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문
2. 대답에 필요한 경제학 개념과 분석도구
1) 플라톤(Ploto, 427~347 B.C)의 분업론
2) 아담 스미스의 분업론
3) 협동체 생산설(cooperative specialization, 혹은 팀생산설)
4) 유보임금(reservation wage)
5) 운동선수의 수요공급과 성적
3. 경제학적 분석을 통한 해답
참고문헌
2. 대답에 필요한 경제학 개념과 분석도구
1) 플라톤(Ploto, 427~347 B.C)의 분업론
2) 아담 스미스의 분업론
3) 협동체 생산설(cooperative specialization, 혹은 팀생산설)
4) 유보임금(reservation wage)
5) 운동선수의 수요공급과 성적
3. 경제학적 분석을 통한 해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들 간에는 협업과 분업이라는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이 작용하고 있다.
누구나가 자신의 기여도를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성적이 좋을수록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이때 구단의 입장에서는 객관적으로 보상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구단은 더 정확한 근거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협동체 생산설에서 보았듯이 한 선수 한 선수에 대한 정확한 기여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상하지 않으면 팀의 결속력은 급격히 무너지게 된다. 특히 무임승차자가 있으면 땀 흘려 뛸려고 하는 의욕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구단의 입장에서는 선수단 전체의 사기를 위해 모든 선수에게 일정금액이상의 소득을 보장해 주어야만 하는 입장기도 하다.
한 근로자의 생산성을 계산하기가 무척 어려운 일이나 그래도 비교적 쉬운 분야가 바로 스포츠이다. 온갖 개념을 다 동원하여 평가 지표를 만들고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선수들의 공헌도를 측정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가 정착되면서 구단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 중의 하나가 선수들의 기록관리다. 갖가지 개념을 만들고 여러 측면에서 측정한 자료를 근거로 연봉 협상에 임해야 한다. 연속 우승하는 팀은 선수들의 기량 못지 않게 구단의 정확한 선수관리, 기록정리, 협상능력 등 프론트도 우승할 수준이 되어야 한다. 좋은 선수 와 좋은 프론트가 명문 팀을 만들지, 좋은 선수와 나쁜 프론트는 어쩌다 한 해 우승할 수 있으나 명문 팀이 되지 못한다. 파이를 크게 만드는 일(선수나 팀이 좋은 성적을 내는 일) 못지 않게 어떻게 나누어 갖느냐(프론트, 코칭 스탭과 선수들에게 분배)가 중요하다.
프로 스포츠에서는 철저하게 시장경쟁원리가 작용하고 있다. 선수는 좋은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선수에 대한 구단의 수요는 파생수요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팀의 성적과 인기가 좋을수록 선수들에게 돌아오는 몫은 커진다. 그래서 선수들은 개인의 성적 못지 않게 팀의 성적에 관심을 갖게 되고 기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한다.
사례 1 이승엽의 이상한(?) 욕심
- MVP 상보다 한국시리즈 우승이 더 갖고 싶다
99년 프로 야구는 이승엽의, 이승엽에 의한, 이승엽을 위한 한 해였다는 데 이견이 없다. 그래서 99년 시즌이 끝난 후 시즌 MVP를 받은 그에게 더 이상의 욕심이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는 MVP로 뽑힌 후 “ 팀이 우승하지 못하고 받으니 무척이나 아쉽다. 이 MVP상과 한국시리즈 우승을 바꿀 수 있었으면 좋겠다.” 라고 말했다.
개인보다는 팀을 생각하는 이승엽선수 개인의 팀 사랑을 보여 주는 예지만 그만큼 단체 운동은 팀 성적이 값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사례 2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의 인종차별
미국 프로 스포츠분야에서는 인종차별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그 책임은 주로 관객에게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프로 농구에서는 흑인선수가 비슷한 기량을 가진 백인 선수보다 약 20%정도 적게 보수를 받는다는 사실과 백인 선수의 비중이 큰 팀이 출전하는 시합에 관중이 더많이 모인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학계에 발표되었다. 이윤 극대화주체인 구단의 입장에서는 백인 선수에게 더 많은 보수를 주지 않을 수 없다.
사례3 잘 생긴 선수는 얼마나 득을 보는가
프로 세계에서는 선수 자체가 상품이다. 연봉결정을 할 때 기량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인기인데 인기와 외모는 결코 무관하지 않다. 특히 젊은 팬들로부터의 인기는 구단의 수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좋은 외모가 주는 경제적 혜택을 노동경제학자들이 미국과 캐나다의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밝힌 것이 있다. 좋은 외모를 지녔다고 평가된 사람이 평균적인 외모를 지닌 사람들 보다 대체로 5% 정도 더 높은 소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적 외모를 가진 사람은 평균이하의 외모를 지닌 사람들 보다 남녀 공히 5~10%정도 높은 소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아마추어도 프로 스포츠에서는 외모가 출중한 선수는 보통선수에 비해 최소한 5%이상은 더 연봉을 받지 않나 생각한다. 이것을 ‘외모 프리미엄(beauty premium)’ 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이창섭, 남상우 저, 스포츠사회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임상일 저, 실감나는 스포츠 살아있는 경제학, 두남 2001
조순, 김영식 외 저, 경제학원론, 율곡출판사 2013
이상효 저, 체육행정 경영의 이론과 실제, 스포츠북스 2013
이정학 저, 스포츠 마케팅, 한국학술정보 2012
설수영, 김예기 저, 스포츠 경제학, 오래 2011
누구나가 자신의 기여도를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성적이 좋을수록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이때 구단의 입장에서는 객관적으로 보상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구단은 더 정확한 근거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협동체 생산설에서 보았듯이 한 선수 한 선수에 대한 정확한 기여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상하지 않으면 팀의 결속력은 급격히 무너지게 된다. 특히 무임승차자가 있으면 땀 흘려 뛸려고 하는 의욕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구단의 입장에서는 선수단 전체의 사기를 위해 모든 선수에게 일정금액이상의 소득을 보장해 주어야만 하는 입장기도 하다.
