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고의 발생
2. 사고개요
3. 사고 원인조사
1) 재해요인파악
2)사고원인
4. 특성요인도
1) 특성요인도란
2) 특성요인도 작성방법
3) 특성요인도 그리기
5. 느낀점
2. 사고개요
3. 사고 원인조사
1) 재해요인파악
2)사고원인
4. 특성요인도
1) 특성요인도란
2) 특성요인도 작성방법
3) 특성요인도 그리기
5. 느낀점
본문내용
) 특성요인도 그리기
5. 느낀점
1. 사고의 발생
2일 오전 8시50분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 장남교 신축 공사현장 남단 적성방향 55m 지점(총길이 593m)에서 다리 상판이 무너져, 사고
2. 사고 개요
근로자 14명이 15m 아래로 추락해 2명이 숨지고 12명이 부상
일부 부상자는 무너진 상판에 깔려 생명이 위독
3. 사고원인조사
1) 재해요인 파악
① 사고 원인과 부실시공 등에 대한 조사
② 조사는 가설물 지지대에 이상 유무와 함께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무게 균형이 맞았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③ 태풍으로 인해 지지대에 변형이 왔는지 등도 함께 강도 높게 조사
④ 설계 적격심사
2) 사고원인
① 시공사인 태영건설은 새로운 특허공법으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공사를 수주했지만 예산은 오히려 늘어났고 사고만 초래
② 시공관리, 시공사나 감리사의 안전 미확인
-안전점검 및 확인검사 소홀
③ 상부슬래브 콘크리트 타설과정의 시공순서를 잘못해 발생
- 직접적인 사고 원인은 상부슬래브용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상현 부재가 과도한 압축력에 의해 좌굴돼 교량 상부구조 전체에 과도 한 변형이 일어나면서 교량 받침에서 이탈해 떨어진 것으로 분석 했다. 또 이러한 좌굴 현상은 잘못된 시공순서에서 비롯됐다고 사 고조사위원회는 덧붙였다.
④ 상판이 자체 무게를 견디지 못해 붕괴
⑤ 안전에 대한 부주의
4. 특성요인도
1) 특성요인도란?
-문제되고 있는 특성(Process의 결과)과 그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되는 요인(원인이 되는 것)과의 관계를 계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린 그림.
-문제의 해결, 개선을 위한 관리에 유용한 수법
2) 특성요인도 작성 순서
STEP 1 : 특성(문제점)을 명확하게 설정
STEP 2 :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큰 가지) - 주로 4M 혹은 5M으로 분류
STEP 3 : 원인 마디의 작은 요인을 층별 하여 추정(작은 가지)
STEP 4 : 특성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도를 결정
3) 특성요인도 그리기
5. 느낀점
특성 요인도는 현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으려고 할 때 매우 효과적이며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직접 그려보니, 한눈에 볼 수 있어 편하고 간단해서 좋은 것 같다.
또한 재해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원인과 그 관계를 토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
5. 느낀점
1. 사고의 발생
2일 오전 8시50분께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 장남교 신축 공사현장 남단 적성방향 55m 지점(총길이 593m)에서 다리 상판이 무너져, 사고
2. 사고 개요
근로자 14명이 15m 아래로 추락해 2명이 숨지고 12명이 부상
일부 부상자는 무너진 상판에 깔려 생명이 위독
3. 사고원인조사
1) 재해요인 파악
① 사고 원인과 부실시공 등에 대한 조사
② 조사는 가설물 지지대에 이상 유무와 함께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무게 균형이 맞았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③ 태풍으로 인해 지지대에 변형이 왔는지 등도 함께 강도 높게 조사
④ 설계 적격심사
2) 사고원인
① 시공사인 태영건설은 새로운 특허공법으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공사를 수주했지만 예산은 오히려 늘어났고 사고만 초래
② 시공관리, 시공사나 감리사의 안전 미확인
-안전점검 및 확인검사 소홀
③ 상부슬래브 콘크리트 타설과정의 시공순서를 잘못해 발생
- 직접적인 사고 원인은 상부슬래브용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상현 부재가 과도한 압축력에 의해 좌굴돼 교량 상부구조 전체에 과도 한 변형이 일어나면서 교량 받침에서 이탈해 떨어진 것으로 분석 했다. 또 이러한 좌굴 현상은 잘못된 시공순서에서 비롯됐다고 사 고조사위원회는 덧붙였다.
④ 상판이 자체 무게를 견디지 못해 붕괴
⑤ 안전에 대한 부주의
4. 특성요인도
1) 특성요인도란?
-문제되고 있는 특성(Process의 결과)과 그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되는 요인(원인이 되는 것)과의 관계를 계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린 그림.
-문제의 해결, 개선을 위한 관리에 유용한 수법
2) 특성요인도 작성 순서
STEP 1 : 특성(문제점)을 명확하게 설정
STEP 2 :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큰 가지) - 주로 4M 혹은 5M으로 분류
STEP 3 : 원인 마디의 작은 요인을 층별 하여 추정(작은 가지)
STEP 4 : 특성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도를 결정
3) 특성요인도 그리기
5. 느낀점
특성 요인도는 현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으려고 할 때 매우 효과적이며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직접 그려보니, 한눈에 볼 수 있어 편하고 간단해서 좋은 것 같다.
또한 재해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원인과 그 관계를 토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각종 접지실태 및 기준과 배전선로시설물 등에 관한 관계자료, 산업재해 현황 및 분석
학교내 사회복지 기능과 위기개입 서비스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집단 의사결정 연구
무너지고 있는 공교육
[소방행정]소방 화재진압업무의 수행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일본경제][장기불황][버블경제]일본경제에 대한 개관, 일본경제의 장기불황 발생, 일본경제...
김정일의 사망을 통해본 북한체제의 몇 가지 변동예상시나리오와 우리의 대책
우리나라 사력댐의 손상현황 및 안전성 평가방법
하인리히 법칙,도미노 이론
[교육정책]교육과학기술부의 초. 중등 교육정책 방향
우리는 부패의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생활안전
원전사태로 바라본 품질비용관리의 중요성
한국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분석 - 이론적 배경, 안전 불감증 원인과 실태 및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