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Motivate)
⑩ 연습을 검토하고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점검표를 사용한다.
⑪ 학생들에게 연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자. 즐거운 환경과 결과(Pleasant Conditions and Consequences)
지침1. 즐거운 환경과 학습을 연관시킨다.
① 수업 전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② 수업 중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지침2. 즐거운 결과를 제시한다.
① 자연스럽게 가치있는 결과가 오도록 과제를 가르친다.
② 하위기능들에 대한 보상으로 피드백과 칭찬을 사용한다.
③ 바람직한 행위를 보상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접근법을 사용한다.
④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반응한다.
⑤ 환경, 행위, 그리고 결과를 예상함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를 방지한다.
차. 일관성(Consistency)
지침1. 일관된 교수요소들((Instructional Elements)을 만들어 낸다.
① 현실세계의 수행목적을 수업의 최종목표와 연관시킨다.
② 내용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③ 교수방법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④ 시험을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과 연관시킨다.
⑤ 모순되는 것에 주의한다.
지침2. 교수와 현실 세계 사이에 일관성을 만들어낸다.
① 교수환경을 넘어선 전이를 장려한다.
②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MASS 모형을 사용한다.
※MASS(Motivation, Awareness 인식, Skill, Support 지지)
*Stephen L. Yelon 原著, 최성희이인경신준영 共譯,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10가지 교수 원리, 서울:도서출판 길안사, 1998. (363 page, 10,000원)
⑩ 연습을 검토하고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점검표를 사용한다.
⑪ 학생들에게 연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자. 즐거운 환경과 결과(Pleasant Conditions and Consequences)
지침1. 즐거운 환경과 학습을 연관시킨다.
① 수업 전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② 수업 중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지침2. 즐거운 결과를 제시한다.
① 자연스럽게 가치있는 결과가 오도록 과제를 가르친다.
② 하위기능들에 대한 보상으로 피드백과 칭찬을 사용한다.
③ 바람직한 행위를 보상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접근법을 사용한다.
④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반응한다.
⑤ 환경, 행위, 그리고 결과를 예상함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를 방지한다.
차. 일관성(Consistency)
지침1. 일관된 교수요소들((Instructional Elements)을 만들어 낸다.
① 현실세계의 수행목적을 수업의 최종목표와 연관시킨다.
② 내용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③ 교수방법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④ 시험을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과 연관시킨다.
⑤ 모순되는 것에 주의한다.
지침2. 교수와 현실 세계 사이에 일관성을 만들어낸다.
① 교수환경을 넘어선 전이를 장려한다.
②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MASS 모형을 사용한다.
※MASS(Motivation, Awareness 인식, Skill, Support 지지)
*Stephen L. Yelon 原著, 최성희이인경신준영 共譯,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10가지 교수 원리, 서울:도서출판 길안사, 1998. (363 page, 10,000원)
키워드
추천자료
수업운영연구의 동향과 과제
체육수업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향 모색
수업법 평가 기준과 2006년 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영역 분석
수업시연 평가 시 고려 희망사항 및 2006년도 수학능력시험 분석
국어과 수업이론과 부르너의 수업이론 비교
과학과의 목표, 과학과의 탐구력과 탐구요소, 과학과 탐구학습 인지갈등수업모형, 과학과 탐...
[협동학습][협동][학습][협동학습 수업모형][협동학습의 적용]협동학습의 개념, 협동학습의 ...
체육수업 모형 전체 요약본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내용체계,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문학수용양상, 초등학교 ...
기능주의 관점에서 본 수준별 수업 - 수준별 수업이 교육 평등 및 사회 평등과 관련하여 갖는...
[수업장학] 수업장학의 필요성, 절차 및 방법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수준별 수업이
[독서토론 (讀書討論)] 독서토론의 유형과 방법 ; 독서토론의 특성과 교육효과 분석 {전통적 ...
[교육敎育학개론] 교수·학습의 과정의 이해(수업목표, 출발점 행동, 수업절차, 성취도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