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앞으로는 학력이 아니라 학습인증에 의해 평가받는 사회가 된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그리고 학습인증과 과거제도는 어떤 점에서 유사한가?
#2. 조선시대의 강제시비와 오늘날 대학입시 방법과 관련된 논쟁의 유사점을 평가의 타당성, 객관성, 실용성과 관련하여 설명해 보라.
#3. 서구의 근대 공교육이 값싼 대중교육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4. 서구 근대 공교육의 모델이 된 록크의 노동학교안을 “경찰 교육”이라고도 부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 오늘날의 학교교육이 갖는 경찰교육의 의미를 말해 보라.
#5. 위인지학과 위기지학의 차이에 대해 정자는 “위기는 자기 자신에게서 얻으려는 것(득지어기)이요, 위인은 남에게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견지어인)이다.”라고 하였다. 또 “옛날의 학자들은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여 끝내는 남을 이루어 주는데 이르렀고(지어성물), 지금의 학자들은…
#6.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격물치지는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하여 앎을 이룬다는 것이다. 격물의 본래 의미는 사물에 이미 마음속에 있는 격자를 대는 것을 말한다. 즉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인식틀로 사물을 관찰하여 그 틀 속에 집어넣는 것이다. 즉 복숭아꽃을 보면서 꽃이라는 인식틀을 들이대고…
#7.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무언가 깊은 내면의 성스러운 본질이 있다. 맑게 갠 밤하늘의 무한한 공간, 해가 바다 끝으로 사라지기 전 붉은 낙조의 웅장함, 저녁 해질 무렵 이름 모를 새의 지저귐 등,…
#8. 불교의 공부방법인 회광반조와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주일무적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2. 조선시대의 강제시비와 오늘날 대학입시 방법과 관련된 논쟁의 유사점을 평가의 타당성, 객관성, 실용성과 관련하여 설명해 보라.
#3. 서구의 근대 공교육이 값싼 대중교육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4. 서구 근대 공교육의 모델이 된 록크의 노동학교안을 “경찰 교육”이라고도 부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또 오늘날의 학교교육이 갖는 경찰교육의 의미를 말해 보라.
#5. 위인지학과 위기지학의 차이에 대해 정자는 “위기는 자기 자신에게서 얻으려는 것(득지어기)이요, 위인은 남에게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견지어인)이다.”라고 하였다. 또 “옛날의 학자들은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여 끝내는 남을 이루어 주는데 이르렀고(지어성물), 지금의 학자들은…
#6.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격물치지는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하여 앎을 이룬다는 것이다. 격물의 본래 의미는 사물에 이미 마음속에 있는 격자를 대는 것을 말한다. 즉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인식틀로 사물을 관찰하여 그 틀 속에 집어넣는 것이다. 즉 복숭아꽃을 보면서 꽃이라는 인식틀을 들이대고…
#7.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무언가 깊은 내면의 성스러운 본질이 있다. 맑게 갠 밤하늘의 무한한 공간, 해가 바다 끝으로 사라지기 전 붉은 낙조의 웅장함, 저녁 해질 무렵 이름 모를 새의 지저귐 등,…
#8. 불교의 공부방법인 회광반조와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주일무적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본문내용
학)의 차이점은 마음을 보는 관점이다. 주자는 마음(기)속에 있는 성(리)를 분리해서 생각한다. 심학은 심즉리. 그렇다고 성즉리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성은 말할 필요도 없이 리. 즉 심학에서는 마음과 성을 따로 분리해서 보는 입장이 아니다.
성즉리설과 심즉리설 간단히 설명하면 성(性)이 즉 리(理) 이냐, 아님 심(心)이 리(理)이냐이다. 여기서 격물치지의 개념이 도입된다. 사물을 바라보아 그 사물의 이치를 궁극적으로 깨닫는데 이에 심이 작용하니 심이 깨우침에 수양을 한다. 이것이 심즉리의 개념이자면 성즉리란 성의 주된 능력은 학습의 수양차이이다. 여기서 학문의 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주자와 왕양명간의 차이가 이 점에서 나온다.
성리학 : 성즉리, 격물치지
양명학 : 심즉리, 양지와 활연관통
=> 앎은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이고, 행한다면 앎의 완성이 되는 것으로 노력해서 행동해서 덕을 확충해야 한다. 주자학(성리학)에서는 양지는 없다. 양지는 양명학에서만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는 선지후행, 즉 타고난 양지가 없으니, 후천적 학습을 중요시 한 것이다. 먼저 알고 행하자는 이론이다.
