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 단어시기
① 과잉확장과 과잉축소
② 의미의 수평적 발달
③ 의미의 수직적 발달
2. 두 단어시기
① 전보식 문장
② 주축 문법
③ 의미론적 관계 분석
3. 문장시기
① 부정문
② 의문문
③ 피동문과 사동문
④ 복문
4. 이야기 구성기
참고문헌
① 과잉확장과 과잉축소
② 의미의 수평적 발달
③ 의미의 수직적 발달
2. 두 단어시기
① 전보식 문장
② 주축 문법
③ 의미론적 관계 분석
3. 문장시기
① 부정문
② 의문문
③ 피동문과 사동문
④ 복문
4. 이야기 구성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
아가 어디 있니?
아빠, 담배 없다.
거부
혜진아, 이리 와
은영이 몇 살이야?
말 탈래?
실러(싫어).
몰라.
안 탈래.
부정
승화야 빵 맛있니?
송아지야, 어디 해 봐?
아니.
송아지 아냐
금지
세수 안 해?
빵 안 먹어?
비누칠 하지 마
다 먹지 마.
무능
자전거 탈 줄 아니?
못 잘 타.
출처 : 이경화(1984). 유아언어교육. 서울 :상조사.; 이영자(1994). 유아언어교육. 서울: 양서원.
② 의문문
- 영유아는 의문문에 대답을 할 수 있게 된 다음에 의문문을 산출
‘무엇’이 포함된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무엇’으로 묻는 질문
- 처음에는 ‘엄마 신발’과 같이 문장의 끝 단어를 올려서 의문문을 표현
점차 의문형 어미와 의문사를 사용하여 의문문을 만듦
- 의문형 어미로는 ‘~지(이게 뭐지?)’, ‘~까(이게 뭘까?)’, ‘~니(이게 뭐니?_’, ‘~냐(이게 뭐냐?)’ 등을 만듦.
- 5W 1H로 알려진 의문사는 ‘무엇’→ ‘어디’ → ‘어떻게’ → ‘왜’→ ‘누구’→ ‘어떤’ → ‘언제’의 순으로 나타남(한유미 외, 2011).
③ 피동문과 사동문
- 피동문은 능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영어의 수동문에 해당되며 사동문은 남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의미.
- 피동문과 사동문은 미분화형, 음운론적 유형, 형태론적 유형, 통사론적 유형, 어휘론적 유형의 다섯 가지로 구분.
- 미분화형 : 동사의 형태에 변화 없이 능동, 사동, 피동으로 고루 사용
- 음운론적 유형 : 동사의 어근에 피동사동 어미 -이, -히, -리, -기, -우 등을 붙임.
- 형태론적 유형 : ‘하다’ 대신에 ‘당하다’ ‘시키다’ 등을 붙임.
- 통사론적 유형 : 동사를 ‘하여지다’와 ‘~게 하다’ 형태로 바꿈.
- 어휘론적 유형 : 문장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단어를 교체하는 것
* 5세 이전에는 피동문과 능동문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사동문이 피동문 보다 쉬워서 영유아는 사동문을 먼저 습득.
피동
사동
미분화형
이렇게 움직이는 것 샀어.
아빠의 마음을 움직인다
음운론적 유형
빵구 뚫린 데 어딨어?
봄비란 거 보여 줬잖아
형태론적 유형
아빠가 사고 당했다
아빠가 일을 시켰다
통사론적 유형
여기 구멍 뚫어진 바퀴야.
동생을 다치게 하려고
어휘론적 유형
장난감이 됐다
동생을 보냈다
④ 복문
- 문법적 형태소를 획득하면 영유아는 고정된 어순에서 해방되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자신의 의도를 문법적으로 표현
- 자신의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해 가면서 영유아의 말은 어른의 말과 비슷해지는데 그 대표적인 형태가 복문을 사용하는 것임.
* 복문은 접속문과 내포문으로 분류
- 접속문은 ‘양말도 신고, 구두도 신고’ 와 같이 두 개의 명제를 나란히 병렬하는 대등 구성 형식이나 주절과 종속절을 병렬시키는 연합구성 ‘양말 신으면 구두 줄 거야’ 형식을 취함
- 내포문은 한 명제가 포함되는 형식으로 ‘그것도 선생님이 사 준 거야?’
