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기강화상담
제 1부. 동기강화상담의 실제
제 4장. 동기강화상담이란 무엇인가
제 5장. 변화와 저항
제 6장. 단계 1 : 변화동기 구축하기
제 7장. 변화대화에 반응하기
제 1부. 동기강화상담의 실제
제 4장. 동기강화상담이란 무엇인가
제 5장. 변화와 저항
제 6장. 단계 1 : 변화동기 구축하기
제 7장. 변화대화에 반응하기
본문내용
대해 말하 게 하거나 결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극단적인 상황을 상상하도록 한다.
과거 회상하기
- 변화대화를 유도하는 데 있어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의 문제가 나타나기 이전을 회상 하게 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하도록 해 보는 것이 좋다.
미래를 예상해 보기
- 내담자에게 변화된 미래를 상상해 보도록 하는 것도 변화대화를 유도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변화 후에 어떻게 상황이 바뀔 것 같은가에 대해 대답하도록 질문을 한다.
목표와 가치관 탐색
- 내담자에게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물어보는 것도 또 다른 방 법이다.
- 목표와 가치관을 탐색하다 보면, 내담자가 지금 현 상태와 자신의 가치관을 비교해 보고 현 상태를 유지하고 싶지 않게 만드는 몇 가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제 7장. 변화대화에 반응하기
지향적인 동기강화상담
- 상담결과로 선택한 변화방향에 대해 상담자가 특별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을 때조차 동기강화상담 과정은 내담자로 하여금 어느 쪽으로 선 택결정을 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특정방향의 변화를 지향할 때
- 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는 말이 변화를 향하는 말인가, 변화를 멀리하는 말인가에 따라 반응을 달리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정교화
- 내담자가 변화에 대하여 진술을 할 때, 비언어적으로는 주의를 기울이고, 적당히 고 개를 끄덕이며, 동시에 말로는 좀더 자세하게 말해 달라고 요청하며, 시험적으로라도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반응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반영
- 반영적 경청을 하면 내담자가 하는 말의 의미가 분명해지고 반영된 말의 내용을 계 속 탐색하게 된다. 그래서 변화대화에 대한 간단한 반영하기로도 정교화와 탐색을 끌 어낸다.
- 상담자는 변화의 방향을 고수하고 내담자는 변화의 반대 방향을 주장하는 상황이 발 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요약
- 변화대화를 요약하는 이유는 내담자 자신이 말했던 변화대화를 상담자의 입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한 번 더 듣게 하는 것이다.
- 저항을 언급할 때는 과거시제로 말하고, 변화에 관한 이야기는 현재시제로 말한다.
- 양가감정을 언급할 때 ‘그러나’보다는 ‘그리고’를 사용한다.
- 나중에 양가감정이 변화 쪽을 향해 움직이기 시작하면 저항측면을 기술하는 구조를 바꾸는 것이 좋다.
- ‘그러나’와 같은 반대접속사는 양가감정의 다른 측면이 있음을 인정하면서 변화추진 을 지향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변화대화의 인정
- 내담자의 변화진술을 긍정적으로 간단하게 보충 설명해 줌으로써 변화대화를 강화할 수 있다.
특정방향의 변화를 지향하지 않을 때
- 이런 경우의 상담목적은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능한 선택방향을 탐색하게 하 고 선택한 결과와 그들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목표와 연관지어 탐색해 보도록 돕는 것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지는 모르지만 내담자의 변화방향에 대해서 는 실제로 관심이 없으므로 방향을 암시하는 충고는 하지 않는다.
양가감정의 명료화
- 주요과제 중 하나는 양가감정을 명료화하고 양가감정의 양 측면을 어느 정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 양가감정으로 생기는 갈등의 양 측면을 각각 철저하게 탐색한다.
- 철저한 탐색이 이루어지려면, 상담자와 내담자가 같이 한 번에 한 쪽 측면만을 탐색 할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가치관의 명료화
- 양가감정해결을 위한 방향은 내담자의 가치관과 관련지어 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양가감정의 두 측면을 탐색하 도록 돕고 내담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가치관과 연관지어 평가하게 한다.
- 동기강화상담에서는 상담자가 의식적으로 비지향적이어야 한다.
과거 회상하기
- 변화대화를 유도하는 데 있어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의 문제가 나타나기 이전을 회상 하게 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하도록 해 보는 것이 좋다.
