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1인 미디어란
기존 미디어(media)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나 도구 등을 의미하는 신문, 방송, 잡지 등의 대형 미디어에 대표적으로 의미를 부여한다면, 1인 미디어는 대형 미디어가 아니지만 개인의 목소리를 다수의 독자들에게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에 붙여준 이름이다.
2. 블로그어원과 시작
1) 블로그의 어원
블로그(blog) : Web + log = b + log = blog
blog는 블로그는 Weblog의 줄임말입니다. \'블로그\'는 Web(웹) + log(일지)의 합성어로 웹의 b와 log가 합쳐진 말입니다. log는 사전의 뜻풀이로 \'항해일지\' \'여행일기\'라는 뜻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통신에 접속하는 것을 말하죠.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을 로그인(log in), 접속을 끊는 것을 로그아웃(log out)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blog에서 log는 인터넷(=웹)이라는 바다에서 사용하는 \'항해일지\'나 \'여행일기\'를 뜻합니다. 항해일지 여행일기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블로그는 일지(=일기) 형태라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로그는 곧 네티즌이 웹에 기록하는 일기나 일지를 뜻합니다. 무엇을 기록할지는 사용자 마음입니다. 주제를 정해 깊은 사회적 문제나 영화에 대해 다룰 수도 있고, 개인의 사소한 일상생활을 다룰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곧 \'블로그\'입니다.
블로그(Blog: Web과 log의 합성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7년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됐으며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 빠른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싸이월드와 블로그를 구분하기란 사실 쉽지는 않지만 블로그는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2) 블로그의 시작
자기 관심에 따라 자유로이 정보를 올리는 개인 웹사이트인 블로그의 특성상 누가 처음 블로그를 만들었느냐에 대해서는 아무도 자신 있게 말하지 못한다. 하지만 보통 1997년 4월 뉴요커인 데이브 와이너가 만든 스크립팅 뉴스를 블로그의 원조로 본다. 와이너의 웹사이트는 처음에 자신이 그 날 하루 방문한 웹사이트의 리스트를 늘어놓은 데 불과했다. 그러나 시시한 출발에도 불구하고 이 사이트는 마음이 맞는 네티즌들이 즐겨 찾는 곳의 하나가 됐고, 새로운 인터넷 혁명을 불러오는 출발점이 되었고 1999년에 이르러서야 블로그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
3. 블로그의 특징
블로그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르고 정확한 생생한 미디어라는 것이다.
1) 가장 빠른 매체
인터넷은 이제 가장 빠른 매체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로 찍은 각종 자료와 함께 전쟁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림으로써 실상을 전했습니다.
인터넷으로 바로바로 올라오는 글들은 신문, 방송보다 훨씬 빠른 소식을 당사자의 입장에서 생생하게 전합니다. 여러 가지 매체 중에서도 인터넷 홈페이지가 가장 빨랐고, 그 중에서도 블로그가 가장 빨랐습니다. 일반적인 홈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문서를 꾸민 뒤에 FTP로 올리는 과정이 있어 빠른 소식을 즉각적으로 전하기에 불편합니다. 또한 기존의 게시판 형태는 즉시 글을 올릴 수 있지만 제목을 클릭해야만 내용을 볼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블로거들이 운영하는 블로그 사이트는 첫화면만 접속해도 가장 빠르게 블로거가 전달하는 전쟁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블로그는 가장 빠른 매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2)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사실과 감정을 전달하는 매체
블로그는 빠를 뿐만 아니라 직설적이고 진솔합니다. 개인이 자신의 보고 느낀대로 쓰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이라크인들은 바그다드의 현황을 생생하게 기록했습니다. 폭탄이 떨어지고 집이 무너지고 아비규환이며 불안한 하루밤을 자신의 보고 느낀 사실과 감정 그대로 생생하게 전했습니다. 물론 바그다드의 블로거만 블로그를 운영한 것이 아닙니다. 미국 군인 가족들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군인 가족으로 각자가 보고 들으며 느낀 점을 적었습니다.
기존 미디어(media)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나 도구 등을 의미하는 신문, 방송, 잡지 등의 대형 미디어에 대표적으로 의미를 부여한다면, 1인 미디어는 대형 미디어가 아니지만 개인의 목소리를 다수의 독자들에게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에 붙여준 이름이다.
2. 블로그어원과 시작
1) 블로그의 어원
블로그(blog) : Web + log = b + log = blog
blog는 블로그는 Weblog의 줄임말입니다. \'블로그\'는 Web(웹) + log(일지)의 합성어로 웹의 b와 log가 합쳐진 말입니다. log는 사전의 뜻풀이로 \'항해일지\' \'여행일기\'라는 뜻입니다.