- 영유아가 구성하는 내포문은 ‘~는(은)’을 ‘거(것)’ 등의 불완전한 명사에 연결하는 형식으로 ‘이거 하연이 갖는 거지?’와 같음.
피동
사동
대등
대공원에 비행기 있고 또 엄마, 돌리는 거 돌리면 돌아 가.
대립
끄며는 켜지고, 키며는 꺼져(이중 전등스위치)
시간적 순서
아빠 회사 가서 일해
원인
많이 먹으면 배 아야 해
한정조건
문 안 닫을게, 엄마 들어 가
동시성
미끄럼 타다가, 내가 미끄럼 타다가 혼자 쑥쑥 올라갔어
출처 : 이경화(1994). 유아언어교육. 서울 : 상조사.
4. 이야기 구성기
- 2세 반을 지나면 영유아는 ‘그리고’, ‘그러므로’, ‘그러니까’등의 접속사를 사용
- 문장과 문장을 이러한 접속사로 이어서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음
* 이야기 구성기에 나타나는 특징
첫째, 어휘 수 증가. 3세가 지나면 약 1,000개의 어휘 수를 익히고 그 어휘들을 짜 맞추는 문법 형식을 외움.
둘째, 조음기관의 발달. 조음기관도 매우 고정되어 타인에게 거의 정확하게 전달함. 발음이 틀리는 유아도 있으나 매우 적음.
셋째, 이해하지 못한 단어 사용.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이지만 어른스러운 말을 사용함.
참고문헌
이하원, 박희숙 외 저, 언어지도, 창지사 2012
서이영, 권윤정 외 저,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1
강성화, 김경회 저,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동문사 2013
이영자, 박혜경 외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12
이영자 저,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양서원 2013
이익섭 저,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아가 어디 있니?
아빠, 담배 없다.
거부
혜진아, 이리 와
은영이 몇 살이야?
말 탈래?
실러(싫어).
몰라.
안 탈래.
부정
승화야 빵 맛있니?
송아지야, 어디 해 봐?
아니.
송아지 아냐
금지
세수 안 해?
빵 안 먹어?
비누칠 하지 마
다 먹지 마.
무능
자전거 탈 줄 아니?
못 잘 타.
출처 : 이경화(1984). 유아언어교육. 서울 :상조사.; 이영자(1994). 유아언어교육. 서울: 양서원.
② 의문문
- 영유아는 의문문에 대답을 할 수 있게 된 다음에 의문문을 산출
‘무엇’이 포함된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무엇’으로 묻는 질문
- 처음에는 ‘엄마 신발’과 같이 문장의 끝 단어를 올려서 의문문을 표현
점차 의문형 어미와 의문사를 사용하여 의문문을 만듦
- 의문형 어미로는 ‘~지(이게 뭐지?)’, ‘~까(이게 뭘까?)’, ‘~니(이게 뭐니?_’, ‘~냐(이게 뭐냐?)’ 등을 만듦.
- 5W 1H로 알려진 의문사는 ‘무엇’→ ‘어디’ → ‘어떻게’ → ‘왜’→ ‘누구’→ ‘어떤’ → ‘언제’의 순으로 나타남(한유미 외, 2011).
③ 피동문과 사동문
- 피동문은 능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영어의 수동문에 해당되며 사동문은 남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의미.
- 피동문과 사동문은 미분화형, 음운론적 유형, 형태론적 유형, 통사론적 유형, 어휘론적 유형의 다섯 가지로 구분.
- 미분화형 : 동사의 형태에 변화 없이 능동, 사동, 피동으로 고루 사용
- 음운론적 유형 : 동사의 어근에 피동사동 어미 -이, -히, -리, -기, -우 등을 붙임.
- 형태론적 유형 : ‘하다’ 대신에 ‘당하다’ ‘시키다’ 등을 붙임.
- 통사론적 유형 : 동사를 ‘하여지다’와 ‘~게 하다’ 형태로 바꿈.
- 어휘론적 유형 : 문장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단어를 교체하는 것
* 5세 이전에는 피동문과 능동문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사동문이 피동문 보다 쉬워서 영유아는 사동문을 먼저 습득.
피동
사동
미분화형
이렇게 움직이는 것 샀어.
아빠의 마음을 움직인다
음운론적 유형
빵구 뚫린 데 어딨어?
