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교안]-청각구두식 교수법 적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교안]-청각구두식 교수법 적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요.
S: (학생들 듣고 다시 따라한다.)
T: 여러분, 한국 사람들은 여름 휴가 때 무엇을 합니까?
S: 산에 가거나 바다에 갑니다.
T: 잘 했습니다.
지영과 준이치는 무엇을 먹을 것입니까?
S: 냉면이나....
T: 냉면이나 콩국수를 먹을 것입니다.
냉면이나 콩국수 알아요?
S: 잘 모릅니다.
(교사는 냉면과 콩국수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T: 자, 또 오늘 수업에서 모르는 것 질문하세요.
S1: ‘피곤’이 무엇입니까? (교재에 나왔던 단어)
T: 네, ‘피곤’은 공부를 열심히 했을 때, 일을 열심히 했을 때 몸이 힘들고 잠이 오는 느낌을 ‘피곤’이라고 합니다.
S3: ‘불고기나 비빔밥’에서는 ‘나’인데 왜 ‘옷이나 신발’에서는 ‘이나’입니까?
T: 네, ‘불고기’처럼 받침이 없는 글자 뒤에 올 때는 ‘나’이고 받침이 있는 글자 뒤에 올 때는 ‘이나’ 입니다.
T: 또 질문 있습니까?
S: 없습니다.
T: 여러분 오늘 모두 잘 했습니다.
그럼, 내일 또 만나요!
S: 네, 안녕히 계세요!
수업 시간에 수업하면서 몰랐던 어휘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문형은 ‘정리’를 통해 질문하도록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청각구두식 교수법에 기초하여 학습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여기서는 되도록이면 목표어를 사용하고 모국어를 자제하도록 해 학습자들이 다소 답답해 할 수도 있지만 목표어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다. 그리고 즉각적인 강화를 통해 학습자들이 명확하게 오류를 인지하고 칭찬을 통해 학습 욕구를 높일 수 있었다.
그렇지만 학습 활동에서 반복 연습이 주를 이루다 보니 학습자들이 지루해할 소지가 보였다. 이러한 부분은 그룹 또는 짝활동으로 창의적인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해서 보완하려 했는데 청각구두식 교수법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다른 활동이 가미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미 선택되어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교사가 사용하려 하는 교수법이 다를 때 교재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거기에서 오는 충돌도 현명하게 잘 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 교안에서도 ‘연습하기’ 부분이나 ‘문법 설명하기’ 등 참고로 했던 교재와 교수법에 약간의 충돌이 있었다.
청각구두식 교수법의 단점인 학습자들의 지루함이나 문법, 문형 설명의 부족과 같은 부분이 이 교안에서도 보였고 문법 설명의 경우는 정리 단계에서 간단하게라도 짚고 넘어가야 학습자들의 혼동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2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