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라깡의 생애
2. 라깡의 욕망이론
3. 주체의 형성과정
4. 라깡에대한 평가
2. 라깡의 욕망이론
3. 주체의 형성과정
4. 라깡에대한 평가
본문내용
생각하며 아이는 어머니의 욕망을 만족시켜주기 위해서 어머니의 욕망의 대상인 팔루스에 자신을 동일화시킴으로서 어머니를 독점하고자 한다.)
그런 나르시스적 상태에 있는 아기에게 아버지는 약탈자로 등장한다. 즉 어머니의 약탈자인 셈이다. 아버지는 아기에게 어머니의 욕망대상인 팔루스가 됨을 금지시키고 아기가 어머니와의 이자적 관계를 지속하지 못하도록 한다. 아버지는 삼자적 관계를 가능케 하는 첫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존재이다.
상징계로의 접근은 어머니와 자식의 이자적 세계인 상상계에서 나와, 아버지의 이름과 아버지의 법에 대한 인식으로 경계선을 건넘으로써 성취된다. 인간이 사회생활을 수행해 나가기 위하여 이자적 관계가 극복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상상적인것의 단계가 삼자적인 관계인 상징적인 것에 자리를 양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징계로의 진입은 신체를 기반으로 하던 물질적인 관계에서 자회적 교환, 문화, 그리고 금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로 들어간 것을 말한다.
라깡은 또한 아버지의 이름이 중요한 기표라고 보고있다. 이 아버지는 상징적인 아버지, 또는 아버지의 은유이기도 하다. 아버지의 이름은 가정의 상징적 법과 질서의 기초가 된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상징적인 아버지가 꼭 실재의 아버지와 일치할 팰요는 없다. 아버지가 죽어서 모자간만 존재하더라도 상징적 아버지가 아버지의 이름이란 법으로 작용하기만 하면 된다. 아들이 어머니와의 이자적 관계를 포기하지 않으면, 아버지의 법은 아들에게 위협이 되고 그 위협은 거세의 공포로 나타난다. 거세의 위협은 아기 자신의 자아를 위험으로 몰고가는 공포를 자아낸다. 거세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아기는 아버지의 상징과 그 권위에 굴복한다. 이런 거세 콤플렉스가 어머니에 대한 나르시스적 사랑에 종지부를 직게한다. 여자아이의 경우도 어머니의 용망의 대상인 팔루스적 존재라는 환상을 갖는다. 그러나 거세 콤플렉스 앞에서 여자아이는 공포를 느끼지 안혹, 자기 어머니와 같이 자기도 이미 거세된 존재임을 발견하게 되고, 그 발견은 동시에 자연스럽게 아버지다움에 복종하게 된다.
아이는 아버지의 법에 복종한다. 부친적 형상은 아이를 어머니와의 모든 관계로부터 유리시키는 구실을 하게 된다. 아버지는 법의 원칙, 특히 언어체계의 법을 도입한다. 이 법이 무너지거나 습득되지 못한다면 주체는 정신병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외디푸스 콤플렉스는 인간이 상상적 세계에서 상징적 세계 즉 언어활동의 세계로 이행케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4. 라깡에대한 평가
라깡은 그 문체의 난해성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을 소쉬르화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라깡의 사상에는 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판이 부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또한 라깡은 구조주의에 의해 발전된 방법론으로 프로이드를 재해석했다는 점, 주체의 발달에 대한 설명이 문화연구, 영화연구(영화의 상상계, 거울과 영화, 영화와 꿈 등), 문학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오늘날까지도 구조주의의 주요한 학자로서 연구되고 있다.
그런 나르시스적 상태에 있는 아기에게 아버지는 약탈자로 등장한다. 즉 어머니의 약탈자인 셈이다. 아버지는 아기에게 어머니의 욕망대상인 팔루스가 됨을 금지시키고 아기가 어머니와의 이자적 관계를 지속하지 못하도록 한다. 아버지는 삼자적 관계를 가능케 하는 첫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존재이다.
상징계로의 접근은 어머니와 자식의 이자적 세계인 상상계에서 나와, 아버지의 이름과 아버지의 법에 대한 인식으로 경계선을 건넘으로써 성취된다. 인간이 사회생활을 수행해 나가기 위하여 이자적 관계가 극복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상상적인것의 단계가 삼자적인 관계인 상징적인 것에 자리를 양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징계로의 진입은 신체를 기반으로 하던 물질적인 관계에서 자회적 교환, 문화, 그리고 금기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로 들어간 것을 말한다.
라깡은 또한 아버지의 이름이 중요한 기표라고 보고있다. 이 아버지는 상징적인 아버지, 또는 아버지의 은유이기도 하다. 아버지의 이름은 가정의 상징적 법과 질서의 기초가 된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상징적인 아버지가 꼭 실재의 아버지와 일치할 팰요는 없다. 아버지가 죽어서 모자간만 존재하더라도 상징적 아버지가 아버지의 이름이란 법으로 작용하기만 하면 된다. 아들이 어머니와의 이자적 관계를 포기하지 않으면, 아버지의 법은 아들에게 위협이 되고 그 위협은 거세의 공포로 나타난다. 거세의 위협은 아기 자신의 자아를 위험으로 몰고가는 공포를 자아낸다. 거세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아기는 아버지의 상징과 그 권위에 굴복한다. 이런 거세 콤플렉스가 어머니에 대한 나르시스적 사랑에 종지부를 직게한다. 여자아이의 경우도 어머니의 용망의 대상인 팔루스적 존재라는 환상을 갖는다. 그러나 거세 콤플렉스 앞에서 여자아이는 공포를 느끼지 안혹, 자기 어머니와 같이 자기도 이미 거세된 존재임을 발견하게 되고, 그 발견은 동시에 자연스럽게 아버지다움에 복종하게 된다.
아이는 아버지의 법에 복종한다. 부친적 형상은 아이를 어머니와의 모든 관계로부터 유리시키는 구실을 하게 된다. 아버지는 법의 원칙, 특히 언어체계의 법을 도입한다. 이 법이 무너지거나 습득되지 못한다면 주체는 정신병으로 고통받을 수도 있다.
외디푸스 콤플렉스는 인간이 상상적 세계에서 상징적 세계 즉 언어활동의 세계로 이행케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4. 라깡에대한 평가
라깡은 그 문체의 난해성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을 소쉬르화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라깡의 사상에는 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판이 부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또한 라깡은 구조주의에 의해 발전된 방법론으로 프로이드를 재해석했다는 점, 주체의 발달에 대한 설명이 문화연구, 영화연구(영화의 상상계, 거울과 영화, 영화와 꿈 등), 문학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오늘날까지도 구조주의의 주요한 학자로서 연구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