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만의 정의
2. 항만의 입지요건
3. 항만의 필요성
4. 항만의 기능
5. 항만의 분류
6.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7.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비요건
8. 컨테이너 터미널시설
9.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기
10.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2. 항만의 입지요건
3. 항만의 필요성
4. 항만의 기능
5. 항만의 분류
6.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7.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비요건
8. 컨테이너 터미널시설
9.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기
10.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본문내용
람을 대상으로 각종 밀
수, 밀입국 등을 방지하기 위해 검색하는 건물.
(24) 세관 검색대 : 수출입 화물 등 세관상 필요하거나 특정물품등을 컨테이너에
서 빼내어 검색하는 곳.
(25) X-Ray 검색대 : 컨네이너를 개봉하지 않고 X-Ray를 투과시켜 컨테이너 내부
화물을 확인하는 장소이며, 신속하게 화물을 검사할 수 있음.
(26) 경비초소 : 부두를 감시하는 초소.
(27) 정비 사무실 : 컨테이너 하역장비를 정비하는 정비사의 업무 및 휴식, 야간
에 비상 대기하는 건물.
(28) 세척장 : 이동식 하역장비나 컨테이너를 세척하는 건물.
(29) 식당 : 컨테이너 부두 운영사 직원 및 관련 종사자가 식사 등을 하는 건물.
9.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기
(1) Gantry Crane(wharf crane)
이것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한 전용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선적 및 양하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기중기이다.
(2) 스트래들 캐리어
스트래들 캐리어는 주 프레임 내에서 컨테이너를 올리고 운반하는 장비이며, 주 프레임 내에 컨테이너를 운반하면서 컨테이너 열을 횡단(2단 적재 일단통과, 또는 3단 적재 1단 통과) 할 수 있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다른 장치(Tractor)를 통하지 않고 Yard에 컨테이너를 자유자재로 운반할 수 있는 장비이다. 장척 화물의 산업 운반용의 산업차량으로 특히 해상 컨테이너 운반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사용된다.
(3) Chassis(샤시)
이것은 컨테이너 샤시라고 부르고,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차대를 말하고 tractor에 연결되어 이동한다. 즉, 육상을 운행하는 밴 트레일러(van trailer)에서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부분을 말한다.
(4) 야드 트랙터
야드 트랙터는 샤시와 결합된 컨테이너터미널의 가장 보편적인 장비 타입이며, 타 장비(트란스퍼 크레인, 리치 스택크, 스트래들 캐리어 등) 샤시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엔진의 견인력으로 샤시를 야드 내에 운반하는 장비이다.
(5) Winch Crane
이것은 컨테이너를 chassis 또는 트럭에 적재 또는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좌우로 회전도 가능하고 작업장까지 자력으로 이동하는 기중기이다.
(6) 포크 리프터
Fork Lifter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거나 또는 트럭에서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대형과 소형 두 가지가 있다. 즉 fork lifter는 차체의 뒤에 화물적재용 fork 또는 하역취급용 attachment를 갖추고 이것을 승강시키는 유압장치로 화물을 운반하는 대형하역기계이다.
(7) 리치 스태커
컨테이너의 운반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컨테이너의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사용되는 산업운반용의 산업차량이다. 긴 붐(Boom)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야드에 적치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데 주로 사용하고 Full Container를 취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8) 트랜스퍼 크레인 (Transfer Crane)
컨테이너 트랜스퍼 크레인은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적치된 컨테이너를 Chassis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장비이다.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서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으로부터 하역되어진 컨테이너 박스를 터미널 야드내에서 스프래더를 이용하여 이송, 적재하며 야드 샤시(Yard Chassis)나 트럭 샤시(Truck Chassis)에 올리거나 내리는 일을 하며 다른 야적 장소로 옮기는 작업을 한다. Transfer Crane에는 Rubber Tire(RTTC)식과 Rail(RTC) 식의 2종이 있으나, 현재는 RTTC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9) 톱 핸들러
톱 핸들러는 야드 내의 공(empty) 컨테이너를 적치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 장비이
다.
10.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1) 샤시방식(Chassis System)
Sea-Land사가 개발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육상 및 선상에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선에 직접 상차하는 방식으로 보조 하역 기기가 필요 없는 하역방식이다. 샤시방식은 매우 신속하고 효과적이나 컨테이너를 1단밖에 장치할 수 없어 넓은 야드 면적과 많은 수의 샤시와 트레일러가 필요함으로써 지가가 저렴한 지역에서 선박회사가 트레일러를 제공하거나 터미널에서 임차하여 전용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이용이 가능하다.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에서 크레인으로 에이프런에 직접 내리고 스트래들 캐리어로 운반하는 방식이다.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은 컨테이너를 2-3단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고, 터미널 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운반이나 적재에 융통성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어 장비 보수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며, 아스팔트의 손상율이 높고, 장비와 컨테이너의 파손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컨테이너선에서 야드의 샤시에 탑재한 컨테이너를 마셜링 야드에 이동시켜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장치하는 방식이다. 트랜스테이너 방식은 좁은 면적의 야드를 가진 터미널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며, 일정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전산화에 의한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트렉터와 트랜스퍼 크레인의 결합에 의해서 안전도가 높고 운행비가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에 비하여 훨씬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 할 수 없어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4) 혼합 방식(Mixed System)
수입 컨테이너를 이동할 때는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수출 컨테이너를 야드에서 선측까지 운반할 때는 트랜스테이너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식이다.
