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WTO체제의 현황
Ⅰ. 회원국 확대 및 조직구성
Ⅱ. 무역정책 검토의 실시
Ⅲ. 분쟁해결기구
Ⅳ. UR협상결과의 이행점검
Ⅴ. UR후속협상의 추진
Ⅵ.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Ⅰ. 회원국 확대 및 조직구성
Ⅱ. 무역정책 검토의 실시
Ⅲ. 분쟁해결기구
Ⅳ. UR협상결과의 이행점검
Ⅴ. UR후속협상의 추진
Ⅵ.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본문내용
이후 다시 협상을 재개키로 하였다.
인력이동협상그룹은 1995년 7월 25일에 GATS 제3차 협정서에 첨부될 6개항의
합의사항을 도출함으로써 협상을 완료하였다. 동 협정서는 1996년 1월말까지의 합
의사항을 수락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이 시일을 기점으로 적용키로 하고, 이외의 국
가들은 1996년 6월 30일까지 합의사항에 대한 수락 여부를 밝히기로 하였다.
이의에도 전문직서비스 작업반, GATS 규칙 작업반, 서비스관련 특정협정의 시행
을 감독하기 위한 목적의 특정협정위원회 등이 1995년 중 조직되어 가동 중이나, 아
직까지 특별한 활동은 보이지 않고 있다.
6)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새로운 통상의제(new trade issues) 중에는 무역과 환경이슈만이 WTO에서 본격
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WTO의 무역환경위원회는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해 무역과
환경보호의 상효과제에 대해 많은 공감대를 이루었으며, 또한 환경정책과 무역정책
의 지속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였다. 동
위원회의 논의결과를 오는 1996년 12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제1차 WTO 각료회담
에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새로운 통상이슈로 대두시켰다.
무역과 환경 이외의 신 통상이슈와 관련하여 WTO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로는 투
자와 경쟁정책을 선정하였으며 무역과 노동기준은 사안의 민감성으로 마라케시에서
는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신 통상이슈들은 WTO체제 밖에서 오히려 더
욱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WTO에로의 편입이 본격적으로 거
론되지 않고 있다.
인력이동협상그룹은 1995년 7월 25일에 GATS 제3차 협정서에 첨부될 6개항의
합의사항을 도출함으로써 협상을 완료하였다. 동 협정서는 1996년 1월말까지의 합
의사항을 수락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이 시일을 기점으로 적용키로 하고, 이외의 국
가들은 1996년 6월 30일까지 합의사항에 대한 수락 여부를 밝히기로 하였다.
이의에도 전문직서비스 작업반, GATS 규칙 작업반, 서비스관련 특정협정의 시행
을 감독하기 위한 목적의 특정협정위원회 등이 1995년 중 조직되어 가동 중이나, 아
직까지 특별한 활동은 보이지 않고 있다.
6) 새로운 통상의제의 논의
새로운 통상의제(new trade issues) 중에는 무역과 환경이슈만이 WTO에서 본격
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WTO의 무역환경위원회는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해 무역과
환경보호의 상효과제에 대해 많은 공감대를 이루었으며, 또한 환경정책과 무역정책
의 지속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였다. 동
위원회의 논의결과를 오는 1996년 12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제1차 WTO 각료회담
에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새로운 통상이슈로 대두시켰다.
무역과 환경 이외의 신 통상이슈와 관련하여 WTO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로는 투
자와 경쟁정책을 선정하였으며 무역과 노동기준은 사안의 민감성으로 마라케시에서
는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신 통상이슈들은 WTO체제 밖에서 오히려 더
욱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WTO에로의 편입이 본격적으로 거
론되지 않고 있다.
추천자료
수퍼비젼의 개념정의와 중요성
WTO체제의 통신시장개방이 국내통신시장과 한국통신(KT)에 미치는 영향
학교혁신에 대하여 - 개념정의부터 국내외사례를 통한 결론 도출
ERP의개념과ERP패키지현황
[경영]ERP의개념과ERP패키지현황
[사회적_문제_요점정리]저작권의_개념과_저작권_침해_현황_및_해결방안(2012년 추천 우수 레...
다문화가정 개념.현황,국내해외사례,문제점,해결방안,나의의견
사회복지정책의 개념정의의 형성과정,사회복지정책의 목표와 가치
[표준시간] 표준시간의 의의(개념정의), 표준시간 목적과 기능
[행정권력 行政權力] 행정권력 배분의 개념정의, 행정권력의 현상
[행정문화 (行政文化)] 행정문화의 의의(개념정의), 행정문화 관점
[경찰조직의 공공관계(Public Relations)] 경찰공공관계의 개념정의와 기능, 특성(특징), 효...
[교과교육] 교과교육의 의의(개념정의)와 성격, 교과교육학의 구성(구조)
[지방자치와 정당참여] 정당참여의 의의(개념정의)와 필요성, 정당참여 기능(순기능과 역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