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성대 신학과) 로마세계의 정복 (로마세계의 정복 요약, 로마 제국의 기독교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성대 신학과) 로마세계의 정복 (로마세계의 정복 요약, 로마 제국의 기독교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제2장: 로마세계의 정복 요약
B. 로마 제국의 기독교 요약
C. 결론
D. 생각해 볼 문제들...

본문내용

독교를 옹호하거나 신앙을 고백한 사람들은 일차적인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네로는 자신을 변명하기 위해 다른 탈출구(scapegoat)를 찾다가 그리스도인들 안에서 그 구실을 찾게 되었다. 특히 황제 숭배를 끝까지 거부하는 그리스도인 때문에 기독교에 대한 탄압 정책이 강력하게 시작되었다. 제 2차 박해는 도미시안(domitian) 통치 시기로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 갇힌 때였다. 마르쿠스 아우레리우스(Marcus Aurelius) 통치 때에 천재가 전역에 발생했는데 그리스도인들은 그 때 다시 한 번 무서운 핍박을 받았다. 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rerus)의 후기에 세례 받는 것이 범죄시되어 203년에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칼타고에서 순교당했다. 3세기까지는 직접적인 박해는 없었던 것은 주지할 사실이다. 첫 두 세기 동안의 박해는 지역적이며 간헐적이었다. 3세기 중엽에는 세베루스(Severus), 막시미니우스(Maximinius), 데시우스(Decius) 하에서 산발적인 박해가 있었다. 261년 갈리에누스(Gallienus)의 첫 관용 칙서 선포와 함께 40년간 평화의 시대가 시작되었다가 303년 디오클레시안(Diocletian)이 선포한 박해 칙령에 의해 니코메디아(Nicomedia)의 성당을 태우는 것으로 시작된 박해는 10년동안 계속되었고,313년 콘스탄틴이 밀란(Milan)칙령을 선포함으로 평화가 지속되었고, 몰수 당했던 교회 재산을 회복시키고 종교 관용을 선포하였다.
박해는 기독교를 멸절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더 강력하게 만들어 순교자의 피가 교회의 씨가 된 것이다.
콘스탄틴의 회심
박해의 전환점은 콘스탄틴 황제가 기독교로 회심한 사건이다. 313년 콘스탄틴은 밀란 칙령을 선포하였는데 제국 내에 있는 모든 종교에 완전한 자유를 허락하고 몰수당했던 교회의 재산을 다시 환수하도록 하였다. 콘스탄틴 시대에 기독교 교회에 대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그 하나는 325년 황제가 주재한 니케아 회의(council Nicea)이며, 유세비우스(Eusebius)의 교회사(Ecclesastical History)가 완성된 것이다.
콘스탄틴의 기독교 개종은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인 된 것과 교회가 설립된 것등 번영한 것은 사실이나 기독교 기관의 영적 성장이나 도덕적 성질을 강화시키기는 어려웠다. 또한 수천명씩 기독교로 돌아오기에 선교의 수고가 거의 필요 없었다. 콘스탄틴의 회심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여건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들이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모친 헬레나가 그리스도교인이었으며, 10여차례의 박해 시대를 걸쳐 오면서도 생명력을 유지해 온 기독교에 크게 감명을 받았으며, 십자가 군기 아래서 그의 군대는 대승을 경험하였다. 또한 그리스도인들인들이 근면 성실하고 준법정신이 강한 좋은 시민이며 군인이었다는 것이다.
반면 콘스탄틴은 전체 인구의 10%가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조심스러워 했으며, 제국 내의 많은 이교도적인 요소들을 도외시할 수 없는 입장이라 교회를 건설하면서 이방 신전들도 수축하였다. 위임식 때에도 기독교 의식 뿐만 아니라 이교도 의식도 행하였으나, 점점 정권이 견고해지면서 기독교 신앙을 더 강화 유지 하게 되었다. 동전에 그려진 이교도의 초상을 제거해 버렸으며, 감독은 교권과 법적 권한을 갖게 되고, 교회재산은 면세되었으며, 일요일은 그리스도인들의 예배일로 선포하고, 교회의 건축과 기독교 박애 사업에 막대한 돈을 지불하였다.
C. 결론
1. 박해 가운데에서도 로마라는 거대한 국가의 도움을 받게 된 기독교의 확장을 볼 수 있었다.
2. 박해의 기간을 통한 기독교역사의 순교의 힘을 볼 수 있었다. 그리스도의 씨앗을 뿌린다는 것은 반드시 열매를 맺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콘스탄틴 회심의 장단점 --> 콘스탄틴의 회심으로 인하여서 기독교인들에게 장점으로 다가오는 면들도 있지만, 반면에 부정적인 모습도 볼 수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대교회의 역사를 통해서 21C교회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운대 만연해 있는 게으름을 다시금 알아보게 되었고, 초대교회가 왜 부흥할 수 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되면서, 현제의 한국교회에게 주는 메시지가 강하게 있을 것이라고 본다.
D. 생각해 볼 문제들...
1. 초기 기독교 선교의 분기점이 된 기독교 국 교화 전후를 평가해보자.
2. 초기 기독교의 성장을 현대에 접목해 볼 수 있겠는가?
인터넷 시대에 살고 있는 정보의 홍수시대에서의 선교를 알아보자.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1.1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