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체육 교재연구(학년별/1종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체육 교재연구(학년별/1종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6학년 교재연구. 배 구

6학년 체육과정(우리 나라 민속춤)

5학년 교재연구. 티 볼

5학년 체육과정(멀리뛰기)

4학년 체육과정. 씨 름

3학년 체육과정. 수 영

본문내용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그림과 같이 샅바 고리가 만들어진다.
2. 샅바 매는 법
1) 샅바 고리를 <그림 1>과 같이 오른쪽 대퇴부 상단에 끼우고 긴 띠를 <그림 2>와 같이 등 뒤로 돌려 복부를 지나게 하여 다리 샅바 고리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운다.
2) <그림 3>과 같이 긴 띠를 안쪽 샅 바 고리와 긴 띠의 교차점 밑 부분을 경유하여 둥글게 한 후 위로 뽑아 올린다.
3) 뽑아 올린 긴 띠를 둥글게 된 부위에 위에서 아래로 <그림 4>와 같이 끼워 넣고 <그림 5>와 같이 당겨 샅바 길이가 17cm 이내로 풀어지지 않게 한다.
4) 묶고 남은 띠는 복부 쪽 샅바에 적당히 끼워 넣는다.
- 3학년 체육과정. 수 영 -
1. 수영의 유래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영 발달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 기원은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추리적으로 수영의 기본은 원시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바닷가나 강변에 살던 원시인들은 물 속에서 어페류를 잡아먹기 위하여 물과 가깝게 지냈을 것이고 거주지를 옮기기 위해서 강이나 내를 건너려면 수영의 필요는 절실했을 것이다. 때로는 맹수의 습격을 피하기 위하여 잠수도 했을 것이고 오늘날의 다이빙과 같은 수단도 피할 수 없었을 것 이다. 한편 기원전 1천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헤엄치는 모양의 석상이 고적으로 남아 있으며 또 고대사회에 수중전투가 있었다는 기록과 수중에서 작업하던 작업 인이 있었다는 기록도 발견되었다. 위와 같이 수영의 역사는 선사시대 때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896년 제1회 올림픽대회에서 수영은 100m, 500m, 1,200m 등 3종목의 자유형, 경영이 시행되었으며 1900년 제2회 파리 올림픽대회 때부터는 정식종목으로 채택 하게 되었다.
2. 종목별 경기방법
1) 자유형(크롤)은 전신을 뻗어 저항이 적은 자세로 양팔을 끊임없이 번갈아 움직여서 물을 헤치고 양다리를 서로 상하로 해서 수중을 비스듬히, 후방으로 차냄으로써 끊임없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수영영법입니다.
2) 평영은 얼굴을 수면 위에 내어 놓은 채 수영하는 일반적 수영법과 호흡시 이외에는 머리를 물에 대고 스피드를 내는 것을 주로하는 경기력 수영법으로 분류됩니다. 전자는 팔과 다리를 비교적 넓게 벌리고 몸을 뜨게 해서 후자는 팔과 다리를 함께 비교적 적게 하고, 피치를 올려 스피드를 내는 것을 주로 합니다.
3) 배영은 바로 누운 자세로 얼굴은 항상 수면 위에 내어 놓고 수영을 하며, 호흡은 언제나 할 수 있으므로 특히, 호흡이 불가능한(얼굴을 물에 담그는 것이 고역)인 사람에게는 이 영법으로 지도를 시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4) 접영은 전신을 뻗어서 수면에 엎드려 크롤과 같이 팔과 다리 동작을 좌우 동시에 하고, 물에 상하진동을 가해 한 번 젓고 한번 찰 때마다 생기는 강한 추진력으로 전진하는 영법이며, 크롤 다음으로 스피드가 있는 수영입니다.
- 혼계영 : 접영, 배영, 평영, 자유형의 순으로 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3.20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