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프로테스탄트는 16세기의 종교 개혁을 통해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분리되어 새롭게 형성된 교회들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왜곡된 교의나 제도가 아닌, 왜곡되기 이전의 ‘복음’으로 복원, 회귀하자는 운동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초기에는 ‘복음주의자’ 이라 불렸으며, 대부분의 유럽에서는 현재까지도 이 용어가 개신교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영미권에서는 ‘복음주의자’보다는 점차 ‘항의자, 반항자’라는 뜻의 ‘프로테스탄트’ 또는 ‘프로테스탄트 교회’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용어는 1529년 4월 독일의 제국 의회에서 루터계 종교 개혁파의 제후와 여러 도시가 황제 카를 5세 등...
<<그림>>
영미권에서는 ‘복음주의자’보다는 점차 ‘항의자, 반항자’라는 뜻의 ‘프로테스탄트’ 또는 ‘프로테스탄트 교회’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용어는 1529년 4월 독일의 제국 의회에서 루터계 종교 개혁파의 제후와 여러 도시가 황제 카를 5세 등...
추천자료
20세기를 전후한 교회건축의 근대적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이명직과 성결교회
칼바르트의 대해_ 칼바르트의 교회론
서양 중세 교회의 여성관
중세 교회의 여성관
네덜란드 개혁교회
1920년대의 미국교회와 신학
한국 기독교회사
<성경 무오와 교회> 루터의 성경무오 (성경의 신적인 기원, 성경의 권위, 성경의 진실성) _ ...
[초대교회사]기독교의 핍박과 변호(THE PERSECUTION AND DEFENSE OF CHRISTIANITY),(기독교와...
[초대invite교회사] 정치적 붕괴와 교황권 (야만족의 침입 및 교황권의 일어남과 발달)
[초대교회사] 서방과 동방의 발전 (Developments In The West And In The East) (중세 세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