격물치지라는 개념은 주자학과 양명학 둘 다 적용되는 개념이다. 격물치지란 ‘사물에 격을 맞춰서 지식을 넓힌다.’라는 뜻인데, 성리학에서 격물치지란, 이치는 각각의 사물에 있으며 이것은 곧 후천적인 지식이지만, 양명학에서는 이치란 마음에 있는 것이고 이것은 타고 나는 것이기 때문에 선천적인 것이다.
양지란 무엇인가?
양지는 양명학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양명학의 치량지설, 지행합일설 등 모두 양지란 개념의 뒷받침에 성립되는 이론인 것이다.
그런데 이 양지가 무엇인지 명료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양명이 양지에 대해 체계적인 정리를 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언급을 하였기 때문이다. 양명이 양지에 대해 한 말들과 다른 연구자들의 설명은 대략 아래와 같다.
마음속에 울려 퍼지는 仁의 목소리
인의 역동적인 모습
역동적인 마음의 주체
살아있는 천리
시비지심
천리를 자각케 하고 무수한 개별적 리를 구현케 하는 것
만 가지 이치의 근거
절대적선, 옳고 그름의 척도
나의 스승
#7.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무언가 깊은 내면의 성스러운 본질이 있다. 맑게 갠 밤하늘의 무한한 공간, 해가 바다 끝으로 사라지기 전 붉은 낙조의 웅장함, 저녁 해질 무렵 이름 모를 새의 지저귐 등, 당신은 이와 유사한 어떤 경험을 해 본적이 있는가? 이런 경험이 당신의 현존 - 지금 여기에 있음 - 과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것들이 많다.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해 하는 말들은 고작 ‘멋있다.’라며 연신 우와를 외쳐주는 것이다. 밤하늘을 흐르는 은하수와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작고 넓은 이 세상과 자유낙하를 느끼며 떨어지는 번지점프의 그 순간과 평소에는 쉽게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았을 때에 느끼는 그러한 것들...
이러한 경험들로 내가 느끼는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이러한 감정들은, 내가 지금 여기에 있음을 느끼게 해 주는 것들이 아닐까? 밤하늘을 흐르는 은하수를 바라보며,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작고 넓은 이 세상을 바라보며, 자유낙하를 느끼며 떨어지는 번지점프의 그 순간, 내가 느끼는 그 감정들은 내가 지금 여기에 있다는 것을 내가 현존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들이 아닌가.
#8. 불교의 공부방법인 회광반조와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주일무적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회광반조 : 회전 회, 빛 광, 거꾸로 반, 비추다 조 => 빛을 돌려 거꾸로 비춘다.
내 마음 속의 상념이 일어나면 그것을 거울에 비추듯이 반사해서 바라본다. 마음이 잔잔히 흘러가더라도 생각은 끊임이 없다. 이러한 수련 오랫동안 하면 마음이 거울처럼 변하게 된다.
주일무적 : 하나에 집중해 생각이 여기저기 떠돌지 않는다. 마음을 한 군데 집중하여 잡념을 없앤다는 의미로 경을 설명한 말이다.
- 주일 :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것
* 회광반조 : 생각의 고리 찾기와 같다.
이점으로는 감정에 휩쓸려가지 않는다는 것과 생각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이 있다. 생각의 속도가 빠르면 몸에 병이 생긴다.
* 주일무적 : 생각이나 대상에 집중하는 것으로 눈을 감고 천천히 숨을 내쉬고 들이쉬면서 숨을 들이쉬기 전에 숫자를 센다. 중각에 다른 어떠한 생각이 들면 다시 처음부터(1부터) 숫자를 센다.
성즉리설과 심즉리설 간단히 설명하면 성(性)이 즉 리(理) 이냐, 아님 심(心)이 리(理)이냐이다. 여기서 격물치지의 개념이 도입된다. 사물을 바라보아 그 사물의 이치를 궁극적으로 깨닫는데 이에 심이 작용하니 심이 깨우침에 수양을 한다. 이것이 심즉리의 개념이자면 성즉리란 성의 주된 능력은 학습의 수양차이이다. 여기서 학문의 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주자와 왕양명간의 차이가 이 점에서 나온다.
성리학 : 성즉리, 격물치지
양명학 : 심즉리, 양지와 활연관통
=> 앎은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이고, 행한다면 앎의 완성이 되는 것으로 노력해서 행동해서 덕을 확충해야 한다. 주자학(성리학)에서는 양지는 없다. 양지는 양명학에서만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는 선지후행, 즉 타고난 양지가 없으니, 후천적 학습을 중요시 한 것이다. 먼저 알고 행하자는 이론이다.
