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방향이 반대(부호가 반대)인 힘을 받는가를 조사하여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확인하려고 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을 할 때 한 쪽 수레의 센서에 용수철을 달고 실험을 하여 그 여파로 충돌 후 센서의 값에 잡음(상하로 진동하는 모양)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과 -를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하게 나와 작용 반작용 법칙이 성립한다는 것을 확실히 볼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실험 3은 힘 센서에 다른 종류의 범퍼를 장착하여 충돌시간을 다르게 하여 충돌시간과 힘의 크기의 관계를 검토하는 실험으로 수레가 일정한 속도로 충돌하도록 하기 위해 트랙을 기울인 후 일정한 거리를 미끄러져 내려 온 후 충돌하도록 하였다. 범퍼를 약한 용수철 범퍼에서부터 강한 용수철 범퍼, 고무 범퍼로 바꿀 때마다 충돌시간은 줄어들고 힘의 크기는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충돌 시간을 측정할 때 힘 대 시간의 그래프로 측정할 때와 속도 대 시간의 그래프로 측정할 때 값이 달라 어느 것이 적절한 측정인지 아는 것이 힘들었고, 실험을 잘 설계하지 못해서 그런지 마찰이 커서 충돌 직전 속도의 예측값이 실험값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이번 실험 설계는 약간 미흡하였던 것 같다.
실험 3은 힘 센서에 다른 종류의 범퍼를 장착하여 충돌시간을 다르게 하여 충돌시간과 힘의 크기의 관계를 검토하는 실험으로 수레가 일정한 속도로 충돌하도록 하기 위해 트랙을 기울인 후 일정한 거리를 미끄러져 내려 온 후 충돌하도록 하였다. 범퍼를 약한 용수철 범퍼에서부터 강한 용수철 범퍼, 고무 범퍼로 바꿀 때마다 충돌시간은 줄어들고 힘의 크기는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충돌 시간을 측정할 때 힘 대 시간의 그래프로 측정할 때와 속도 대 시간의 그래프로 측정할 때 값이 달라 어느 것이 적절한 측정인지 아는 것이 힘들었고, 실험을 잘 설계하지 못해서 그런지 마찰이 커서 충돌 직전 속도의 예측값이 실험값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이번 실험 설계는 약간 미흡하였던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