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우에하라 가즈(上原和)의 「高句麗 繪畵가 日本에 끼친 영향」
Ⅲ.안악3호분의 고구려식 연화문이 가진 상징적 함의
Ⅳ.안악3호분의 연화문의 모티브와 서역과의 관계
Ⅴ.맺음말
Ⅱ.우에하라 가즈(上原和)의 「高句麗 繪畵가 日本에 끼친 영향」
Ⅲ.안악3호분의 고구려식 연화문이 가진 상징적 함의
Ⅳ.안악3호분의 연화문의 모티브와 서역과의 관계
Ⅴ.맺음말
본문내용
있다. 권영필 위의 책 p.179
그러므로 고구려의 안악 3호분의 연봉형의 문양의 원형을 서역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베를린 국립박물관 서아시아 미술관이 소장한 조개용기는 기원전 7-8세기 제작으로 보이는데 선각으로 연화를 묘사하였으며, 또 기원전 6-5세기의 페르세폴리스 건축 부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난 연화의 모습은 안악 3호분의 나타난 문양 양식과는 다르지만 그 모습에서 연화문의 모티브를 연상시킬 수 있다.
Ⅴ.맺음말
안악 3호분은 한(漢)문화와 고구려의 문화가 혼효되는 시기에 제작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 고분벽화는 중국적인 요소가 고구려화 되어가는 과도기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즉 이 고분에서 나타는 벽화의 재제는 대부분이 중국적인 성향이 강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에하라 가즈는 안악 3호분의 연화문을 고구려의 독자적인 문양으로 해석하였으나, 이에 대한 전후 설명은 전혀 없었다. 그렇다면 우에하라 가즈는 무엇에 근거하여 안악3호분의 연화문을 고구려의 독자적인 것으로 해석한 것일까? 먼저 이 연화문의 형태는 연꽃 봉오리를 간략화하고 단순화하여 다른 고분에서는 볼 수 없는 다소 독특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티브에 있어서도 중국산의 연화가 아닌 아프리카 북 서부를 원산지로 하는 수련을 모티브로 두고 있어서 중국 연화의 모습과 전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안악 3호분의 연화문은 그 형상만큼이나 독특한 미술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현숙, 『고구려와 비교해본 중국 한 ·위 ·진의 벽화분』, 지식산업사, 2005
안휘준, 『한국의 고분벽화 연구』, 사회평론, 2013.
______, 『고구려 회화』, 효형출판사, 2007.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
______,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上原和, 「高句麗 繪畵가 日本에 끼친 영향 연뢰문 표현으로 본 고대 중국 조선 일본의 교섭 관계-」, 『제4회 전국미술사학대회 高句麗 美術의 對外 交涉』 예경, 1996.
윤명철, 『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2003.
논문
소현숙, 「北齊 皇室石窟과 睡蓮系 蓮花文 : 北響堂石窟 北洞과 中洞 蓮花文의 淵源과 그 意味」 『중국사연구』 79, 중국사학회, 2012
전호태,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교류」 『한국고대연구사』 68, 한국고대사학회, 2012
그러므로 고구려의 안악 3호분의 연봉형의 문양의 원형을 서역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베를린 국립박물관 서아시아 미술관이 소장한 조개용기는 기원전 7-8세기 제작으로 보이는데 선각으로 연화를 묘사하였으며, 또 기원전 6-5세기의 페르세폴리스 건축 부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난 연화의 모습은 안악 3호분의 나타난 문양 양식과는 다르지만 그 모습에서 연화문의 모티브를 연상시킬 수 있다.
Ⅴ.맺음말
안악 3호분은 한(漢)문화와 고구려의 문화가 혼효되는 시기에 제작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 고분벽화는 중국적인 요소가 고구려화 되어가는 과도기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즉 이 고분에서 나타는 벽화의 재제는 대부분이 중국적인 성향이 강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에하라 가즈는 안악 3호분의 연화문을 고구려의 독자적인 문양으로 해석하였으나, 이에 대한 전후 설명은 전혀 없었다. 그렇다면 우에하라 가즈는 무엇에 근거하여 안악3호분의 연화문을 고구려의 독자적인 것으로 해석한 것일까? 먼저 이 연화문의 형태는 연꽃 봉오리를 간략화하고 단순화하여 다른 고분에서는 볼 수 없는 다소 독특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티브에 있어서도 중국산의 연화가 아닌 아프리카 북 서부를 원산지로 하는 수련을 모티브로 두고 있어서 중국 연화의 모습과 전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안악 3호분의 연화문은 그 형상만큼이나 독특한 미술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현숙, 『고구려와 비교해본 중국 한 ·위 ·진의 벽화분』, 지식산업사, 2005
안휘준, 『한국의 고분벽화 연구』, 사회평론, 2013.
______, 『고구려 회화』, 효형출판사, 2007.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
______,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上原和, 「高句麗 繪畵가 日本에 끼친 영향 연뢰문 표현으로 본 고대 중국 조선 일본의 교섭 관계-」, 『제4회 전국미술사학대회 高句麗 美術의 對外 交涉』 예경, 1996.
윤명철, 『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2003.
논문
소현숙, 「北齊 皇室石窟과 睡蓮系 蓮花文 : 北響堂石窟 北洞과 中洞 蓮花文의 淵源과 그 意味」 『중국사연구』 79, 중국사학회, 2012
전호태,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교류」 『한국고대연구사』 68, 한국고대사학회,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