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체적 명료화의 의미
Ⅱ. 구체화 작업과 탐색
Ⅲ. 명료화 질문
Ⅳ. 집단상담 기법으로서 명료화와 질문
Ⅴ. 전문적 구체성의 5수준
Ⅵ. 명확화 기법의 연습
Ⅱ. 구체화 작업과 탐색
Ⅲ. 명료화 질문
Ⅳ. 집단상담 기법으로서 명료화와 질문
Ⅴ. 전문적 구체성의 5수준
Ⅵ. 명확화 기법의 연습
본문내용
돈스럽거나 또는 완벽하지 않다면-종종 스트레스 순간에-나머지 집단원들은 그녀를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떤 집단원들은 흥미를 잃고 혼란스러워지기 시작한다.
출처:제 4판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ED E. Jacobs·Robert L. Masson·Riley L. Harvill 지음. 김춘경 옮김 p..147~p.149
Ⅴ. 전문적 구체성의 5수준
수준 1: 상담자는 상대방의 문제 상황에 대해 오직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 반응을 보인다. 상담자는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의 감정, 경험, 행동에 대해서는 논의하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는다.
수준 2: 상담자는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의 감정, 경험, 행동에 대해 언급하기는 하나 언급이 모호하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수준 3: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문제상황과 관련된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나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들이 충분이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논의되지는 않는다.
수준 4: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이를 충분히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논의 되도록 의사소통을 이끌어 나간다.
수준 5: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이 아주 충분히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논의 되어 지고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의 긍정적 변화를 위하여 깊은 수준의 탐색을 적극적으로 촉진한다.
출처: 상담연습교본이장호, 금명자 p86~87
Ⅵ. 명확화 기법의 연습
상담 장면에서 상담사의 기본적 태도는 상대방에 대해 전면적으로 주목하는 것과 열심히 듣는 것이다. 상담사의 이런 태도는 상담내용에 대해 내담자가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담자가 자신의 고민을 명확히 하고 구체화 하는 작업을 도와주는 지원은 상담에서 매우 중요하다.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보자.
연습) 1. 얼마 전 동창회에 갔었는데 모처럼 만나는 자리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데 모두 자기 이야기만 하고 가버리더군요. 좋은 친구를 사귀는 게 쉽지 안군요, 고향에는 좋은 친구들이 많은데....
해설 명확화에는 다음 네 가지 방법이 있다.
①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응답 예: 동창회에 기대를 하고 나갔다. 그런데 생각했던 모습은 아니었고, 모두 자기 밖에 모르는 것 같아서 당황했고 씁쓸하다는 느낌이..
② 무엇에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지를 명확히 한다.
응답 예: 당신을 정말로 힘들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동창회에 대한 불만인지, 아니면 친구관계에 대한 문제인지...
③ 정확하게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정보이기 때문에 더욱 구체적으로 물어본다.
응답 예: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줄 수 있겠습니까?
④ 어떠한 기분인지를 명확히 한다.
응답 예: 동창화의 분위기가 생각했던 그런 것이 아니어서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기분이 좀 침울했는지, 아니면 좀 씁쓸했는지, 그래서 고향친구가 그리워지는 느낌이 들었는지 궁금하군요.
명확화 기법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내담자로부터 들었던 내용을 요약해서 상담사가 이해한 것이 정확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담사는 이야기의 톤이나 어조, 주요 표현의 반사 등을 통해 자신이 이해한 것을 내담자에게 확인한다.
연습) 2 다음 내용은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의 상담내용이다. 명확화 기법으로 대응해 보자.
내담자: 3학년에 올라갈 자신이 없어요. 공부도 힘들고 친구들에게 또 괴롭힘을 당할까 봐 두려워요.
명확화의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각 목적에 따른 명확화를 시도해 보자.
① 문제인식에 대한 명확화
그렇군요. 자신감을 잃어버렸군요. 그런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잃어버렸는지?
