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현종 때에는 6,000여 권에 달하는 초조대장경판을 제작하기 시작(1011)하여 마침내 선종 때 완성하였다(1087). 초조대장경이 간행되고 얼마 후 대각국사 의천은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4,700여 권의 속장경을 간행하기 시작하여 숙종 때 완성하였다.
그러나 대구 부인사에 보관 중이던 이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의 판목은 몽골의 침입 때 소실되고 말았다(1232).
그러나 대구 부인사에 보관 중이던 이 초조대장경과 속장경의 판목은 몽골의 침입 때 소실되고 말았다(1232).
추천자료
머천다이징 총망라
출판매체의 개념과 기능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평가
[독서토론][독서][토론][교육][지도]독서토론 심층 고찰(독서토론의 방법, 독서토론의 유형, ...
개화기 서구문화의 수용 - 개화기 광고를 중심으로
우리 민속과 숲과 소나무
한국 교회사
[시청자권리][시청자권리 현황][시청자권리 한계][시청자권리의 확대방안][방송]시청자권리의...
[국문학] 시대의 지식인
[문화상품][문화상품 중요성][문화상품 현황][선진국 문화상품 사례][문화상품 개발방안]문화...
[TV저널리즘][티비저널리즘]TV저널리즘(티비저널리즘)의 역사, 미디어정치시대의 TV저널리즘(...
신문의 특성과 종류
문학교육과 대중매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