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였는데, 오지를 문명화시켜 원주민들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는 ‘근대화론’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Heart of Darkness는 서구의 인식관이 투영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형이상학적인 인식관, 인종차별적 서술, 이분법적 가치관, 근대화론 등은 모두 서구 중심적 가치관의 소산이다. 결국 콘래드의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한계를 가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인식틀 혹은 담론 속에서 그가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한 인간이 자신이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하나의 거대한 담론의 장(場) 안에서 산다면 말이다.
※ 인용은 The Norton Anthology Vol. 2(7th Ed.) p. 1958~2017에 수록되어 있는 Heart of Darkness를 따랐음.
Heart of Darkness는 서구의 인식관이 투영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형이상학적인 인식관, 인종차별적 서술, 이분법적 가치관, 근대화론 등은 모두 서구 중심적 가치관의 소산이다. 결국 콘래드의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한계를 가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인식틀 혹은 담론 속에서 그가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한 인간이 자신이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하나의 거대한 담론의 장(場) 안에서 산다면 말이다.
※ 인용은 The Norton Anthology Vol. 2(7th Ed.) p. 1958~2017에 수록되어 있는 Heart of Darkness를 따랐음.
키워드
추천자료
Hobson과 Achebe의 작품을 보고..
[영미문학강독] 일그러진 자화상 속의 진실한 나를 찾아서: Beth Henley의 Crimes of the Heart
[영미희곡] The Power of Darkness - 어둠의 세력에서 빛으로의 탈출
Crimes of the Heart:여성들의 자기 드러내기와 결속을 통한 억압의 극복
[영화] 뮤직오브 하트( Music of Heart)를 보고..
『Heart of Darkness』와 Idea
지옥의 묵시록
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 & 지옥의 묵시록(Apocalyspe Now)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