격물치지라는 개념은 주자학과 양명학 둘 다 적용되는 개념이다. 격물치지란 ‘사물에 격을 맞춰서 지식을 넓힌다.’라는 뜻인데, 성리학에서 격물치지란, 이치는 각각의 사물에 있으며 이것은 곧 후천적인 지식이지만, 양명학에서는 이치란 마음에 있는 것이고 이것은 타고 나는 것이기 때문에 선천적인 것이다.
양지란 무엇인가?
양지는 양명학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양명학의 치량지설, 지행합일설 등 모두 양지란 개념의 뒷받침에 성립되는 이론인 것이다.
그런데 이 양지가 무엇인지 명료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양명이 양지에 대해 체계적인 정리를 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언급을 하였기 때문이다. 양명이 양지에 대해 한 말들과 다른 연구자들의 설명은 대략 아래와 같다.
마음속에 울려 퍼지는 仁의 목소리
인의 역동적인 모습
역동적인 마음의 주체
살아있는 천리
시비지심
천리를 자각케 하고 무수한 개별적 리를 구현케 하는 것
만 가지 이치의 근거
절대적선, 옳고 그름의 척도
나의 스승
#7.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무언가 깊은 내면의 성스러운 본질이 있다. 맑게 갠 밤하늘의 무한한 공간, 해가 바다 끝으로 사라지기 전 붉은 낙조의 웅장함, 저녁 해질 무렵 이름 모를 새의 지저귐 등, 당신은 이와 유사한 어떤 경험을 해 본적이 있는가? 이런 경험이 당신의 현존 - 지금 여기에 있음 - 과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외부적인 형상의 아름다움 너머에는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것들이 많다.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해 하는 말들은 고작 ‘멋있다.’라며 연신 우와를 외쳐주는 것이다. 밤하늘을 흐르는 은하수와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작고 넓은 이 세상과 자유낙하를 느끼며 떨어지는 번지점프의 그 순간과 평소에는 쉽게 보지 못하는 것들을 보았을 때에 느끼는 그러한 것들...
이러한 경험들로 내가 느끼는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이러한 감정들은, 내가 지금 여기에 있음을 느끼게 해 주는 것들이 아닐까? 밤하늘을 흐르는 은하수를 바라보며,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작고 넓은 이 세상을 바라보며, 자유낙하를 느끼며 떨어지는 번지점프의 그 순간, 내가 느끼는 그 감정들은 내가 지금 여기에 있다는 것을 내가 현존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들이 아닌가.
#8. 불교의 공부방법인 회광반조와 성리학의 공부방법인 주일무적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회광반조 : 회전 회, 빛 광, 거꾸로 반, 비추다 조 => 빛을 돌려 거꾸로 비춘다.
내 마음 속의 상념이 일어나면 그것을 거울에 비추듯이 반사해서 바라본다. 마음이 잔잔히 흘러가더라도 생각은 끊임이 없다. 이러한 수련 오랫동안 하면 마음이 거울처럼 변하게 된다.
주일무적 : 하나에 집중해 생각이 여기저기 떠돌지 않는다. 마음을 한 군데 집중하여 잡념을 없앤다는 의미로 경을 설명한 말이다.
- 주일 :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것
* 회광반조 : 생각의 고리 찾기와 같다.
이점으로는 감정에 휩쓸려가지 않는다는 것과 생각의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이 있다. 생각의 속도가 빠르면 몸에 병이 생긴다.
* 주일무적 : 생각이나 대상에 집중하는 것으로 눈을 감고 천천히 숨을 내쉬고 들이쉬면서 숨을 들이쉬기 전에 숫자를 센다. 중각에 다른 어떠한 생각이 들면 다시 처음부터(1부터) 숫자를 센다.
추천자료
항존주의 (perennialism)
교육철학 의미와 사상
교육철학의 기초
[조선]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조선시대 관학 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정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가치,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 독서교육, 자...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의미와 선행연구,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특징과 ...
ICT활용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의 의미, ICT활용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의 필요성, ICT활용교...
고전속에 나타난 교육사상
[공작][공작과 종이공작][공작과 찰흙공작][찰흙공예][공작과 목공작][공작과 공작놀이][종이...
교육과 철학을 주도한 사상가들 - 교육철학 관련 사상가 동양 20명, 서양 20명 요약정리
[보육과정] 루소의 교육원리 중, 소극적 교육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고 이를 보육과정에 어...
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보건교육C형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선택대상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