② 문제의 본질에 대한 명확화
자신감도 없다. 공부도 힘들고, 친구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할까 봐 두렵기도 하고.. 도대체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요?
③ 부족한 정보에 대한 명확화
자신감이 없다고 하는 것이 공부나 친구관계의 문제를 말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다른 문제라도 있는 건지?
④ 기분의 명확화
공부나 친구 때문에 불안하고 자신감도 잃어버리고 힘이 나지 않는다는 느낌을 갖고 있는 모양이군요?
명확화의 유도에서 주의해야할 점
1) 이야기를 못하는 타입의 사람, 자신에 대해 이야기를 못하는 사람은 무언가 명쾌하지 않고 표면적인 표현밖에 못한다. 또한 자신의 이야기를 포장해서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대개 사실을 과장되게 표현하기도 한다. 반대로 자신을 낮추어서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것은 자신을 실제보다 나쁘게 그리고 낮게 표현하는 경우이다. 명확화 기법을 사용할 때는 표현된 내용이 내담자가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지를 확인해야한다. 그리고 그 진실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어 제 3자의 진실, 문제당사자의 진실, 피해자, 가해자, 지원자의 진실을 각각 검토해서 전체를 통합한다.
2) 상담에 대한 저항이 강한 경우는 먼저 라포 형성을 위한 노력을 한다.
3) 상담사는 자신의 직감으로 느낀 부분이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등이 있으면 반드시 확인이나 질문을 통해 정확한 이해를 위한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4) 상담사는 자신의 실수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상담사의 이해가 부족하거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내담자가 보충 내지 수정해 주거나 정확한 정보를 알려 준다.
출처: 상담심리학 현정환 p247~p.250
[참고 문헌]
박초이. 학교폭력의 유형별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P5 .2006
상담핵심기법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한재희 교수. P36~P37
상담의 과정과 대화기법 신경진, p309~p333
심리상담과 치료 기본 기술 -Christiane Brems 지음. 조현춘 , 이근배 옮김, p.225~p.229
제 4판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ED E. Jacobs·Robert L. Masson·Riley L. Harvill 지음. 김춘경 옮김. p.147~p.149
상담연습교본이장호, 금명자. p86~87
상담심리학 현정환. p247~p.250
출처:제 4판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ED E. Jacobs·Robert L. Masson·Riley L. Harvill 지음. 김춘경 옮김 p..147~p.149
Ⅴ. 전문적 구체성의 5수준
수준 1: 상담자는 상대방의 문제 상황에 대해 오직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 반응을 보인다. 상담자는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의 감정, 경험, 행동에 대해서는 논의하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는다.
수준 2: 상담자는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의 감정, 경험, 행동에 대해 언급하기는 하나 언급이 모호하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수준 3: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문제상황과 관련된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나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들이 충분이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논의되지는 않는다.
수준 4: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하고 이를 충분히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논의 되도록 의사소통을 이끌어 나간다.
수준 5: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제 상황과 관련된 상대방 자신의 감정, 경험, 행동이 아주 충분히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논의 되어 지고 의사소통자는 상대방의 긍정적 변화를 위하여 깊은 수준의 탐색을 적극적으로 촉진한다.
출처: 상담연습교본이장호, 금명자 p86~87
Ⅵ. 명확화 기법의 연습
상담 장면에서 상담사의 기본적 태도는 상대방에 대해 전면적으로 주목하는 것과 열심히 듣는 것이다. 상담사의 이런 태도는 상담내용에 대해 내담자가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담자가 자신의 고민을 명확히 하고 구체화 하는 작업을 도와주는 지원은 상담에서 매우 중요하다.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보자.
연습) 1. 얼마 전 동창회에 갔었는데 모처럼 만나는 자리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데 모두 자기 이야기만 하고 가버리더군요. 좋은 친구를 사귀는 게 쉽지 안군요, 고향에는 좋은 친구들이 많은데....
