 그러한 것을 느낄 수 있다. 조금 더 좋은 방법은 형식과 낭만이 모두 담겨 있는 것인데, 어떤 형식에 갖히면 감정을 표현 하기 힘들고 감정을 중시하면 형식을 맞춰서 예술을 표현할 수 없으므로 이 둘을 절충하는 것은 비현실적으로 보인다. 인식론은 우리가 살면서 또는 살아가면서 인식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이 부분에서는 하르트만의 양극단의 중간적 입장에 있는 점이 가장 올바른 인식론이라고 보여진다. 물론 감각을 통해서 우리는 사물을 인식 할 수 도있고 항상 이성적으로 모든 실체를 바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을 생각해 보자. 우리는 어떤 사물을 인식할 때 사물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기존의 어떤한 관념 편견등의 이성과 함께 인식한다. 이런 점에서 하르트만의 중간적 입장이 인식론에서 가장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식은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것이다. 이 지식과 사회의 관계를 잘 아는 것이 우리에게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모든 철학자들이 항상 주관적인 진리를 띄고 있듯이 위의 나의 생각은 단순한 주관적 의견이라고 봐주셨으면 한다.
추천자료
서구사상의 원류 (희랍시대의 서양 철학의 특징)
죤 듀이의 실용주의 사상과 체육철학
헬레니즘 (Hellenism) 시대의 교육과 철학을 중심으로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교육정의와 기능, 실용주의와 교육철학(교육사상), 사회재건주의와 실...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본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역할, 진보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의 법철학
삶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기반으로서 철학 -쇼펜하우어와 에피쿠로스 학파를 중심으로-
[심층생태론, 심층생태주의, 심층생태론 개념]심층생태론(심층생태주의)의 개념, 심층생태론(...
동양철학(동양사상)과 묵가, 동양철학(동양사상)과 효사상, 동양철학(동양사상)과 노장사상, ...
[삼성][삼성그룹][삼성그룹 경영][삼성그룹 기업경영][삼성그룹 국제경영]삼성(삼성그룹) 경...
[동양][동양 동양학][동양 묵자사상][동양 노장사상][동양 미술][동양 한국화][동양 무도]동...
[존 듀이] 존 듀이(John Dewey) 실용주의, 존 듀이(John Dewey) 실험학교, 존 듀이 교육사상,...
플라톤에서 미야자키 하야오까지 [과학과 자연철학 그리고 문화]
아베로에스와 이중 진리론 그리고 중세 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