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및 독도의 역사 기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울릉도 및 독도의 역사 기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삼국사기 ~ 고려시대

Ⅱ. 고려시대 ~ 조선시대

Ⅲ. 조선시대 ~ 근대

본문내용

정 남구만이 형세조사차 삼척첨사를 울릉도에 파견
- 1693년(숙종 19년)
안용복, 박어둔 등 40여명의 조선어부는 울릉도, 독도에서 조업 중인 일본 어선 발견 추방을 위한 격투, 일본의 도쿠카와 막부는 대마도주로 하여금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하는 동시에 불법월경으로 스스로 금지시키겠다는 서계를 보냄.
일본 도쿠카와 막부는 울릉도와 독도를 두고 두섬은 조선의 영토라는 서계를 휘하의 관백과 태수에게 쓰게 했을 만큼 독도의 조선 영유권 존중, 조정은 울릉도 수토제도를 채택하고 3년에 한번씩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에 관원을 보내 순검케하여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주권을 변함없이 행사함.
- 1697년(숙종 25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5여지고, 인본막부 → 독도는 조선영토 임을 공식인정
- 1699년(숙종 27년)
안용복 장군은 일본 에도 막부로부터 울릉도, 독도가 조선 땅임을 인정하는 증서를 받음.
- 1900년 10월 25일(고종 37년)
칙령 제 4호 울릉도는 울도로 개칭하고, 강원도는 울진현에 속해 있던 울릉도와 그 부속도서를 묶어서 하나의 독립군으로 설치하명서 군청관할 구역을 울릉전도와 죽도 및 석도라고 못박았다. 여기서 죽도는 울릉도 섬목앞의 실제 죽도이고, 석도는 독도를 의미함.
- 1904년 8월 23일(고종 41년)
조일 의정서의 어거 도독에 일본 해군 부대 설치
- 1905년 5월 17잉(고정 49년)
일본정부 독도를 죽도라 변칭하고 시네마현 토지대장에 기재하고 일방적으로 일본 영토에 합병 선언
- 1905년 11월 17일(고정 49년)
을사보호조약 체결로 조선국권 상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3.2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0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