봄비란 거 보여 줬잖아
형태론적 유형
아빠가 사고 당했다
아빠가 일을 시켰다
통사론적 유형
여기 구멍 뚫어진 바퀴야.
동생을 다치게 하려고
어휘론적 유형
장난감이 됐다
동생을 보냈다
④ 복문
- 문법적 형태소를 획득하면 영유아는 고정된 어순에서 해방되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자신의 의도를 문법적으로 표현
- 자신의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해 가면서 영유아의 말은 어른의 말과 비슷해지는데 그 대표적인 형태가 복문을 사용하는 것임.
* 복문은 접속문과 내포문으로 분류
- 접속문은 ‘양말도 신고, 구두도 신고’ 와 같이 두 개의 명제를 나란히 병렬하는 대등 구성 형식이나 주절과 종속절을 병렬시키는 연합구성 ‘양말 신으면 구두 줄 거야’ 형식을 취함
- 내포문은 한 명제가 포함되는 형식으로 ‘그것도 선생님이 사 준 거야?’
- 영유아가 구성하는 내포문은 ‘~는(은)’을 ‘거(것)’ 등의 불완전한 명사에 연결하는 형식으로 ‘이거 하연이 갖는 거지?’와 같음.
피동
사동
대등
대공원에 비행기 있고 또 엄마, 돌리는 거 돌리면 돌아 가.
대립
끄며는 켜지고, 키며는 꺼져(이중 전등스위치)
시간적 순서
아빠 회사 가서 일해
원인
많이 먹으면 배 아야 해
한정조건
문 안 닫을게, 엄마 들어 가
동시성
미끄럼 타다가, 내가 미끄럼 타다가 혼자 쑥쑥 올라갔어
출처 : 이경화(1994). 유아언어교육. 서울 : 상조사.
4. 이야기 구성기
- 2세 반을 지나면 영유아는 ‘그리고’, ‘그러므로’, ‘그러니까’등의 접속사를 사용
- 문장과 문장을 이러한 접속사로 이어서 이야기를 구성 할 수 있음
* 이야기 구성기에 나타나는 특징
첫째, 어휘 수 증가. 3세가 지나면 약 1,000개의 어휘 수를 익히고 그 어휘들을 짜 맞추는 문법 형식을 외움.
둘째, 조음기관의 발달. 조음기관도 매우 고정되어 타인에게 거의 정확하게 전달함. 발음이 틀리는 유아도 있으나 매우 적음.
셋째, 이해하지 못한 단어 사용.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이지만 어른스러운 말을 사용함.
참고문헌
이하원, 박희숙 외 저, 언어지도, 창지사 2012
서이영, 권윤정 외 저,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1
강성화, 김경회 저,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동문사 2013
이영자, 박혜경 외 저, 언어지도, 양서원 2012
이영자 저,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양서원 2013
이익섭 저,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추천자료
[관촌수필]의 문장과 문체가 주는 느낌에 대하여
[관촌수필]의 문장과 문체가 주는 느낌에 대하여 - 사투리와 토속적 표현의 의도적인 사용이 ...
피천득 '수필' 문장의 화용적 의미 분석
[판서][판서의 시기][판서의 유형][판서의 기능][판서의 요령][효과적 판서 기법][수업][판서...
Loftus(1975)와 Harris(1978)의 실험을 예로 들어 문장의 함축성이 법정 증언에 미치는 영향...
4-1)국어(말듣쓰)-4.오가는_정_한걸음더-여러종류의_문장_사용하여_예절바른_말_주고받기
[금연][흡연][담배][금연 시기][금연 현상][금연 지침][금연 방법][금연 주의사항][금연 유익...
[국어국문학] 소나기 분석 - 성장의 소나기 (소년과 소녀, 만남의 반복과 관계의 변화, 자연...
인지행동적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 전요섭 교수의 생각을 바꾸면 행복이 보인다 적용 [...
[영유아발달] ≪유아의 언어발달(言語發達)≫ 언어발달이론(학습이론,생득이론,인지이론) &am...
자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 볼 때, 자신의 청소년 시기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설명하고, 그...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발달] 학령전기(아동기) 아동의 언어발달(문장 및 어휘발달, 어의발달,...
[투사검사] 아동용 주제통각검사(CAT), 한국판 주제통각검사(K-CAT), 장면구성검사, 그림화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