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국제회의 현황과 발전방안
본문내용
6
46
40
3.65
9209
42534
23
2.18
1198
8927
총합계
1330
100
219859
786202
1070
100
160173
725251
1057
100
152906
640290
15. 행사 예산별 목록
예산규모
2009
2010
2011
1000만원미만
33.22%
76.59%
50.96%
1000만원~2500만원
3.3%
12.59%
32.66%
2500만원~5000만원
1.62%
4.09%
7.2%
5000만원~1억
0.89%
1.9%
2.19%
1억~5억
1.08%
1.52%
6.66%
5억~10억
0.24%
0.14%
0.26%
10억 이상
0.17%
0.08%
0.07%
미등록
59.48%
3.1%
0.00%
천 만원 미만의 국제회의가 가장 많다는 것으로 알수 있다. 그리고 10억 이상의 예산이 드는 국제회의도 0.07%정도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16. 국내 국제회의 산업의 문제점
첫째, 전문 국제회의 시설 및 인력의 부족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규모의 회의, 전시, 이벤트 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전문 컨벤션센터가 부족하다고 한다. 따라서 대규모고부가 가치의 컨벤션을 개최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컨벤션이 개최되는 장소는 거의 특급호텔에 부속된 컨벤션 시설이고 그밖에 컨벤션 이외의 목적으로 건립된 공연장, 전시장, 체육관 시설 등이 필요에 따라 컨벤션 센터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국이 전 세계 국제회의 시장을 석권하는 이유가 반드시 시장규모가 아니라 바로 엄청난 규모의 회의전문가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회의 전문기획가를 양성할 수 있는 제도조차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장기적인 산업 발전의 중요한 요소를 충족시키지 못 하고 있고 결국 그 산업의 전망을 매우 어둡게 하는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둘째, 전문 컨벤션 센터 건립의 난점
우선적으로 전문 컨벤션 센터 건립의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 문에 재정확보가 어렵다.
5,000명 이상을 수용하는 컨벤션 센터 건립의 경우 토지의 매입 및 시설 건 설비를 포함하여 총공사비가 적어도 1조억 규모에 달한다. 이러한 이유로 투자자금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되지만 투자비의 장기차입을 위한 공적 융자 제도가 미비하여 투자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다.
셋째, 국가차원의 인식부족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의 컨벤션 산업에 대한 인식은 관광수요촉발을 위한 수 단으로서 인식되어 왔으며 따라서 관광업계에서도 단순한 관광증진 차원에서 만 컨벤션 산업을 인식해 온 것이 사실이다.
컨벤션 산업이 국가전반에 끼치는 영향은 다른 어느 산업과 비교해서 결코 뒤떨어진다고 할 수 없다. 오히려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서 막대하고 복합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벤션 산업을 단순한 관광분야의 한 세분화 시장으로서 인식하는 것은 컨벤션 산업의 특성과 그 파급효과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부족은 컨벤션 산업의 개념을 정립하는데에도 혼선을 가져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산업의 중요성이나 필요성마저도 공감대가 형성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넷째, 정책적재정적 지원책 부족
우리나라는 컨벤션 산업의 개념이 뚜렷하지 않고 이로 인해서 산업의 목표와 발전 전망이 뚜렷하지 않다. 이러한 인식의 부족과 개념의 부재로 인해 정부차원의 지원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절대적인 열세에 있다.
적극적 정부지원 국가인 일본을 예로 든다면 우리나라는 산업의 경쟁력을 키 울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여건이 마련되어 있이 않다는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컨벤션 산업에 있어서의 경쟁력 부재는 곧 컨벤션 산업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 인 컨벤션 유치 측면에서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이는 곧 산업의 후진화와 결 국 동산업의 존폐를 가름하는 중요한 위기와 직결하게 된다.