미래를 예상해 보기
- 내담자에게 변화된 미래를 상상해 보도록 하는 것도 변화대화를 유도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변화 후에 어떻게 상황이 바뀔 것 같은가에 대해 대답하도록 질문을 한다.
목표와 가치관 탐색
- 내담자에게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물어보는 것도 또 다른 방 법이다.
- 목표와 가치관을 탐색하다 보면, 내담자가 지금 현 상태와 자신의 가치관을 비교해 보고 현 상태를 유지하고 싶지 않게 만드는 몇 가지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제 7장. 변화대화에 반응하기
지향적인 동기강화상담
- 상담결과로 선택한 변화방향에 대해 상담자가 특별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크게 신경을 쓰지 않을 때조차 동기강화상담 과정은 내담자로 하여금 어느 쪽으로 선 택결정을 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특정방향의 변화를 지향할 때
- 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는 말이 변화를 향하는 말인가, 변화를 멀리하는 말인가에 따라 반응을 달리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정교화
- 내담자가 변화에 대하여 진술을 할 때, 비언어적으로는 주의를 기울이고, 적당히 고 개를 끄덕이며, 동시에 말로는 좀더 자세하게 말해 달라고 요청하며, 시험적으로라도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반응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반영
- 반영적 경청을 하면 내담자가 하는 말의 의미가 분명해지고 반영된 말의 내용을 계 속 탐색하게 된다. 그래서 변화대화에 대한 간단한 반영하기로도 정교화와 탐색을 끌 어낸다.
- 상담자는 변화의 방향을 고수하고 내담자는 변화의 반대 방향을 주장하는 상황이 발 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변화대화의 요약
- 변화대화를 요약하는 이유는 내담자 자신이 말했던 변화대화를 상담자의 입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한 번 더 듣게 하는 것이다.
- 저항을 언급할 때는 과거시제로 말하고, 변화에 관한 이야기는 현재시제로 말한다.
- 양가감정을 언급할 때 ‘그러나’보다는 ‘그리고’를 사용한다.
- 나중에 양가감정이 변화 쪽을 향해 움직이기 시작하면 저항측면을 기술하는 구조를 바꾸는 것이 좋다.
- ‘그러나’와 같은 반대접속사는 양가감정의 다른 측면이 있음을 인정하면서 변화추진 을 지향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변화대화의 인정
- 내담자의 변화진술을 긍정적으로 간단하게 보충 설명해 줌으로써 변화대화를 강화할 수 있다.
특정방향의 변화를 지향하지 않을 때
- 이런 경우의 상담목적은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능한 선택방향을 탐색하게 하 고 선택한 결과와 그들 자신의 가치관이나 인생목표와 연관지어 탐색해 보도록 돕는 것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지는 모르지만 내담자의 변화방향에 대해서 는 실제로 관심이 없으므로 방향을 암시하는 충고는 하지 않는다.
양가감정의 명료화
- 주요과제 중 하나는 양가감정을 명료화하고 양가감정의 양 측면을 어느 정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 양가감정으로 생기는 갈등의 양 측면을 각각 철저하게 탐색한다.
- 철저한 탐색이 이루어지려면, 상담자와 내담자가 같이 한 번에 한 쪽 측면만을 탐색 할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가치관의 명료화
- 양가감정해결을 위한 방향은 내담자의 가치관과 관련지어 정하는 것이 기본이다.
-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양가감정의 두 측면을 탐색하 도록 돕고 내담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가치관과 연관지어 평가하게 한다.
- 동기강화상담에서는 상담자가 의식적으로 비지향적이어야 한다.
추천자료
청소년발달과 청소년상담 및 청소년상담의 이론적 모델 정리 자료
[교회상담]클라인벨의 목회상담에 대해
[아동상담] 아동상담의 주요 기법과 사례
[학교상담] 학교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사례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사1.2급 시험] 집단상담, 집단심리
[아동상담] 사례개념화 및 상담과정
[가족상담 및 치료 4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가족상담 및 치료 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가족상담및치료]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한국 가족의 특성 및 발달과제 (청소년...
[청소년상담] 상담에서의 행동적 개입전략 - 행동적 개입의 목표, 행동 기법, 역할 연기와 시...
[아동상담이론]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정신분석치료)
[아동상담과정] 아동상담단계(초기단계, 중기단계, 말기단계)
청소년 상담자(청소년상담사)의 자질과 역할
[교류분석상담이론] 에릭 번의 생애와 교류분석에서의 인간관 교류분석상담의 이론적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