한 근로자의 생산성을 계산하기가 무척 어려운 일이나 그래도 비교적 쉬운 분야가 바로 스포츠이다. 온갖 개념을 다 동원하여 평가 지표를 만들고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선수들의 공헌도를 측정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가 정착되면서 구단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 중의 하나가 선수들의 기록관리다. 갖가지 개념을 만들고 여러 측면에서 측정한 자료를 근거로 연봉 협상에 임해야 한다. 연속 우승하는 팀은 선수들의 기량 못지 않게 구단의 정확한 선수관리, 기록정리, 협상능력 등 프론트도 우승할 수준이 되어야 한다. 좋은 선수 와 좋은 프론트가 명문 팀을 만들지, 좋은 선수와 나쁜 프론트는 어쩌다 한 해 우승할 수 있으나 명문 팀이 되지 못한다. 파이를 크게 만드는 일(선수나 팀이 좋은 성적을 내는 일) 못지 않게 어떻게 나누어 갖느냐(프론트, 코칭 스탭과 선수들에게 분배)가 중요하다.
프로 스포츠에서는 철저하게 시장경쟁원리가 작용하고 있다. 선수는 좋은 스포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선수에 대한 구단의 수요는 파생수요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팀의 성적과 인기가 좋을수록 선수들에게 돌아오는 몫은 커진다. 그래서 선수들은 개인의 성적 못지 않게 팀의 성적에 관심을 갖게 되고 기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한다.
사례 1 이승엽의 이상한(?) 욕심
- MVP 상보다 한국시리즈 우승이 더 갖고 싶다
99년 프로 야구는 이승엽의, 이승엽에 의한, 이승엽을 위한 한 해였다는 데 이견이 없다. 그래서 99년 시즌이 끝난 후 시즌 MVP를 받은 그에게 더 이상의 욕심이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는 MVP로 뽑힌 후 “ 팀이 우승하지 못하고 받으니 무척이나 아쉽다. 이 MVP상과 한국시리즈 우승을 바꿀 수 있었으면 좋겠다.” 라고 말했다.
개인보다는 팀을 생각하는 이승엽선수 개인의 팀 사랑을 보여 주는 예지만 그만큼 단체 운동은 팀 성적이 값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사례 2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의 인종차별
미국 프로 스포츠분야에서는 인종차별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그 책임은 주로 관객에게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프로 농구에서는 흑인선수가 비슷한 기량을 가진 백인 선수보다 약 20%정도 적게 보수를 받는다는 사실과 백인 선수의 비중이 큰 팀이 출전하는 시합에 관중이 더많이 모인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가 학계에 발표되었다. 이윤 극대화주체인 구단의 입장에서는 백인 선수에게 더 많은 보수를 주지 않을 수 없다.
사례3 잘 생긴 선수는 얼마나 득을 보는가
프로 세계에서는 선수 자체가 상품이다. 연봉결정을 할 때 기량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인기인데 인기와 외모는 결코 무관하지 않다. 특히 젊은 팬들로부터의 인기는 구단의 수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좋은 외모가 주는 경제적 혜택을 노동경제학자들이 미국과 캐나다의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밝힌 것이 있다. 좋은 외모를 지녔다고 평가된 사람이 평균적인 외모를 지닌 사람들 보다 대체로 5% 정도 더 높은 소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적 외모를 가진 사람은 평균이하의 외모를 지닌 사람들 보다 남녀 공히 5~10%정도 높은 소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아마추어도 프로 스포츠에서는 외모가 출중한 선수는 보통선수에 비해 최소한 5%이상은 더 연봉을 받지 않나 생각한다. 이것을 ‘외모 프리미엄(beauty premium)’ 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이창섭, 남상우 저, 스포츠사회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임상일 저, 실감나는 스포츠 살아있는 경제학, 두남 2001
조순, 김영식 외 저, 경제학원론, 율곡출판사 2013
이상효 저, 체육행정 경영의 이론과 실제, 스포츠북스 2013
이정학 저, 스포츠 마케팅, 한국학술정보 2012
설수영, 김예기 저, 스포츠 경제학, 오래 2011
키워드
추천자료
자기분석 시트
시장분석-휘트니스클럽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학]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본 이상 그리고 현실
[여성해방론][여성해방]여성해방론(여성해방)의 종류, 여성해방론(여성해방)과 페미니즘, 여...
스포츠와 과학, 스포츠와 인류학적 이해, 스포츠와 인류학적 관점의 신체, 스포츠의 유형학적...
[정신분석]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이해
나이키(Nike) 마케팅전략 / 기업소개 / 스포츠의류현황 / 산업구조분석 / 4P / PLC / SWOT / ...
나이키(NIKE)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
KBL,KBL마케팅,KBL마케팅전략,KBL현황분석,KBL분석,한국농구마케팅,농구마케팅,농구마케팅전...
<스포츠 마케팅 성공 및 실패 사례> 성공사례 : 청주 SK나이츠 프로농구단 & 실패사례 : ...
K리그 역사,K리그 관중현황,K리그 리그방식,K리그 마케팅 현황 SWOT 분석,K리그 스포츠마케팅...
롯데칠성 음료- 국내음료시장,롯데칠성 기업분석,마케팅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창조創造도시의 경험적 사례(해외사례 분석과 시사점) - 영국의 게이츠헤드, 중국 베이징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