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恨)의 미학
2. 여성적 정조(情調)
3. 민요적 특징
4. 민족주의 이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한(恨)의 미학
2. 여성적 정조(情調)
3. 민요적 특징
4. 민족주의 이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의 의지가 표출되고 있다. 즉 이러한 나아감은 극한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꿈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리라’는 시적 자아의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혜니, 앞의 책, p.134.
이렇게 볼 때 이 시에는 소월의 다른 시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현실성 또는 사실성이 선명히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집 잃은 자’, ‘땅 빼앗긴 자’로서의 민족적인 울분 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가려는 향상의 의지가 노동의 철학으로 구현됨으로써 민족적 저항 의지를 표출하게 된데서 소월 시의 참뜻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소월의 시에는 민족적 자각 내지 국가 의식(조국애) 등을 암시해주고 있는 시가 상당수 있다. 가령 <나무리벌 노래>에서는 故土에서 쫓겨나 만주 등지로 이민 간 우리민족의 처지를 노래하고 있고, <옷과 밥과 자유>에서는 당대의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그에 대한 울분과 저항 의식이 드러난다. 이 모든 것들은 결국 주권 상실 시대에 당면하여 핍박받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드러내줌으로써 민족 공동체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소월시의 특성을 한(恨)의 미학, 여성적 정조(情調), 민요적 특징, 민족주의 이념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김소월의 시는 결코 단순한 여성적 감정의 표현에만 그치고 있지 않다. 그의 ‘여성’은 우리의 고유한 정서에 스며 있는 한(恨)의 모습이었으며, 또한 그의 여성의식은 고전시가에 담겨져 있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의식과 그 모습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시는 단순한 음조가 아니라 형식과 내용면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다. 김소월은 민요적 율조를 사용하여 우리 민족의 보편정서를 대변하였고, 우리의 혼을 되새김으로써 민족의식을 북돋우려 했다.
김소월의 시에는 그러나 단순한 음조와 지나치게 여성적수동적이고 처음부터 끝까지 넋두리일 수밖에 없다는 점들을 예로 들어 부정적 시각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 삼경문화사, 1999, p.212.
이 제시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나아가서는 우리 민족의 한을 껴안은 과거 여인의 모습을 통하여 개인이 아닌 민족 전체의 모습을 빌어 항거하고자 했던 것이다.
김소월은 민요와 현대시의 접목으로 전통문학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성과를 거두었고 그로 인해 한국 근대시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는 데에서 시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서구시의 유입과 식민지 시대라는 1920년대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서 우리 민족이 느낄 수 있는 감정과 가락에 호소함으로써 일제에 저항한 근대시의 선구자로서 높이 평가되어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 삼경문화사, 1999.
김영철,『김소월, 비극적 삶과 문학적 형상화』,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김종태,『한국현대시와 서정성』, 보고사, 2004.
김혜니,『한국 근대시문학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박진환,『김소월시연구』, 조선문학사, 2005.
오세영,『김소월』, 문학세계사, 1993.
이렇게 볼 때 이 시에는 소월의 다른 시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현실성 또는 사실성이 선명히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집 잃은 자’, ‘땅 빼앗긴 자’로서의 민족적인 울분 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가려는 향상의 의지가 노동의 철학으로 구현됨으로써 민족적 저항 의지를 표출하게 된데서 소월 시의 참뜻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소월의 시에는 민족적 자각 내지 국가 의식(조국애) 등을 암시해주고 있는 시가 상당수 있다. 가령 <나무리벌 노래>에서는 故土에서 쫓겨나 만주 등지로 이민 간 우리민족의 처지를 노래하고 있고, <옷과 밥과 자유>에서는 당대의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그에 대한 울분과 저항 의식이 드러난다. 이 모든 것들은 결국 주권 상실 시대에 당면하여 핍박받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드러내줌으로써 민족 공동체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소월시의 특성을 한(恨)의 미학, 여성적 정조(情調), 민요적 특징, 민족주의 이념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김소월의 시는 결코 단순한 여성적 감정의 표현에만 그치고 있지 않다. 그의 ‘여성’은 우리의 고유한 정서에 스며 있는 한(恨)의 모습이었으며, 또한 그의 여성의식은 고전시가에 담겨져 있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의식과 그 모습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시는 단순한 음조가 아니라 형식과 내용면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다. 김소월은 민요적 율조를 사용하여 우리 민족의 보편정서를 대변하였고, 우리의 혼을 되새김으로써 민족의식을 북돋우려 했다.
김소월의 시에는 그러나 단순한 음조와 지나치게 여성적수동적이고 처음부터 끝까지 넋두리일 수밖에 없다는 점들을 예로 들어 부정적 시각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 삼경문화사, 1999, p.212.
이 제시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나아가서는 우리 민족의 한을 껴안은 과거 여인의 모습을 통하여 개인이 아닌 민족 전체의 모습을 빌어 항거하고자 했던 것이다.
김소월은 민요와 현대시의 접목으로 전통문학의 현대적 계승이라는 성과를 거두었고 그로 인해 한국 근대시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는 데에서 시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서구시의 유입과 식민지 시대라는 1920년대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서 우리 민족이 느낄 수 있는 감정과 가락에 호소함으로써 일제에 저항한 근대시의 선구자로서 높이 평가되어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 삼경문화사, 1999.
김영철,『김소월, 비극적 삶과 문학적 형상화』,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김종태,『한국현대시와 서정성』, 보고사, 2004.
김혜니,『한국 근대시문학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2.
박진환,『김소월시연구』, 조선문학사, 2005.
오세영,『김소월』, 문학세계사,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