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밀도법(densitometry)
2.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subcutaneous fat thickness)
3. 생체전기 저항법(bio-electrical impedance)
4. 초음파법(ultrasound)
5. CT법(computed tomography)
6. 자기공명영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7. 칼륨법(potassium-40)
8. 크레아틴법(creatine excretion)
9. 직접법
2.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subcutaneous fat thickness)
3. 생체전기 저항법(bio-electrical impedance)
4. 초음파법(ultrasound)
5. CT법(computed tomography)
6. 자기공명영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7. 칼륨법(potassium-40)
8. 크레아틴법(creatine excretion)
9. 직접법
본문내용
일)을 측정하여 신체조성을 추정할 수 있다
FFM(kg)=7.38+0.02908Cr(mg/일)
9. 직접법
사체분석에 의한 체조성의 연구는 신체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18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그후 1945년 Mitchell등, 1951년 Widdowson등, 1953년과 1956년에 Forbes등에 의해 사체분석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Broek 등은 표와 같이 밀도를 산출했다.
<표 reference body에 있어서 1kg당 중량과 밀도>
항목
중량(g)
밀도(36℃, g/ml)
수분
624.3
0.99731
단백질
164.4
1.34
지방
153.1
0.9007
골의무기질
47.7
2.982
골외무기질
10.5
3.317
합계
1000.0
1.0640(평균밀도)
FFM(kg)=7.38+0.02908Cr(mg/일)
9. 직접법
사체분석에 의한 체조성의 연구는 신체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18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그후 1945년 Mitchell등, 1951년 Widdowson등, 1953년과 1956년에 Forbes등에 의해 사체분석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Broek 등은 표와 같이 밀도를 산출했다.
<표 reference body에 있어서 1kg당 중량과 밀도>
항목
중량(g)
밀도(36℃, g/ml)
수분
624.3
0.99731
단백질
164.4
1.34
지방
153.1
0.9007
골의무기질
47.7
2.982
골외무기질
10.5
3.317
합계
1000.0
1.0640(평균밀도)
추천자료
Victor Meyer 법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
[유기화학실험] 온도계 보정법(THERMOMETERS)과 녹는점 측정 실험(MELTING POINT) 예비+결과...
싸이오시안산 제2수은법을 통한 염화수소의 농도 측정
표면장력계 정의, 모세관 상승법과 고리방법을 이용한 표면장력 측정(예비+결과)
COD측정 KMnO₄법 (과망간산칼륨)
COD측정 K₂Cr₂O&#8327;법(중크롬산염)
분석. 실험 - 0.1N NaOH의 역가, 식초의 초산 함량, 과일주스의 유기산 함량, 소금물의 소금 ...
1.어는법 내림에 의한 분자량 측정
일반화학실험 - 어는점 내림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
[기기분석] 열분석법 중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측정
04.박테리아 생장곡선 : 균의 수를 측정하고 세균의 생장곡선을 그리는 법과 분광광도계에 대...
생화학A+) RNA 분리 및 농도측정과 전기영동법
★ 결과보고서 - 유지의 산가(Acid Value) 측정 실험보고서 : 산가의 측정방법을 습득함으로써...
[뇌 연구] 뇌의 연구방법(컴퓨터 단층촬영법, 자기공명영상법,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법,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