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효율적인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 & 언어 활동 중심의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효율적인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 & 언어 활동 중심의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효율적인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
 1)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점검
 2) 수업 점검과 교사 연구자

2. 언어 활동 중심의 수업과 교사의 전문성
 1) 수업에서의 언어 활동의 의미
 2) 능동적 학습자의 특성과 읽기의 활용

본문내용

적인 학습이 정교화를 포함한다면, 교사는 수업에서 글 내용에 대한 학생의 정교화 과정을 적극 도입하고 활용하는 것이 좋다. 한 연구에서는 중학교 사회과 수업을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로 이끌어 가면서 교사에게 ‘악마(devil)의 역할'을 부여하였다. 이 수업에서 악마의 역할을 맡은 교사는 학생들에게 여러 질문을 주면서 이들의 사고를 깊고 넓게 유도해 주는 ‘변증법적 수업’을 한 것이다. 아래의 내용은 이 수업 연구에서 활용한 교사 질문의 일부 예이다(Collins, 1977).
교사: 북미에서는 어느 지역이 벼농사에 적합하리라 생각하나?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이끌어 낸다.)
학생: 루이지애나주 지역입니다.
교사: 왜 그렇다고 생각하나? (학생의 설명에 대한 이유나 근거를 묻는다.)
학생: 거기에는 물이 풍부하니까요. 벼는 물이 많은 땅에서 자란다고 생각합니다.
교사: 그래. 워싱턴이나 오레곤에서도 벼농사를 한다고 생각하나? (학생에게 반대되는 예를 제시하여 생각을 넓고 깊게 하게 한다.)
학생: 음,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교사: 왜지? (이유나 근거를 묻는다.)
(이하 생략)
위의 수업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수업에서 학생은 자신의 일반 지식과 경험을 적극 활용하여 전혀 배우지 않은 새로운 내용(벼농사의 적합한 조건)을 학습하고 있다. 교사의 질문은 바로 이런 배경 지식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학습 내용의 정교화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능동적 학습자는 자신의 배경 지식을 적극 활용하면서 학습의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는 전략을 취한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과 공부를 잘 하지 못하는 학생 사이의 큰 차이점은 바로 알고 있는 지식의 양이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이 더 많이 알고 있기 때문에 공부를 잘 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을 과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공부를 잘 하는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은 학습 방법에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이 활용하는 학습 방법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이 바로 자신의 학습에 대한 점검과 조절이다. ‘초인지(metacognition)’라고 부르는 이 개념은, 좀더 자세히 말하면, 학습의 과정에서 자신이 제대로 학습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분별하고, 자신의 학습 과정에 필요한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는 공부 전략(studying strategies)을 의미한다.
초인지 개념 속에는 몇 가지의 하위 요인이 포함된다. 첫째는 ‘학습자’인 자신에 대한 이해이고, 둘째는 학습 대상이 되는 ‘자료’에 대한 이해이다. 그리고 세 번째는 학습의 ‘준거’에 대한 이해, 그리고 네 번째는 현재의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이다. 이 네 요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학습 과정으로 말한다면, 초인지 개념이 발달한 학습자는 현재 학습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성격내용구조를 이해하고(자료에 대한 이해), 이에 대한 자신의 배경 지식이 적절한지, 충분한지 등을 점검하고(학습자 자신에 대한 이해), 글을 읽을 때에 어떤 내용을 어떤 수준에서 읽어야 할 지 점검하고(준거 즉 이해하여야 할 내용과 수준에 대한 이해; 이는 곧 평가의 준거가 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자신이 글을 제대로 읽고 있는지를 점검한다(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바로 초인지가 발달한 학습자를 길러내는 것이다. 교육을 이렇게 초인지 개념으로 본다면, 효율적인 수업이란 바로 이 초인지 개념을 발달시키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가 하는 ‘악마의 역할’은 일종의 학생의 초인지적 전략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업이고, 교사와 학생이 서로 역할을 바꾸어 가면서 텍스트를 읽는 상보적 수업(교사가 학생이 되고, 학생이 교사가 되어 각각의 역할에 맞추어 과제를 수행해 가는 수업)도 일종의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이다(Brown & Palincsar, 1982).
정리하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학습자를 기르는 데 있다. 그런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의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 바로 읽기와 쓰기에서 초인지적 전략을 구사하는 학습자이다. 그렇다면 교육 활동의 핵심이 되는 수업은 바로 읽기와 쓰기를 유효 적절하게 활용하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여러 교과의 내용 학습을 강조하는 중등교육에서는 학생들이 능동적이며 전략적으로 읽기와 쓰기를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수업이 곧 전문성 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