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학]찬양 신학 - 신구약에서 찬양, 고대 중세 교회의 찬양, 종교 개혁에서 찬양, 개신교 찬양의 발견, 칼빈의 제네바 시편송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회학]찬양 신학 - 신구약에서 찬양, 고대 중세 교회의 찬양, 종교 개혁에서 찬양, 개신교 찬양의 발견, 칼빈의 제네바 시편송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상적인 삶의 한 부분으로서 노래

2. 신구약에서 찬양

3. 고대 중세 교회의 찬양

4. 종교 개혁에서 찬양
1) 존 후스
2) 마틴 루터
3) Constance Hymn Book (1540)
4) 쯔윙글리
5) 존 칼빈

5. 개신교 찬양의 발전

6. 칼빈의 제네바 시편송의 특징
1)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한 진지한 고심이 나타난다.
2) 초기 노래들은 통회와 탄식의 시편들이 주로 사용됨
3) 예배에서 시편 찬송은 “공연” 실습이 있었다
4) 찬양의 신학
5) 음악의 능력

본문내용

당하는 고통의 성향을 담고 있다. 이런 성향의 시편이 특색을 이루었기에 찬양에 대한 시편은 잘 불려지지 않았다. 1543년에 19개의 시편송들 가운데 하나를 제외한 모든 시편송들이 ‘적’을 언급하고 있고, 단지 4개만 찬양의 시편을 담고 있다. 이러한 선택들은 고통당하는 다윗과 자신의 일체감을 느끼면서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John Witvliet, The Spirituality of the Psalter in Calvin's Geneva)
3) 예배에서 시편 찬송은 “공연” 실습이 있었다
가톨릭 예배에서는 선택된 소수의 전문가들에 의해 노래가 불리어졌다면, 개혁 시대에는 모든 회중들이 함께 불리어졌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말이다. 특히나 중세 시대 여성들의 찬송의 목소리는 수녀원에서만 들려지던 것에 비하면 혁명적이었다. 이러한 찬송에 어린이들이 노래의 리더자들이었다. 1537년 Article에 보면, 칼빈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런 진행 방식이 우리들에게는 좋은 것 같다. 즉 건전한 교회 노래를 연습한 어린이들이 크고 특출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그리고 회중들은 집중해서 듣고 입으로 마음에서 우러나는 목소리로 따라 부른다. 모두가 노래를 부르는데 익숙해지기까지 말이다.”
칼빈은 악기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았다. 칼빈에게 있어서 예배에서 악기의 사용은 구약 시대에만 속한 것으로 보았다. 악기는 “이 고대 시대들에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기본적인 보조물로서 유용했었다. 그러나 그리스도 이후에는 더 이상 필요한 보조물이 아니다.” (John Witvliet, The Spirituality of the Psalter in Calvin's Geneva)
4) 찬양의 신학
칼빈에게 있어서, 시편 찬양을 포함해서 전 예배 행위는 그의 백성들 가운데 하나님의 행위로서 보여졌다. 이러한 신적인 행위는 삼위일체의 행위로 나타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찬송의 주된 지휘자이며, 하나님에 대한 찬양을 부름에 우리의 입술을 거룩하게 하시는 분이시며, 성령은 회중들로 하여금 노래를 부르도록 이끄시는 촉진자이시다.
5) 음악의 능력
음악의 사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음악을 좋은 쪽으로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음악을 오용하거나 오염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우리의 쾌락을 위한 데로 사용되어서는 안되고, 정직한 일에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음악의 파워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음악이 마음을 한 쪽으로 또는 다른 쪽으로 움직이는 엄청난 능력이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써 발견한다. 그러므로 건전한 사용으로 음악이 조정되어져야 할 것을 말한다. 음악과 관련하여 두 부류로 구성되어 있음을 이해한다. 하나는 주제, 또는 문자이며, 다른 하나는 노래 또는 멜로디이다. 나쁜 말 또는 내용은 아름다운 태도를 곡해해 버리며, 멜로디가 여기에 들어갈 때, 그 마음을 꿰뚫고 깊숙이 들어가 버린다는 사실이다. 멜로디는 통로 역할을 하면서, 포도주가 통에 쏟아지듯이, 독과 타락이 멜로디에 의해서 사람의 마음의 깊숙이에 저장되어진다.
시편을 선택한 이유들에 대해서는 어거스틴과 크리소스톰을 인용하면서, 하나님의 영감으로 된 것이기에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존경하는데 시편이 최상의 것임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찬양은 우선적으로 교훈적인 목적이 아니라 회중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높이기 위해 불리워졌다. 찬양은 회중들에게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자극해 준다. 다른 말로 감성에 호소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애정을 갖고 다가가도록 도와준다고 보았다.(John Witvliet, The Spirituality of the Psalter in Calvin's Geneva)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