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긍정적인 감정으로는 <평온함/고요한 마음>, <확신/자신감>, <우정/인간관계>, <즐거움/행복감>, <자애(慈愛)>가 제시되어, 이러한 정신상태가 특히, 치명적인 병에 걸린 환자들에게 어떠한 좋은 효과를 주었는가에 대한 연구성과들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감정과 건강 사이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자 하는 골맨 박사의 의도는 종교적인 권위가 상실된 현대 사회에서 정신과 육체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성과를 통해서 새로운 윤리체계를 재검토하자는 데에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극히, 개인주의적인 관점에서 자기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위에서 말한 긍정적인 감정을 잘 기르고, 부정적인 감정을 잘 컨트롤해야 한다는 것이 박사의 지론이다.
그리 현명하지 못한 우리 보통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이 자신의 건강을 해치는 줄 뻔히 알면서도 세상살이에서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고 육체의 건강도 상실한 체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부정적인 감정들이 생겨날 때, 무방비 상태로 자신을 방치해두면 결국 개인의 삶은 불행해지고 만다. 이러한 감정을 자신의 노력으로 다스려 나가고, 긍정적인 감정을 개발하여 심신이 건강한 자기 자신을 만들어나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간단하게 내릴 결론은 아닐지라도, 기본적으로는 심신의 건강이 회복된 개개인들이 보다 좋은 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 노력해 나갈 때, 사회도 점차 건강해진다고 생각하는 것도 인간과 인간이 만든 사회의 가능성을 신뢰하기 때문일 것이다.
감정이란 다행스럽게도 자신의 마음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으로 이러한 감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분노가 생길 때, 어떤 사람에 대해서 미운 생각이 일어날 때, 마음이 우울해질 때, 불안과 공포에 휩싸일 때, 우리는 이러한 감정을 바로 볼 수 있는 내적인 힘을 평소에 길러 놓아야 한다. 이러한 감정을 길러나가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이 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마음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즉, 하루하루의 생활 속에서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마음상태를 버리고, 긍정적인 마음상태를 가꾸려고 노력해야 한다. 지금 이 순간, 여기서의 자신의 마음을 떠나서, 스스로 행복할 수 있는 곳은 아무데도 없다. 명상활동의 근본에는 이러한 자신의 향상을 위한 각오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자신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과 타인을 위한 자애명상이 짝을 이룰 때, 우리의 삶은 더욱 힘을 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감정과 건강 사이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자 하는 골맨 박사의 의도는 종교적인 권위가 상실된 현대 사회에서 정신과 육체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성과를 통해서 새로운 윤리체계를 재검토하자는 데에 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극히, 개인주의적인 관점에서 자기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위에서 말한 긍정적인 감정을 잘 기르고, 부정적인 감정을 잘 컨트롤해야 한다는 것이 박사의 지론이다.
그리 현명하지 못한 우리 보통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이 자신의 건강을 해치는 줄 뻔히 알면서도 세상살이에서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고 육체의 건강도 상실한 체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부정적인 감정들이 생겨날 때, 무방비 상태로 자신을 방치해두면 결국 개인의 삶은 불행해지고 만다. 이러한 감정을 자신의 노력으로 다스려 나가고, 긍정적인 감정을 개발하여 심신이 건강한 자기 자신을 만들어나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간단하게 내릴 결론은 아닐지라도, 기본적으로는 심신의 건강이 회복된 개개인들이 보다 좋은 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 노력해 나갈 때, 사회도 점차 건강해진다고 생각하는 것도 인간과 인간이 만든 사회의 가능성을 신뢰하기 때문일 것이다.
감정이란 다행스럽게도 자신의 마음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으로 이러한 감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분노가 생길 때, 어떤 사람에 대해서 미운 생각이 일어날 때, 마음이 우울해질 때, 불안과 공포에 휩싸일 때, 우리는 이러한 감정을 바로 볼 수 있는 내적인 힘을 평소에 길러 놓아야 한다. 이러한 감정을 길러나가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단이 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마음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즉, 하루하루의 생활 속에서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마음상태를 버리고, 긍정적인 마음상태를 가꾸려고 노력해야 한다. 지금 이 순간, 여기서의 자신의 마음을 떠나서, 스스로 행복할 수 있는 곳은 아무데도 없다. 명상활동의 근본에는 이러한 자신의 향상을 위한 각오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자신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과 타인을 위한 자애명상이 짝을 이룰 때, 우리의 삶은 더욱 힘을 받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공리주의에 대하여
POWER OF THE HUMAN
성공적인 결혼생활
사치의 왕국 대한민국;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패턴
[정신건강][성][운동][체육활동][볼링]정신건강의 개념, 정신건강의 분류, 정신건강에서 성의...
[놀이지도]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 비교
[감성지수][감성지능][EQ][감성]감성지수(감성지능, EQ)의 개념, 감성지수(감성지능, EQ)의 ...
자유론 독후감
현실치료의 개념과 치료기법
영아발달 예부터 우리나라는 태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 임신기간 바른 몸과 마음가짐을 ...
넛지(Nudge)에 대한 이해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리처드 세일러 교수 '넛지'
행동경제학, 넛지(Nudge)의 이론적 근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