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중환자 간호 문헌고찰 (갑상선, 부신,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췌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분비계 중환자 간호 문헌고찰 (갑상선, 부신,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췌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갑상선
 1) 갑상선기능항진증-thyroid crisis
 2) 갑상선 기능저하증-점액수종혼수
2. 부신
 1)부신기능부전증 Adrenal crisis
3.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1) SIADH
 2) DI
4. 췌장
  1) DKA
  2) HHS

본문내용

: 탄수화물 대사 대신 지방대사가 이루어질 시 발생
대사성 산증이 Ph를 유지하기 위한 신체의 보상작용으로 발생
(6) 요케톤
: 정상소변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소변의 케톤체는 인슐린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지방파괴나 지방용해로 발생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고삼투성고혈당증 비교
DKA
HHS
발현
급성/점진적. 보통2일이내
점진적, 보통 5일이상
당뇨의 과거력
85%
60%
당뇨의 유형
제 1형
제 2형
나이
보통 40세 미만
보통 60세 이상
사망위험
1-15%
20~40%
약물력
인슐린
스테로이드, 티아지드, 경구약제
신체적 증상
탈수, kussmaul 호흡,
의식수준 변화,
탈수, 반응둔화, 저체온증,
kussmaul 호흡부재
혈당
평균, 600mg/dl
범위: 250~1200mg/dl
평균, 1100mg/dl
범위, 400-4000mg/dl
케톤
존재
존재하지 않음
삼투압
평균, 320mOsm/L
평균 400mOsm/L
동맥혈 pH
평균, 7.07
평균 7.26
중탄산염
매우낮음(<10mEq/L)
정상 혹은> 10mEq/L
음이온 차이
>12mEq/L
<12mEq/L
4-1.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
1) 병태생리
-인슐린 부족하면 세포 내로 들어가는 포도당의 양이 감소하고, 간은 포도당을 무제한으로 생산한다.(고혈당) 체내의 과다한 포도당 제거하기 위해 신장에서는 수분 및 전해질과 더불어 포도당을 제거하려고 한다. (고삼투성 이뇨 )
--> 탈수, 전해질 손실
-인슐린 부족 시의 또 다른 현상으로 지방세포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 지방산은 간에서 케톤체로 전환된다. 이것이 순환계에 축적되면 대사성 산증과 혼수를 초래한다.
* 3가지 주요 생리학적 장애
-고혈당증에 기인한 고삼투질 농도
-케톤산의 축적에 의한 대사성산증
-삼투성 이뇨에 의한 체액 상실
2) 원인
①부적절한 insulin 사용
②Infection: pneumonia, UTI, gastroenteritis, sepsis등
③Infarction: cerebral, coronary ,mesenteric, peripheral등
④Drugs: cocaine등
⑤Pregnancy
⑥Alcohol
3) 사정
-징후: 과다환기, kussmaul호흡과 "과일향"나는 호흡, 기면, 혼수, 고혈당증, 당뇨, 체액상실, 고삼투질농도, 음이온차이 증가(>7mEq/L), 중탄산염감소(<10mEq/L), pH 감소(<7.4)
-투약, 최근의 건강변화: 식욕, 체중변화, 음식, 수분섭취, 갈증, 복부팽만과 불편감, 위장관 기능, 소변의 횟수와 양 등
-감염의 확인: 비뇨기계/상부호흡기 감염 등
5) 진단검사
-감염 여부 확인 :인후, 소변, 혈액배양
-흉부방사선 촬영, 심전도 시행
5) 치료
(1) 순환혈액량과 조직관류 개선
-심각한 세포 외액 상실을 회복하고 가능한 빨리 신장관류를 복구하는 것
-Na수준이 155mg/dl이상 : half saline 투여
-알부민/혈장농축제와 혈장확장제
-합병증: 뇌부종, 폐부종
(2) 인슐린 요법
-인슐린은 지방조직에서 나오는 유리 지방산을 차단함으로써 케톤의 생산을 감소시킨다.
-인슐린요법 시작하기 전이나 제공 하는 중에는 용적을 충분히 보충해주어야 한다(:혈관허탈방지)
-방법: 인슐린 0.15U/kg을 일시에 정맥내로 주입하고 이후에는 0.1U/kg/hr의 속
도로 infusion
혈당이 250mg/dl 에 도달 시 인슐린 주입의 속도를 줄이고 포도당을 수
액에 추가한다(뇌부종방지)
(3) 칼륨과 인산염
-칼륨: 검사결과가 확인될 때까지 보충하지 않는다
(인지되지 않은 고칼륨혈증 , 신장기능 저하시 치명적)
초기 칼륨 수치 정상, 정상보다 높다면 칼륨수치가 떨어지기 시작하고
소변량이 유지될 때까지 칼륨보충을 보류한다.
-P: 소변으로 인한 인산염 -> 적혈구의 무기 인산염 -> 적혈구의 산소결합력 저하-> 조직으로의 산소해리 감소-> 조직의 저산소증 악화
(4) 중탄산염 보충
-중탄산염 5mEq/L 이하이며 동맥혈 pH가 7.0이하인 심각한 산증 환자들에게 중탄산염 보충
-중탄산염 결핍을 계한하여 최소한 10-12mEq/L범위까지 올릴 수 있도록 보충
(5) 대상자교육
-BST q4hrs, qid
-BST 240mg/dl보다 높다면 4시간마다 케톤검사
-필요시 속효성인슐린 투여, 경구 혈당강화제 복용 등
4-2. 고삼투성 고혈당증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HHS)
1) 정의
: 케톤산증이 없는 고혈당증과 고삼투성 상태.
고혈당증, 고 삼투질 농도, 삼투성 이뇨, 심각한 탈수
2) 원인: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췌장염, 외상, 패혈증, 화상, 폐렴
-식이보조제, 경관영양, 복막투석과 같은 과도한 탄수화물섭취
-약물: 코티스코스테로이드, 티아지드이뇨제, 진정제, 교감신경흥분제 등
2)병태생리
-Insulin부족-> 고혈당 ->삼투압상승-> 삼투성 이뇨, 탈수
-> 혈액농축, 점성도 증가-> 혈류저하 ->저산소증, 전해질소실
-코티졸과 에피네프린 같은 역조절 호르몬들의 효과와 더불어 순환 인슐린 감소는 고혈당증과 심한 고 삼투성 상태 야기
-인슐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케톤생산은 발생하지 않는다.
-부적절한 조직관류로 인한 젖산증으로 산증발생
3) 임상적 증상
: 허약, 다뇨, 다갈, 혼돈~혼수.
빈맥, 저혈압, 저심박출증, 피부탄력감소
빠른호흡, 피부 홍조 등
4) 검사
-보통 혈당은 600mg/dl이상
-고혈당증. 당이 2000mg/dl를 초과하기도 한다.
-혈청삼투압은 아주 낮고(>300 to 320mOsm/kg)
-대부분은 비케톤성
-고질소혈증, 고칼륨혈증, 젖산증
5) 치료
-체액손실 교정, 고혈당증 조절
-기저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
-체액불균형 교정: 9~12L
-저용량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정맥주입. 정상화되기 시작하면(250~300mg/dl) 인슐린 주입을 중단하고 포도당 주입(:혈당의 갑작스러운 저하 방지)
-혈액농축과 고 삼투질 농도로 인해 혈관 내 혈전증과 부분발작의 위험이 있으므로 치료 과정동안 발작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9.20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7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