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조영제, 인공물, MRI와 CT의 차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RI 조영제, 인공물, MRI와 CT의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RI 조영제
1. 자화물질과 자장의 특성
2. MR 조영제의 작용기전
3. MR 조영제의 일반적 특성
4. 임상적인 MR조영제의 조건
5. MR 조영제의 임상적 분류

2. 인공물
2. 인공물의 개요

3. MRI와 CT의 차이

본문내용

지방소거법, 저자장
aliasing
FOV↑, over-sampling, FOV를 벗어난 곳에 pre-saturation
truncation
: 지방&근육, 뇌척수액&척수 같이 대조도차가 큰 경계면
-주파수부호화방향으로 공간분해능↑, over-sampling
line(zipper-like)
: 불필요한 고주파의 누설 - 고주파 차폐상태 점검
susceptibility
: 두 조직간의 다른 자화육의 차이, 주로 강자성체로 인해, 폐·부비동·비인두같이
공기포함조직
-주파수부화화 경사자장을 세게, 단면두께 얇게, GE → SE
cross talk
: 선택 단면·단면사이 간격 좁을 때
-단면 간격을 두께의 20~30%, 홀·짝수단면 따로 얻는 interleave scan
zebra strip
: GE에서 작은 FOV → 과도한 부하로 얼룩말 무늬 - FOV↑ 또는 GE → SE
3. MRI와 CT의 차이
-MRI
보이지 않는 뇌를 검사할때 가장 자주 시행되는 검사가 MRI검사이다.
MRI는 자장을 이용해 종, 횡단면 영상을 얻는 검사기기로 뇌조직 혈관의 이상유무를 2차원, 3차원으로 구현해 내는 장비로 검사목적에 따라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MRI검사는 자세한 검사결과를 볼 수 있는 대시 촬영시간이 길어 (40분이상) 어린이, 응급환자, 폐쇠공포증환자에게 사용할 수 없으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해 검사해 몸속에 쇠붙이가 잇거나 인공심장 박동기가 있는사람, 임신 초기에는 촬영할 수 없다.
무엇보다 검사비가 70~80만원에 이를 정도로 비싸다.
(단, MRI촬영 후 뇌종양, 뇌혈관질환, 간질, 뇌염증성질환, 치매같은 질환이 진단되거나 치료를 받는 경우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 MRI검사는 보이지 않는 미세한 병변까지도 발견할 수 있을정도로 자세히 검사할 수 있습니다.
*뇌, 심장, 혈관, 연골등 연조직에 정확히 촬영되며 적합하다.
*인대, 신경, 근육 등을 고퀄리티로 볼수있으며, CT에서 볼수없는 신경종, 악성,양성 종양, 디스크 자체의 퇴행성 변화를 감별할 수 있다.
-CT
CT검사는 X선을 이용해 단층촬영 영상을 얻는것으로 다양한 뇌질환을 검사할 수 있다.
CT는 촬영시간이 짧고 (20분~30분) MRI상에는 보이지 않는 뇌출혈 및 뼈상태를 가늠할수 있으며 교통사고 환자, 응급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CT검사는 급성 뇌출협, 뇌졸중등의 질병 응급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CT검사는 짧은 검사시간내에 질병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으며 검사비용이 저렴하다
*단단한 뼈 의 골절, 출혈성 병변에 적합하다.
※ 왜 CT검사 후 MRI검사를 추가로 받나요?
뇌졸중등 위급한 뇌질환이 의심되는 환자가 내원하게 되면 우선 CT검사를 통해 뇌졸중의 원인인 뇌출혈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뇌출혈이 있다면 뇌출혈 치료를 하고 특별한 출혈 부위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뇌경색이 있을것으로 추측후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이후 환자 상태가 안정되면 MRI를 시행해 뇌경색이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 한다.
  • 가격9,6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1.3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