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누전의 3요소
2. 화재위험
3. 조사요점
4. 참고문헌
2. 화재위험
3. 조사요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이것에 기초한 출화 사실과의 상당인과관계를 밝혀나가는 것이다.
1) 출화점
- 출화점은 철망과 철판 상호간의 이음매 또는 이것들과 철사, 못 등의 다른 금속의 접촉부로서 대표되므로 라스벽체 내부 및 이면 등에서 출화하는 위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출화부에 흑연화 현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다. 따라서 출화점을 한정하는데 흑연의 검출이 귀중한 근거가 되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누전점
- 누전점은 전류의 통로로 설계된 전선과 접지된 금속조영재 또는 이것과 접촉한 금속재의 접촉점이고, 접촉 당시의 스파크로 용융 및 침식흔적을 생성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누설 전류치가 적은 경우에는 용융 및 침식흔적이 발생하지 않는다.
화재현장에서 누전화재의 여부를 판정하려면 누전점을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고, 누전점을 검색하는 방법은 인입선, 옥내배선, 전기기기 등으로 나누어서 검색하는 것이 좋다.
3) 접지점
- 접지점은 복수의 점 또는 면에서 처음부터 접지물체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누전점의 경우와 같은 전기적인 요인에 의한 용융흔적의 생성은 드물다. 따라서 접지물체와 발연물건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재와의 접촉개소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테스터 및 접지저항계 등에 의한 도통확인 및 접지저항을 측정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1) 출화점
- 출화점은 철망과 철판 상호간의 이음매 또는 이것들과 철사, 못 등의 다른 금속의 접촉부로서 대표되므로 라스벽체 내부 및 이면 등에서 출화하는 위치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출화부에 흑연화 현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다. 따라서 출화점을 한정하는데 흑연의 검출이 귀중한 근거가 되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누전점
- 누전점은 전류의 통로로 설계된 전선과 접지된 금속조영재 또는 이것과 접촉한 금속재의 접촉점이고, 접촉 당시의 스파크로 용융 및 침식흔적을 생성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누설 전류치가 적은 경우에는 용융 및 침식흔적이 발생하지 않는다.
화재현장에서 누전화재의 여부를 판정하려면 누전점을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고, 누전점을 검색하는 방법은 인입선, 옥내배선, 전기기기 등으로 나누어서 검색하는 것이 좋다.
3) 접지점
- 접지점은 복수의 점 또는 면에서 처음부터 접지물체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누전점의 경우와 같은 전기적인 요인에 의한 용융흔적의 생성은 드물다. 따라서 접지물체와 발연물건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재와의 접촉개소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테스터 및 접지저항계 등에 의한 도통확인 및 접지저항을 측정한다.
4. 참고문헌
1) 화재조사 길잡이(2009), 저자 : 김태석 외3명, 출판사 : 기문당
2) 화재원인과 조사실무 1,2(2009), 저자 : 송재철, 출판사 : 수사간부 연수소
3) 화재조사(2009), 저자 : 김만우, 출판사 : 신광문화사
추천자료
화재사건
화재 시 대처방법 (보건교육PPT)
이천화재 사건의 발생이유와 대책
방화공학(화재 가연성 물질 연소)
소방원론 (화재, 산불, 폭발, 가스, 위험성 영향인자, 연소, 화상, 연기, 플레쉬 오버)
[위험물 관리] 고분자 물질의 종류와 화재 위험성 (고분자 화합물의 특성, 고분자 화합물의 ...
[화재조사] 접촉 불량과 이산화동증식, 은 이동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현상, 이산화동증식에 ...
[화재조사] 전열기에 의한 과열 (열평형, 안전기구, 조사요점)
[화재조사] 실화의 죄 해석
[화재] 연소 특성 및 방향파악, 연소방향 판정
세탁기와 냉,온수기의 화재감식에 대하여
화재감식의 카메라 이용
실화로 인한 화재범죄 및 손괴죄
공구 및 운반구의 화재피해액 산정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