(5) 지게차에 의한 방식
톱 핸들러(Top Handler) 또는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등의 대형 지게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장비의 특성상 융통성이 매우 좋다.
수, 밀입국 등을 방지하기 위해 검색하는 건물.
(24) 세관 검색대 : 수출입 화물 등 세관상 필요하거나 특정물품등을 컨테이너에
서 빼내어 검색하는 곳.
(25) X-Ray 검색대 : 컨네이너를 개봉하지 않고 X-Ray를 투과시켜 컨테이너 내부
화물을 확인하는 장소이며, 신속하게 화물을 검사할 수 있음.
(26) 경비초소 : 부두를 감시하는 초소.
(27) 정비 사무실 : 컨테이너 하역장비를 정비하는 정비사의 업무 및 휴식, 야간
에 비상 대기하는 건물.
(28) 세척장 : 이동식 하역장비나 컨테이너를 세척하는 건물.
(29) 식당 : 컨테이너 부두 운영사 직원 및 관련 종사자가 식사 등을 하는 건물.
9.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기
(1) Gantry Crane(wharf crane)
이것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거나 양륙하기 위한 전용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선적 및 양하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기중기이다.
(2) 스트래들 캐리어
스트래들 캐리어는 주 프레임 내에서 컨테이너를 올리고 운반하는 장비이며, 주 프레임 내에 컨테이너를 운반하면서 컨테이너 열을 횡단(2단 적재 일단통과, 또는 3단 적재 1단 통과) 할 수 있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다른 장치(Tractor)를 통하지 않고 Yard에 컨테이너를 자유자재로 운반할 수 있는 장비이다. 장척 화물의 산업 운반용의 산업차량으로 특히 해상 컨테이너 운반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사용된다.
(3) Chassis(샤시)
이것은 컨테이너 샤시라고 부르고,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차대를 말하고 tractor에 연결되어 이동한다. 즉, 육상을 운행하는 밴 트레일러(van trailer)에서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부분을 말한다.
(4) 야드 트랙터
야드 트랙터는 샤시와 결합된 컨테이너터미널의 가장 보편적인 장비 타입이며, 타 장비(트란스퍼 크레인, 리치 스택크, 스트래들 캐리어 등) 샤시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엔진의 견인력으로 샤시를 야드 내에 운반하는 장비이다.
(5) Winch Crane
이것은 컨테이너를 chassis 또는 트럭에 적재 또는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좌우로 회전도 가능하고 작업장까지 자력으로 이동하는 기중기이다.
(6) 포크 리프터
Fork Lifter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거나 또는 트럭에서 양하할 때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대형과 소형 두 가지가 있다. 즉 fork lifter는 차체의 뒤에 화물적재용 fork 또는 하역취급용 attachment를 갖추고 이것을 승강시키는 유압장치로 화물을 운반하는 대형하역기계이다.
(7) 리치 스태커
컨테이너의 운반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컨테이너의 적재 및 위치이동, 교체 등에 사용되는 산업운반용의 산업차량이다. 긴 붐(Boom)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야드에 적치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데 주로 사용하고 Full Container를 취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8) 트랜스퍼 크레인 (Transfer Crane)
컨테이너 트랜스퍼 크레인은 컨테이너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적치된 컨테이너를 Chassis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장비이다.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서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으로부터 하역되어진 컨테이너 박스를 터미널 야드내에서 스프래더를 이용하여 이송, 적재하며 야드 샤시(Yard Chassis)나 트럭 샤시(Truck Chassis)에 올리거나 내리는 일을 하며 다른 야적 장소로 옮기는 작업을 한다. Transfer Crane에는 Rubber Tire(RTTC)식과 Rail(RTC) 식의 2종이 있으나, 현재는 RTTC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9) 톱 핸들러
톱 핸들러는 야드 내의 공(empty) 컨테이너를 적치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 장비이
다.
10.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방식
(1) 샤시방식(Chassis System)
Sea-Land사가 개발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육상 및 선상에서 크레인으로 컨테이너선에 직접 상차하는 방식으로 보조 하역 기기가 필요 없는 하역방식이다. 샤시방식은 매우 신속하고 효과적이나 컨테이너를 1단밖에 장치할 수 없어 넓은 야드 면적과 많은 수의 샤시와 트레일러가 필요함으로써 지가가 저렴한 지역에서 선박회사가 트레일러를 제공하거나 터미널에서 임차하여 전용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이용이 가능하다.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에서 크레인으로 에이프런에 직접 내리고 스트래들 캐리어로 운반하는 방식이다.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은 컨테이너를 2-3단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고, 터미널 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운반이나 적재에 융통성이 많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어 장비 보수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며, 아스팔트의 손상율이 높고, 장비와 컨테이너의 파손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컨테이너선에서 야드의 샤시에 탑재한 컨테이너를 마셜링 야드에 이동시켜 트랜스퍼 크레인으로 장치하는 방식이다. 트랜스테이너 방식은 좁은 면적의 야드를 가진 터미널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며, 일정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전산화에 의한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트렉터와 트랜스퍼 크레인의 결합에 의해서 안전도가 높고 운행비가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에 비하여 훨씬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작업량이 급증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 할 수 없어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4) 혼합 방식(Mixed System)
수입 컨테이너를 이동할 때는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을 이용하고, 수출 컨테이너를 야드에서 선측까지 운반할 때는 트랜스테이너 방식을 이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식이다.
(5) 지게차에 의한 방식
톱 핸들러(Top Handler) 또는 리치스태커(Reach Stacker) 등의 대형 지게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장비의 특성상 융통성이 매우 좋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