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개 요
1. 기초란?
2. 기초의 종류
3. 기초의 조건
4. 기초의 선정
2장 지반조사
1. 지반조사란?
2. 지반조사
3. 시료채취(soil sampling)
4. 원위치 시험
1. 기초란?
2. 기초의 종류
3. 기초의 조건
4. 기초의 선정
2장 지반조사
1. 지반조사란?
2. 지반조사
3. 시료채취(soil sampling)
4. 원위치 시험
본문내용
00mm 이상인 암석조각들 길이의 합/암석시료의 이론상 길이
o RQD와 암질의 관계
RQD (%)
암 질
Ef/Elab
0 ~ 25
25 ~ 50
50 ~ 75
75 ~ 90
90 ~ 100
매우 불량 (very poor)
불량 (poor)
보통 (fair)
양호 (good)
우수 (excellent)
0.15
0.2
0.25
0.3 ~ 0.7
0.7 ~ 1.0
o 암반의 분류
- 공학적 분류 : RMR 분류법, Q시스템 분류법
- 암반의 강도 : 풍화암, 연암, 보통암, 경암, 극경암
- 토공작업의 난이도 : 토사, 리핑(ripping)암, 발파암
o RMR 분류법
- 암석의 강도(15점), RQD(20점), 절리면의 간격(20점), 절리면의 상태(30점), 지하수조건(15점) 등의 평점을 합산하여 RMR(rock mass rating) 분류
RMR
100 ~ 80
80 ~ 60
60 ~ 40
40 ~ 20
20 이하
등급
1
2
3
4
5
암반 품질
우수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
4 원위치 시험
원위치 시험의 종류
o 사운딩(sounding) 시험 : 표준관입시험, 정적 콘관입시험, 동적 콘 관입시험, 스웨덴식 관입시험, 베인시험 등
o 특성시험 : 공내재하시험, 평판재하시험, 투수시험 등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o 표준관입시험치 (N 값) : 샘플러에 연결된 굴착로드의 상단을 63.5kg(140lb)의 해머로 75cm(30inch)의 높이에서 낙하 타격하여 샘플러를 45cm 관입시키고, 마지막 30cm 관입에 필요한 타격회수
o 표준관입시험의 장단점
- 장점 : N값 측정과 동시에 시료채취 가능
사용실적이 많고 지층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용이
- 단점 :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른 측정오차가 크다
지반의 토질과 지하수상태, 측정깊이 등이 N값에 영향을 미침
o N 값의 수정
- N 값이 15 이상인 경우 과대하게 측정됨
N' (수정치) = 15 + (N-15)/2
- 로드의 길이가 길 경우
N' = N(1-x/200), x = 로드길이 (m)
- 유효상재하중이 있을 경우
, = 유효상재압력 (t/m2)
o 결과의 이용
- N값과 내부마찰각, 상대밀도, 습윤(전체)단위중량의 관계 (표 2.9)
N
상대밀도
내부마찰각 (°)
습윤단위중량
근사치(t/m3)
Peck
Meyerhof
0~4
매우 느슨 0~0.2
28.5 이하
30 이하
1.1~1.6
4~10
느슨 0.2~0.4
28.5~30
30~35
1.4~1.8
10~30
중간 0.4~0.6
30~36
35~40
1.7~2.0
30~50
조밀 0.6~0.8
36~41
40~45
1.7~2.2
50 이상
매우 조밀 0.8~1.0
41 이상
45 이상
20~2.3
- N값과 탄성계수 의 관계 (표 2.10)
흙
실트, 모래질 실트
4
가늘거나 약간 굵은 모래
7
굵은 모래
10
모래질 자갈, 자갈
12~15
- N값과 연경도, 일축압축강도 , 습윤(전체)단위중량 의 관계 (표 2.11)
N
연 경 도
(kg/cm2)
(t/m3)
0~2
매우 연약(very soft)
0.25 이하
1.6~1.9
2~4
연 약(soft)
0.25~0.5
1.6~1.9
4~8
약간 굳은(medium)
0.5~1.0
1.7~2.0
8~15
굳 은(stiff)
1.0~2.0
1.9~2.2
15~30
매우 굳은(very stiff)
2.0~4.0
1.9~2.2
30 이상
단단한(hard)
4.0 이상
1.9~2.2
관 계 식
=N/8
- 확대기초의 허용지지력과 N값의 관계 (그림 2.21)
콘관입시험
o 정적 콘 관입시험(더치콘 관입시험, CPT)
- 직경 3.6cm, 선단면적 10cm2, 선단각 60o인 더치 콘을 흙속에 압입하면서 지반의 관입저항력을 측정하여 토층의 굳기 및 조밀한 정도를 구하는 시험
- 관입속도 1cm/sec로 이중관을 지중에 20cm 압입하여 측정깊이 까지 도달하면, 내관을 압입하여 5cm 관입시키고 이때의 압력을 구하여 선단면적으로 나누어 콘관입저항력 qc 산정
