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평가 B형]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 각 입장에 적합한 구체적인 표집방법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평가 B형]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 각 입장에 적합한 구체적인 표집방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교육평가 B형]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각 입장에 적합한 구체적인 표집방법을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표집과 교육연구의 개념
 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1) 질적연구의 개념
   (1) 질적연구의 정의
   (2) 질적연구의 의의 : 해석학적 과학관
   (3) 질적연구의 특징과 한계
  2) 양적연구의 개념
   (1) 양적연구의 정의
   (2) 양적연구의 의의 : 방법론적 일원주의
   (3) 양적연구의 특징과 한계
 3. 질적연구 입장의 표집과 적합한 표집방법
  1) 질적연구 입장에서 표집의 개념과 의의
  2) 질적연구 입장에서 적합한 표집방법
   (1)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2) 적합한 표집방법
    ① 임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② 할당표집(quota sampling)
    ③ 판단표집(judgement sampling)
    ④ 누증표집(snowball sampling)
 4. 양적연구 입장의 표집과 적합한 표집방법
  1) 양적연구 입장에서 표집의 개념과 의의
  2) 양적연구 입장에서 적합한 표집방법
   (1)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2) 적합한 표집방법
    ① 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
    ②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
    ③ 층화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
    ④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5.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설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그러나 군집간이 동질적이지 않고, 군집 속에 포함된 표본요소가 이질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표본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군집표집과 층화표집은 유사해 보이므로 이 두 방법을 비교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는 일이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모집단을 소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차이점은 층화표집의 경우 분류된 소집단을 모두 이용하여 무작위로 표본을 선정하는데 비해 군집표집은 소집단들 중에서 몇 개만을 무작위로 뽑고, 뽑힌 소집단 전부 혹은 일부를 표본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5.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통합 설계
Creswell(1994)은 질적 접근과 양적 접근을 통합할 수 있는 세가지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먼저, 이 단계(two-phase) 모델은 질적 단계가 양적 단계에 선행하거나 반대로 양적단계가 질적단계에 선행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 모델은 우선-차순(dominant-less dominant) 설계이다. 연구자가 우선적인 패러다임을 확인하고 이를 수행한 다음, 탐구 과정에서 대안적인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필요한 부분의 연구를 수행한다. 세 번째 모델은 혼합 방법론(mixed-methodology) 설계이다. 세 가지 모델 중 가장 통합된 형태로 연구자가 연구의 전반에 걸쳐서 각 접근의 여러 측면들을 혼합하게 된다. Creswell에 따르면, 이 모델은 두 접근의 훌륭한 통합 지식을 요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어려운 반면, 문제 해결에 있어서 귀납적, 연역적 방법을 멋지게 상호 교환할 수 있다.
Miles와 Huberman(1994)도 통합 설계를 옹호하며 네 가지 대표적인 설계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연구의 양적, 질적 측면들이 완전히 통합되어 동시에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Creswell의 혼합 방법론과 유사하다. 둘째는 다면(multiwave) 설계이다. 질적 현장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동안 양적 조사 단계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양적 조사는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을 강조함으로써 현장연구에 정보를 제공해 주며, 수집된 현장자료는 다음 조사 단계에서의 개정의 바탕이 된다. 세 번째는 질적-양적-질적 설계이다. 맨 처음 질적 단계는 탐색적 역할을 수행하며, 다음으로 양적인 설문에 이어서 설문 결과를 강화하고 검증하기 위해서 질적인 절차를 수행한다. 네 번째는 세 번째와 반대 즉 양적-질적-양적 설계이다. 처음 양적 단계는 조사 연구가 실시되고 다음 질적 단계는 조사 결과에 대한 의미를 더하고 확장하며, 마지막 양적 단계는 앞서 두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험이 이루어진다.
Patton(1990) 역시 통합 접근을 옹호하나, Creswell과 Miles와 Huberman과는 다소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먼저 ‘순수’(pure) 접근을 설계자료수집분석의 세 요소로 구분하고, 양적 연구는 실험 설계로 대변되는 가설-연역적 또는 양적 설계, 양적 자료, 통계적 분석으로 질적 연구는 자연주의적 탐구로 대변되는 질적 설계, 질적 자료, 내용 또는 사례 분석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세 요소 - 설계자료수집분석 -를 네 가지 방식으로 재결합한 혼합된 양식을 소개하고 있다. 첫째는 실험 설계, 질적 자료, 내용 분석, 둘째는 실험 설계, 질적 자료, 통계적 분석, 셋째는 자연주의적 설계, 질적 자료, 통계적 분석, 넷째는 자연주의적 설계, 양적 자료, 통계적 분석으로 진행된다.
Ⅲ. 결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나름대로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양자를 서로 대립적으로 보고 어느 한 쪽만을 일방적으로 추종하기보다는 서로의 장단점을 파악 수용하고 연구 주제나 문제의 속성에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되 필요시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각 연구의 결과는 나름대로 교육 이론과 실제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ncoln과 Guba(1985)는 이점을 그물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여러 개의 그물을 가진 어부가 서로 다른 그물들을 겹쳐 보다 나은 새로운 그물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각 그물에는 나름대로 망이 있지만, 여러 그물을 한데 엮을 경우 망의 조밀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그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고기를 더 많이 잡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여러 유형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실험연구는 인과성을 잘 보여줄 수 있으나, 실험의 제약 때문에 실제성에 한계가 있다. 반면, 문화기술 연구는 인과성은 제대로 실증할 수 없으나,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관찰하여 실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활용하면 인과성은 강화되고 실제성도 더 이상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연구 주제를 보다 충실하게 탐구하기 위해 앞으로 양적, 질적 접근을 통합한 연구들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들은 질적, 양적 접근 모두에 익숙하도록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문헌>
정종진(2009)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양옥승(2008) 유아교육연구방법, 양서원
최지영(2008) 유아교육개론, 동문사
권순당(2007) 교육연구의 이해, 양서원
김진호(2007) 재미있는 통계 I , 표본조사의 오차
반원희 외(2004) 교육연구방법과 통계분석, 양서원
성태제(2008)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현종익 외(2006) 교육학용어사전, 동남기획
김영석(2006) 사회조사방법론, 나남
박정식 외(2004) 현대통계학, 다산출판사
이용구(2003) 통계학원론, 율곡출판사
김윤옥 외(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이희춘, 손보산업에서 표본조사의 중요성과 활용방안 검토, 2003
Earl Babbie,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8th ed. (Wadsworth, 1988)
R D. Wimmer, J R.Dominick, Mass media Research 4th ed. (CA;Wadsworth,1994)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4.05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1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