해설 명확화에는 다음 네 가지 방법이 있다.
①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응답 예: 동창회에 기대를 하고 나갔다. 그런데 생각했던 모습은 아니었고, 모두 자기 밖에 모르는 것 같아서 당황했고 씁쓸하다는 느낌이..
② 무엇에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지를 명확히 한다.
응답 예: 당신을 정말로 힘들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동창회에 대한 불만인지, 아니면 친구관계에 대한 문제인지...
③ 정확하게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정보이기 때문에 더욱 구체적으로 물어본다.
응답 예: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줄 수 있겠습니까?
④ 어떠한 기분인지를 명확히 한다.
응답 예: 동창화의 분위기가 생각했던 그런 것이 아니어서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기분이 좀 침울했는지, 아니면 좀 씁쓸했는지, 그래서 고향친구가 그리워지는 느낌이 들었는지 궁금하군요.
명확화 기법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내담자로부터 들었던 내용을 요약해서 상담사가 이해한 것이 정확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담사는 이야기의 톤이나 어조, 주요 표현의 반사 등을 통해 자신이 이해한 것을 내담자에게 확인한다.
연습) 2 다음 내용은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의 상담내용이다. 명확화 기법으로 대응해 보자.
내담자: 3학년에 올라갈 자신이 없어요. 공부도 힘들고 친구들에게 또 괴롭힘을 당할까 봐 두려워요.
명확화의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각 목적에 따른 명확화를 시도해 보자.
① 문제인식에 대한 명확화
그렇군요. 자신감을 잃어버렸군요. 그런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잃어버렸는지?
② 문제의 본질에 대한 명확화
자신감도 없다. 공부도 힘들고, 친구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할까 봐 두렵기도 하고.. 도대체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요?
③ 부족한 정보에 대한 명확화
자신감이 없다고 하는 것이 공부나 친구관계의 문제를 말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다른 문제라도 있는 건지?
④ 기분의 명확화
공부나 친구 때문에 불안하고 자신감도 잃어버리고 힘이 나지 않는다는 느낌을 갖고 있는 모양이군요?
명확화의 유도에서 주의해야할 점
1) 이야기를 못하는 타입의 사람, 자신에 대해 이야기를 못하는 사람은 무언가 명쾌하지 않고 표면적인 표현밖에 못한다. 또한 자신의 이야기를 포장해서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대개 사실을 과장되게 표현하기도 한다. 반대로 자신을 낮추어서 표현하는 사람도 있다.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것은 자신을 실제보다 나쁘게 그리고 낮게 표현하는 경우이다. 명확화 기법을 사용할 때는 표현된 내용이 내담자가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지를 확인해야한다. 그리고 그 진실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어 제 3자의 진실, 문제당사자의 진실, 피해자, 가해자, 지원자의 진실을 각각 검토해서 전체를 통합한다.
2) 상담에 대한 저항이 강한 경우는 먼저 라포 형성을 위한 노력을 한다.
3) 상담사는 자신의 직감으로 느낀 부분이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 등이 있으면 반드시 확인이나 질문을 통해 정확한 이해를 위한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4) 상담사는 자신의 실수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상담사의 이해가 부족하거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내담자가 보충 내지 수정해 주거나 정확한 정보를 알려 준다.
출처: 상담심리학 현정환 p247~p.250
[참고 문헌]
박초이. 학교폭력의 유형별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P5 .2006
상담핵심기법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한재희 교수. P36~P37
상담의 과정과 대화기법 신경진, p309~p333
심리상담과 치료 기본 기술 -Christiane Brems 지음. 조현춘 , 이근배 옮김, p.225~p.229
제 4판 집단상담 전략과 기술 ED E. Jacobs·Robert L. Masson·Riley L. Harvill 지음. 김춘경 옮김. p.147~p.149
상담연습교본이장호, 금명자. p86~87
상담심리학 현정환. p247~p.25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