- 표준관입시험에 비하여 간편하며 연속적 시험이 가능
- 콘관입저항력과 N 값, 탄성계수의 관계 (표 2.12)
o 휴대용 콘 관입시험
- 연약토층의 점착력을 신속하게 측정
- 얕은 깊이의 지반강도를 조사는데 사용
o 피조콘 관입시험(piezocone penetration test)
- 콘관입저항력과 함께 간극수압도 동시에 측정가능
o 동적 콘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 표준관입시험에서 분리형 원통샘플러 대신 선단면적이 10cm2인 콘을 타격 관입시키는 방법
- Nd = 1.15N
베인시험 (vane test)
o 십자형의 베인(직경 5cm, 높이 10cm)을 로드선단에 장착하여 시추공 바닥에 내리고 지중에 압입한후 중심축을 회전시켜 회전모멘트를 구해 점토지반의 점착력을 구하는 비배수 전단시험
o
- D : 베인의 직경
- H 베인의 높이
- T : 회전 모멘트
- cu : 점착력 (비배수 전단강도)
o cu‘ = λ cu : 베인에서 구한 점착력은 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점략력보다 과대
- λ = 수정계수 (그림 2-28)
지하수위 측정
o 피조미터(piezometer) 사용하여 측정
원위치 투수시험
o 정수두시험
o 변수두시험
o 팩커시험(packer test)
물리탐사
o 탄성파탐사 : 파의 속도와 탄성계수의 관계를 이용
o 전기탐사 : 전기비저항과 토질 및 암질의 상관관계 이용 (토질 및 암질 분류)
o 음파탐사 : 수면아래 지중상태 추정
o 물리검층 : 흙의 탄성계수 및 전단계수 추정
o 단층촬영탐사 : 지반의 물성분포를 영상으로 구현
o 공내영상촬영 : 지반 또는 암반내의 상태 촬영 (균열의 크기와 방향, 충진물 등)
주상도 (boring log) 작성
o 시추 주상도의 예 (그림 2-43)
o 기록사항
- 시추회사명, 시추자의 이름
- 작업명 및 번호
- 시추의 회수 및 종류
- 시추날짜
- 지반성층 (채취된 흙을 관찰하여 얻음)
- 지하수위 및 관찰날짜
- N값 및 깊이
- 수집된 흙시료의 번호, 형태, 깊이
- 암석시료의 경우 회수율 및 RQD
o RQD와 암질의 관계
RQD (%)
암 질
Ef/Elab
0 ~ 25
25 ~ 50
50 ~ 75
75 ~ 90
90 ~ 100
매우 불량 (very poor)
불량 (poor)
보통 (fair)
양호 (good)
우수 (excellent)
0.15
0.2
0.25
0.3 ~ 0.7
0.7 ~ 1.0
o 암반의 분류
- 공학적 분류 : RMR 분류법, Q시스템 분류법
- 암반의 강도 : 풍화암, 연암, 보통암, 경암, 극경암
- 토공작업의 난이도 : 토사, 리핑(ripping)암, 발파암
o RMR 분류법
- 암석의 강도(15점), RQD(20점), 절리면의 간격(20점), 절리면의 상태(30점), 지하수조건(15점) 등의 평점을 합산하여 RMR(rock mass rating) 분류
RMR
100 ~ 80
80 ~ 60
60 ~ 40
40 ~ 20
20 이하
등급
1
2
3
4
5
암반 품질
우수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
4 원위치 시험
원위치 시험의 종류
o 사운딩(sounding) 시험 : 표준관입시험, 정적 콘관입시험, 동적 콘 관입시험, 스웨덴식 관입시험, 베인시험 등
o 특성시험 : 공내재하시험, 평판재하시험, 투수시험 등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o 표준관입시험치 (N 값) : 샘플러에 연결된 굴착로드의 상단을 63.5kg(140lb)의 해머로 75cm(30inch)의 높이에서 낙하 타격하여 샘플러를 45cm 관입시키고, 마지막 30cm 관입에 필요한 타격회수
o 표준관입시험의 장단점
- 장점 : N값 측정과 동시에 시료채취 가능
사용실적이 많고 지층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용이
- 단점 :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른 측정오차가 크다
지반의 토질과 지하수상태, 측정깊이 등이 N값에 영향을 미침
o N 값의 수정
- N 값이 15 이상인 경우 과대하게 측정됨
N' (수정치) = 15 + (N-15)/2
- 로드의 길이가 길 경우
N' = N(1-x/200), x = 로드길이 (m)
- 유효상재하중이 있을 경우
, = 유효상재압력 (t/m2)
o 결과의 이용
- N값과 내부마찰각, 상대밀도, 습윤(전체)단위중량의 관계 (표 2.9)
N
상대밀도
내부마찰각 (°)
습윤단위중량
근사치(t/m3)
Peck
Meyerhof
0~4
매우 느슨 0~0.2
28.5 이하
30 이하
1.1~1.6
