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습무- 판소리 관계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습무- 판소리 관계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그러한 것들을 찾으면 더욱 더 큰 증거가 되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또한 중국의 경우에는 경극이라는 것이 있긴 했지만 그 담당층이 세습무였는지 강신무였는지를 확신하지 못해서 내려놓을 수 밖에 없었으며 몽골의 경우에도 흑무당과 백무당으로 나누어지는 양상을 보였는데, 그 둘의 구분을 세습무와 강신무로 나눌 수가 없어 자료로 삼기에 애매했다. 몽골의 경우는 경제가 농업 바탕이 아닌, 목축이기에 그런 무당들이 나왔나 짐작해본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여러 나라들을 비교하며 강신무들이 세습무들을 정복한 현상이나, 판소리와 비슷한 예술들을 찾기보다는 조선의 세습무들의 은어들을 모음한 뒤, 판소리의 창본들을 비교해본다면 확실하게 증거가 나올 것 같다.
그러나 이 작업이 쉽지 않을 것 같다. 앞서 말한 바 시피 그들 자체가 자신이 세습무인 것을 숨기려 했기 때문에 판소리에서 세습무의 흔적을 찾는 작업이 보다 정밀하고 섬세해야 될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990년대의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한국전통음악회, 성기련, 2005 참조.
『새로 쓴 한극무속』, 아세아 문화사, 최길성, 1999,
「강신무와 세습무의 제의적 특징 비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김숙희, 2002,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김흥규, 2005,
『歌舞伎』, 열화당, 김학현, 1997
『가부키』, 창해, 河竹登志夫, 2006
『한국의 무속』 대원사 김태곤 1993
「광주의 세습무 활동 변화 양상」 , 한국무속학회, 정대하, 2008
「1990년대의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한국전통음악회, 성기련, 2005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2.23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