컴퓨터에서는 시스템에 접속하거나 통신에 접속하는 것을 말하죠.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을 로그인(log in), 접속을 끊는 것을 로그아웃(log out)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blog에서 log는 인터넷(=웹)이라는 바다에서 사용하는 \'항해일지\'나 \'여행일기\'를 뜻합니다. 항해일지 여행일기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블로그는 일지(=일기) 형태라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로그는 곧 네티즌이 웹에 기록하는 일기나 일지를 뜻합니다. 무엇을 기록할지는 사용자 마음입니다. 주제를 정해 깊은 사회적 문제나 영화에 대해 다룰 수도 있고, 개인의 사소한 일상생활을 다룰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곧 \'블로그\'입니다.
블로그(Blog: Web과 log의 합성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7년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됐으며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 빠른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싸이월드와 블로그를 구분하기란 사실 쉽지는 않지만 블로그는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2) 블로그의 시작
자기 관심에 따라 자유로이 정보를 올리는 개인 웹사이트인 블로그의 특성상 누가 처음 블로그를 만들었느냐에 대해서는 아무도 자신 있게 말하지 못한다. 하지만 보통 1997년 4월 뉴요커인 데이브 와이너가 만든 스크립팅 뉴스를 블로그의 원조로 본다. 와이너의 웹사이트는 처음에 자신이 그 날 하루 방문한 웹사이트의 리스트를 늘어놓은 데 불과했다. 그러나 시시한 출발에도 불구하고 이 사이트는 마음이 맞는 네티즌들이 즐겨 찾는 곳의 하나가 됐고, 새로운 인터넷 혁명을 불러오는 출발점이 되었고 1999년에 이르러서야 블로그라는 이름을 얻게 됐다.
3. 블로그의 특징
블로그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르고 정확한 생생한 미디어라는 것이다.
1) 가장 빠른 매체
인터넷은 이제 가장 빠른 매체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로 찍은 각종 자료와 함께 전쟁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림으로써 실상을 전했습니다.
인터넷으로 바로바로 올라오는 글들은 신문, 방송보다 훨씬 빠른 소식을 당사자의 입장에서 생생하게 전합니다. 여러 가지 매체 중에서도 인터넷 홈페이지가 가장 빨랐고, 그 중에서도 블로그가 가장 빨랐습니다. 일반적인 홈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문서를 꾸민 뒤에 FTP로 올리는 과정이 있어 빠른 소식을 즉각적으로 전하기에 불편합니다. 또한 기존의 게시판 형태는 즉시 글을 올릴 수 있지만 제목을 클릭해야만 내용을 볼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블로거들이 운영하는 블로그 사이트는 첫화면만 접속해도 가장 빠르게 블로거가 전달하는 전쟁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블로그는 가장 빠른 매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2)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사실과 감정을 전달하는 매체
블로그는 빠를 뿐만 아니라 직설적이고 진솔합니다. 개인이 자신의 보고 느낀대로 쓰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이라크인들은 바그다드의 현황을 생생하게 기록했습니다. 폭탄이 떨어지고 집이 무너지고 아비규환이며 불안한 하루밤을 자신의 보고 느낀 사실과 감정 그대로 생생하게 전했습니다. 물론 바그다드의 블로거만 블로그를 운영한 것이 아닙니다. 미국 군인 가족들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군인 가족으로 각자가 보고 들으며 느낀 점을 적었습니다.
추천자료
현대 사회의 'Day문화' 현상 분석과 올바른 발전 방향 모색
[퓨전][퓨전문화][퓨전음식][퓨전요리]퓨전(퓨전문화)의 개념, 한국 사회의 퓨전(퓨전문화), ...
[현대의 서양문화 B형] 현대서양의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에서 비서구 사회에도 널...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의 유연화전략 추진 배경과 분석
[현대의서양문화 A형] 푸코의 ‘판옵티콘’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이 한병철의 ‘투명사회’에서 ...
[사회문제] 세계 여러 나라들의 빈곤의 원인과 해결방안 (정치부패, 산업화에 따른 도시인구,...
교육사회학 정리 - 임용고시 대비 {기능주의,갈등주의,학교 위기론,학력상승이론,정의와 평등...
[현대의서양문화 C형] 서양의 공공조형물(혹은 기념조형물) 중에서 이러한 성격을 반영하고 ...
(현대의서양문화 C형) 글로벌리즘과 신자유주의의 사회, 경제적 환경 속에서 팝아트에서부터...
현대의서양문화4A) 푸코의 판옵티콘 개념을 설명하고 그것이 한병철의 『투명사회』에서 어떤...
사회 현상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계층과 계급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에서 계급과 계층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