다섯째, 관광 상품의 빈곤
국제회의의 개최지를 결정하는 요인 중에 최근 들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이 바로 회의 개최지의 관광 상품과의 연계성이다. 특히 인센티브 그룹의 방문지 정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이 관광 상품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다소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소유 하고 있는 관광자원조차도 제대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특히 외국인을 위한 관광 자원 측면에서 그렇다. 국제회의의 장소를 결 정하는 또 다른 요인은 후보지의 이미지인데 이러한 개최후보지의 이미지는 그 나라의 정치적 이미지와 함께 관광시장으로서의 이미지를 함께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7. 컨벤션산업 발전 방안
첫째, 컨벤션산업을 국가의 전략산업으로 삼아야 한다.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정부차원에서 거시적인 산업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이의 추진을 위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제 컨벤션산업은 단순한 관광 산업의 한 부분으로서 인식되어서는 안되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개선의지와 발 전 지원 없이는 컨벤션산업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지방중시의 컨벤션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은 서울, 부산, 제주와 같은 곳을 중심적으로 발전되었으며, 개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더 좋은 곳과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들을 중심적으로 발전시킨다면 지방의 경제 또한 발전되는 효과를 얻을 것이며 그 지역의 홍보 효과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곳을 더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된다.
셋째, 국제회의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 강화를 위한 노력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
국제회의의 유치기획준비운영 등 국제회의 관련 업무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필 요로 한다. 한국의 국제회의 사업의 발전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국제회의 사업종사 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계획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국제회의 관련 전문인 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전국적인 차원에서 국제회의에 관한 노하우를 종합하여 정 기적인 연수교육을 실시하고, 현재 한국관광공사에서 발간하고 있는 국제회의 운 영요령 이외에 회의참여자 및 관광산업종사자들의 어학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육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46
40
3.65
9209
42534
23
2.18
1198
8927
총합계
1330
100
219859
786202
1070
100
160173
725251
1057
100
152906
640290
15. 행사 예산별 목록
예산규모
2009
2010
2011
1000만원미만
33.22%
76.59%
50.96%
1000만원~2500만원
3.3%
12.59%
32.66%
2500만원~5000만원
1.62%
4.09%
7.2%
5000만원~1억
0.89%
1.9%
2.19%
1억~5억
1.08%
1.52%
6.66%
5억~10억
0.24%
0.14%
0.26%
10억 이상
0.17%
0.08%
0.07%
미등록
59.48%
3.1%
0.00%
천 만원 미만의 국제회의가 가장 많다는 것으로 알수 있다. 그리고 10억 이상의 예산이 드는 국제회의도 0.07%정도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16. 국내 국제회의 산업의 문제점
첫째, 전문 국제회의 시설 및 인력의 부족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규모의 회의, 전시, 이벤트 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전문 컨벤션센터가 부족하다고 한다. 따라서 대규모고부가 가치의 컨벤션을 개최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컨벤션이 개최되는 장소는 거의 특급호텔에 부속된 컨벤션 시설이고 그밖에 컨벤션 이외의 목적으로 건립된 공연장, 전시장, 체육관 시설 등이 필요에 따라 컨벤션 센터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국이 전 세계 국제회의 시장을 석권하는 이유가 반드시 시장규모가 아니라 바로 엄청난 규모의 회의전문가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회의 전문기획가를 양성할 수 있는 제도조차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장기적인 산업 발전의 중요한 요소를 충족시키지 못 하고 있고 결국 그 산업의 전망을 매우 어둡게 하는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둘째, 전문 컨벤션 센터 건립의 난점
우선적으로 전문 컨벤션 센터 건립의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 문에 재정확보가 어렵다.
5,000명 이상을 수용하는 컨벤션 센터 건립의 경우 토지의 매입 및 시설 건 설비를 포함하여 총공사비가 적어도 1조억 규모에 달한다. 이러한 이유로 투자자금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되지만 투자비의 장기차입을 위한 공적 융자 제도가 미비하여 투자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다.
셋째, 국가차원의 인식부족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의 컨벤션 산업에 대한 인식은 관광수요촉발을 위한 수 단으로서 인식되어 왔으며 따라서 관광업계에서도 단순한 관광증진 차원에서 만 컨벤션 산업을 인식해 온 것이 사실이다.
