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가설 형성의 이해 - 가설의 의의와 근원 및 기능, 연구문제와 가설의 관계, 가설의 특성과 종류 및 가설의 요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가설 형성의 이해 - 가설의 의의와 근원 및 기능, 연구문제와 가설의 관계, 가설의 특성과 종류 및 가설의 요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설의 의의

2. 가설의 근원

3. 가설의 기능

4. 연구문제와 가설의 관계

5. 가설의 특성

6. 가설의 종류

7. 유의수준과 임계치

8.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9. 가설의 요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조사결과 기각영역 안에 포함될 확률의 허용수준
* 보통 유의수준은 0.1이나 0.05 또는 0.01로 함
* 이것은 무수히 많은 표본들 중에서 우연히 전체의 10%나 5% 또는 1%에 해당하는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
이에 따라 귀무가설을 기각하는데 허용되는 확률
* 유의수준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는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달라짐
→ 사회과학적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0.05의 유의수준을 많이 사용함.
8.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1) 제1종 오류(type Ⅰerror)
귀무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 또는 대립가설을 채택하는 오류
(2) 제2종 오류(type Ⅱerror)
대립가설이 참일 때 귀무가설을 채택 또는 대립가설을 기각하는 오류
<그림> 기각영역과 유의수준
9. 가설의 요건
(1) 명료성 : 가설의 뜻이 분명해야 함
(2) 경험적 검증가능성 : 도덕적 문제나 가치판단의 문제처럼 경험적으로 검증이 곤란한 문제는 가설이 될 수 없음
(3) 구체성 : 단순히 변수들 간에 관계가 있고 없음만을 진술하는 것보다는 관계의 방향까지 명시
(4) 가치중립성 : 가설을 구성할 때는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이나 가치가 개입되지 않도록 해야 함
(5) 정의 불포함 : 동어반복적(tautological)이어서는 안 됨

명제(proposition) : 명제는 협의로 정의하면 검증된 가설을 지칭하며, 광의로 정의 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념이나 변수에 대한 진술로서,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을 말한다.
예 : “a+b가 짝수이면 a, b 모두 짝수이다.‘는 거짓명제이며, ”2,x+y=6“은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 아니므로 명제가 아니다.
공리(axiom) 또는 가정(postulation) : 공리는 무증명의 명제로서, 논리적 모순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정의상 진실인 명제를 말한다. 가정은 진실이라고 가정되는 명제를 말한다. 공리나 가정에 의해 다른 진술이 연역된다.
예 :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1개뿐이다.”
정리(theorem) : 일련의 공리나 가정으로부터 연역될 수 있는 명제를 말한다.
예 : 피타고라스 정리
참고문헌
양성관, 김진수 외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4
김태성 저,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2012
채구묵 저,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13
고수현, 박성복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3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5.07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6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