4~10
느슨 0.2~0.4
28.5~30
30~35
1.4~1.8
10~30
중간 0.4~0.6
30~36
35~40
1.7~2.0
30~50
조밀 0.6~0.8
36~41
40~45
1.7~2.2
50 이상
매우 조밀 0.8~1.0
41 이상
45 이상
20~2.3
- N값과 탄성계수 의 관계 (표 2.10)
흙
실트, 모래질 실트
4
가늘거나 약간 굵은 모래
7
굵은 모래
10
모래질 자갈, 자갈
12~15
- N값과 연경도, 일축압축강도 , 습윤(전체)단위중량 의 관계 (표 2.11)
N
연 경 도
(kg/cm2)
(t/m3)
0~2
매우 연약(very soft)
0.25 이하
1.6~1.9
2~4
연 약(soft)
0.25~0.5
1.6~1.9
4~8
약간 굳은(medium)
0.5~1.0
1.7~2.0
8~15
굳 은(stiff)
1.0~2.0
1.9~2.2
15~30
매우 굳은(very stiff)
2.0~4.0
1.9~2.2
30 이상
단단한(hard)
4.0 이상
1.9~2.2
관 계 식
=N/8
- 확대기초의 허용지지력과 N값의 관계 (그림 2.21)
콘관입시험
o 정적 콘 관입시험(더치콘 관입시험, CPT)
- 직경 3.6cm, 선단면적 10cm2, 선단각 60o인 더치 콘을 흙속에 압입하면서 지반의 관입저항력을 측정하여 토층의 굳기 및 조밀한 정도를 구하는 시험
- 관입속도 1cm/sec로 이중관을 지중에 20cm 압입하여 측정깊이 까지 도달하면, 내관을 압입하여 5cm 관입시키고 이때의 압력을 구하여 선단면적으로 나누어 콘관입저항력 qc 산정
- 표준관입시험에 비하여 간편하며 연속적 시험이 가능
- 콘관입저항력과 N 값, 탄성계수의 관계 (표 2.12)
o 휴대용 콘 관입시험
- 연약토층의 점착력을 신속하게 측정
- 얕은 깊이의 지반강도를 조사는데 사용
o 피조콘 관입시험(piezocone penetration test)
- 콘관입저항력과 함께 간극수압도 동시에 측정가능
o 동적 콘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 표준관입시험에서 분리형 원통샘플러 대신 선단면적이 10cm2인 콘을 타격 관입시키는 방법
- Nd = 1.15N
베인시험 (vane test)
o 십자형의 베인(직경 5cm, 높이 10cm)을 로드선단에 장착하여 시추공 바닥에 내리고 지중에 압입한후 중심축을 회전시켜 회전모멘트를 구해 점토지반의 점착력을 구하는 비배수 전단시험
o
- D : 베인의 직경
- H 베인의 높이
- T : 회전 모멘트
- cu : 점착력 (비배수 전단강도)
o cu‘ = λ cu : 베인에서 구한 점착력은 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점략력보다 과대
- λ = 수정계수 (그림 2-28)
지하수위 측정
o 피조미터(piezometer) 사용하여 측정
원위치 투수시험
o 정수두시험
o 변수두시험
o 팩커시험(packer test)
물리탐사
o 탄성파탐사 : 파의 속도와 탄성계수의 관계를 이용
o 전기탐사 : 전기비저항과 토질 및 암질의 상관관계 이용 (토질 및 암질 분류)
o 음파탐사 : 수면아래 지중상태 추정
o 물리검층 : 흙의 탄성계수 및 전단계수 추정
o 단층촬영탐사 : 지반의 물성분포를 영상으로 구현
o 공내영상촬영 : 지반 또는 암반내의 상태 촬영 (균열의 크기와 방향, 충진물 등)
주상도 (boring log) 작성
o 시추 주상도의 예 (그림 2-43)
o 기록사항
- 시추회사명, 시추자의 이름
- 작업명 및 번호
- 시추의 회수 및 종류
- 시추날짜
- 지반성층 (채취된 흙을 관찰하여 얻음)
- 지하수위 및 관찰날짜
- N값 및 깊이
- 수집된 흙시료의 번호, 형태, 깊이
- 암석시료의 경우 회수율 및 RQD
추천자료
지역이기주의사례를 제시하고, 이에대한 각자의 해결안을 구상해 보시오.
황남대총에 관하여
집단요법(집단치료)
우체국 행정서비스헌장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행정수도 건설시 방재개념 도입방안
교량의 개념과 기술 분류 및 향후 기술 발전방향
공급처리 및 도시시설계획
[삼척시][탄광 폐광][강원도]삼척시 답사, 삼척시의 역사적 배경, 삼척시의 자연환경, 삼척시...
[지하수][지하수오염][지하수관리]지하수의 정의, 지하수층의 종류, 지하수의 중요성, 지하수...
[토목][토목공사][터널굴착][토목(토목공사) 범위][터널굴착 공법][터널굴착 신기술]토목(토...
슬러지 처리 공정
측량 보고서 (대학교)
옥상정원 (Roof - Garden)
한국어 개별 문법 항목에 대한 교육은 그것의 의미, 형태 통사적 정보, 담화화용적인 기능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