컨벤션 산업이 국가전반에 끼치는 영향은 다른 어느 산업과 비교해서 결코 뒤떨어진다고 할 수 없다. 오히려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 걸쳐서 막대하고 복합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벤션 산업을 단순한 관광분야의 한 세분화 시장으로서 인식하는 것은 컨벤션 산업의 특성과 그 파급효과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부족은 컨벤션 산업의 개념을 정립하는데에도 혼선을 가져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산업의 중요성이나 필요성마저도 공감대가 형성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넷째, 정책적재정적 지원책 부족
우리나라는 컨벤션 산업의 개념이 뚜렷하지 않고 이로 인해서 산업의 목표와 발전 전망이 뚜렷하지 않다. 이러한 인식의 부족과 개념의 부재로 인해 정부차원의 지원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절대적인 열세에 있다.
적극적 정부지원 국가인 일본을 예로 든다면 우리나라는 산업의 경쟁력을 키 울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여건이 마련되어 있이 않다는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컨벤션 산업에 있어서의 경쟁력 부재는 곧 컨벤션 산업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 인 컨벤션 유치 측면에서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이는 곧 산업의 후진화와 결 국 동산업의 존폐를 가름하는 중요한 위기와 직결하게 된다.
다섯째, 관광 상품의 빈곤
국제회의의 개최지를 결정하는 요인 중에 최근 들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이 바로 회의 개최지의 관광 상품과의 연계성이다. 특히 인센티브 그룹의 방문지 정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이 관광 상품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다소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소유 하고 있는 관광자원조차도 제대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특히 외국인을 위한 관광 자원 측면에서 그렇다. 국제회의의 장소를 결 정하는 또 다른 요인은 후보지의 이미지인데 이러한 개최후보지의 이미지는 그 나라의 정치적 이미지와 함께 관광시장으로서의 이미지를 함께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7. 컨벤션산업 발전 방안
첫째, 컨벤션산업을 국가의 전략산업으로 삼아야 한다.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정부차원에서 거시적인 산업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이의 추진을 위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제 컨벤션산업은 단순한 관광 산업의 한 부분으로서 인식되어서는 안되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개선의지와 발 전 지원 없이는 컨벤션산업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지방중시의 컨벤션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컨벤션산업은 서울, 부산, 제주와 같은 곳을 중심적으로 발전되었으며, 개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더 좋은 곳과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들을 중심적으로 발전시킨다면 지방의 경제 또한 발전되는 효과를 얻을 것이며 그 지역의 홍보 효과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곳을 더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된다.
셋째, 국제회의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 강화를 위한 노력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
국제회의의 유치기획준비운영 등 국제회의 관련 업무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필 요로 한다. 한국의 국제회의 사업의 발전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국제회의 사업종사 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계획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국제회의 관련 전문인 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전국적인 차원에서 국제회의에 관한 노하우를 종합하여 정 기적인 연수교육을 실시하고, 현재 한국관광공사에서 발간하고 있는 국제회의 운 영요령 이외에 회의참여자 및 관광산업종사자들의 어학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육 자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회의 실무
국제회의와 관광산업
대구지역 관광 문제점과 개선방안
NAFTA지역과의 FTA체결을 위한 방안
환경보전 및 환경문제와 관련된 국제회의 및 국제협약
[국제회의] 컨벤션 유치를 위한 브랜드 활용 전략-국제회의운영,관광학,컨벤션,경영학
농업직, 프로그래머, 전자상거래전문인, 전기공학기술자, PD, 방송스크립터, 여행안내원, 신...
[국제회의산업의 개념] 국제회의산업 개요와 성격, 특성
[국제회의] 국제회의의 유치와 개최, 국제회의 실무 진행과정 및 사후관리
[국제회의업] 국제회의업의 정의와 분류(종류), 요건 및 시설규모
국제회의기획자(PCO),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국제회의 유치 절차 및 주안점
★우수레포트★국제國際회의업에 대한 이해와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