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주의 인간관과 코메니우스의 인간관 및 코메니우스의 인간관에 대한 평가, 코메니우스의 자연관, 코메니우스의 사회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혁주의 인간관과 코메니우스의 인간관 및 코메니우스의 인간관에 대한 평가, 코메니우스의 자연관, 코메니우스의 사회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혁주의 인간관
a. 종교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1) 창조된 인간
2) 타락한 인간
3) 회복된 인간
b. 관계적 존재의 인간
1)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
2) 인간과 인간의 관계
3) 인간과 세상 만물과의 관계
c. 통전적인 존재로서의 인간
1) 독특한 존재
2) 다차원적인 존재
3) 전인적인 존재

2. 코메니우스의 인간관
a.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재
b. 거울 같은 존재
c. 포괄적인 감각적 지각능력을 가진 존재

3. 코메니우스의 인간관에 대한 평가

4. 코메니우스의 자연관

5. 코메니우스의 사회관

참고자료

본문내용

또한 예수그리스도를 모심으로 부패된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이 인간에게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Comenius, 2005, 39).
따라서 코메니우스가 자연, 인간 정신, 하나님의 계시의 책인 성경을 조화 시키려고 한 것은 인간의 능력과 자연을 과대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창조, 타락, 구속의 관점에서 예수그리스도를 통하여 회복된 인간의 성화를 위해 전 생애 전 영역에서 매일의 갱신이 필요한데 이러한 것을 교육을 통하여 성취하려고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코메니우스는 모든 지식과 지혜는 궁극적으로 종교적 신앙에서 발산되는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이숙종, 1989). 또한 코메니우스는 실재에 대한 연구는 오직 신앙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코메니우스의 자연관은 하나님과 성경과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중심의 전 우주적 통일성에 있어서 개혁주의 세계관의 기초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자연과 인간의 이성에 대한 낙관적 견해는 근대적 세계관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코메니우스의 사회관
코메니우스는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시작하자 하나의 통합된 체계를 지닌 형태로 자신의 저작들을 요약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인류사회의 개혁과 발전을 위하여 통합하게 된 그의 작품을 범지학이라고 부른다(Kramarova, 2007).
코메니우스는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철저하게 가르치는 범지혜와 범교육의 방법으로, 자연이 주는 질서와 평화의 방법으로 모든 사람들이 갈망하고 있는 이러한 범지혜의 목적이 이루어진다면, 사회문제와 투쟁과 전쟁이 중지되고, 빛과 평화와 종교의 시대가 실현될 것이라고 보았다(Comenius, 1999, 40).
그러나 Schroer(2004)는 코메니우스가 교육의 가능성을 지나치게 신뢰한 점은 인간의 전적 타락의 문제를 간과하는 지나친 낙관주의로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쉬뢰어는 기독교적 교육학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을 통한 인간성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며, 믿음, 소망, 사랑의 인격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참된 진리와 지혜와 학문의 본체이신 그리스도와 복음을 신뢰하고, 그와 동행하는 삶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의 모방에서나 인본주의적인 방법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코메니우스가 인본주의적인 낙관론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필요한 한 가지」(One Thing Needful)와「세상의 미로와 마음의 천국」(The Labyrinth of the World and the Paradise of the Heart)에서 세상에서 진정한 천국은 예수를 구세주로 믿고 마음에 모시고 동행하는 것에 있다고 말했다(정일웅, 2006). 코메니우스는 교육의 본래적인 기능이 창조주의 음성을 듣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창조본연의 순수한 인간성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나라가 회복된 인간이 은혜 가운데 그리스도와 동행하는데 있음을 강조하였다.
코메니우스의 인간교육사상은 하나님과 동행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이루어가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러나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이 근대와 현대의 교육학자들에게,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과 하나님의 형상 개념이 간과된 채 인간과 이성과 교육에 초점 맞추어져 해석됨으로써 인본주의 교육의 흐름 안에서 이해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코메니우스의 사상은 그의 근본적인 세계관의 흐름에서 해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나님은 모든 사물들이 하늘과 땅에서 하나가 되기를 바라며 그 목적을 위해서 그의 아들을 보내셨고,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모든 사물들을 한데 모으기를 원하였다고 코메니우스는 보았다. 이러한 주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사도들이 모든 땅으로 가서 모든 사람들을 모든 지혜로 양육하고 가르치며, 모든 사람들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완전하게 되도록 하기위해 모든 열정을 바쳤다. 코메니우스는 이러한 모든 지혜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만물을 통일하기를 원했다(Comenius, 1999, 84-85).
코메니우스는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이 세상에 그의 완전하심을 보여주었고, 역사의 종말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과, 재림을 통하여 평화의 왕국이 실현될 것을 믿었다. 그러므로 코메니우스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완전하게 되도록 교육하고 교육을 통하여 세상의 변혁을 이루게 하려하였다. 따라서 코메니우스는 평화의 사도로 이 땅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세상과 사회가 개혁되어 하나님나라의 평화가 이루어지도록 창조세계의 모든 지식이 되는 범지학 사상으로 모든 지식을 종합하려고 노력한 사회개혁사상가였으며 교육실천가로 볼 수 있다. 그는 지혜의 근원이시며 평화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만물을 통일하며, 또한 논리적인 분석력과 체계적인 사고로 창조세계의 모든 지식을 종합하고, 교육을 통하여 사회를 개혁하려 하였다.
Spinka는 코메니우스를 현대교육의 이론가로, 실천가로 알뿐만 아니라 교회, 나라, 세계평화를 위해 노력한 평화의 사도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하였다(Comenius, 1944, 10).
코메니우스의 세계관과 사상에 대해 지금까지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코메니우스는 언제나 성경과 창조주이신 삼위 하나님으로부터 논의의 시발점을 찾았고, 무엇보다도 창조, 타락, 회복의 성경적인 세계관으로 세상을 이해하였다. 코메니우스는 학문 탐구에 있어서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피조물인 만물과 자연을 탐구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이숙종, 1999, 75). 그러므로 코메니우스는 성경적 세계관에서 근대의 자연사상과 교육의 가능성을 해명하려 하였던 교육신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배민아 저, 기독교교육의 흐름과 변천, 키메이커 2013
김선아 저, 한 권으로 읽는 코메니우스, 한국학술정보 2013
루이스 벌코프, 코넬리우스 반틸 저, 개혁주의 교육학, P&R 2011
총회교육자원부 저, 개혁신학과 기독교교육,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정일웅, 심창섭 외 저, 신학, 기독교교육, 코메니우스, 하교 2006
최진경 저, 코메니우스(기독교 교육학의 아버지), 킹덤북스 2012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2.0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