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교육 이슈의 교사교육 경제학적 이해 _ 교사교육 공급과 수요, 교사교육 재정과 투입 및 산출, 교사교육의 내적 효율성과 외적 효율성, 교사 현직교육 경제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사교육 이슈의 교사교육 경제학적 이해 _ 교사교육 공급과 수요, 교사교육 재정과 투입 및 산출, 교사교육의 내적 효율성과 외적 효율성, 교사 현직교육 경제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사교육 공급과 수요
1) 교사의 급여
2) 근무 여건
3) 준비 비용 및 다른 직업의 기회

2. 교사교육 재정
1) 교사교육 예산
2) 교사교육 재원 부담 주체
3) 교사교육 재정 연구 방향

3. 교사교육 투입

4. 교사교육 산출

5. 교사교육의 비용-효과와 비용-수익 분석

6. 교사교육의 내적 효율성과 외적 효율성
1) 내적 효율성
2) 외적 효율성

7. 교사 현직교육 경제학

본문내용

가 되기를 꺼려하고, 우수한 교사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이유를 양적인 자료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6. 교사교육의 내적 효율성과 외적 효율성
1) 내적 효율성
교사교육의 내적 효율성이란 교사교육의 결과를 교사가 획득한 지식과 기술로 평가하는 것이다. 내적 효율성에서 이슈가 되는 것은 ‘실제적’ 훈련과 전문 교육학 강좌 사이의 균형, 준비교육과 현직연수 사이의 균형 등이다. 먼저 현장에서 하는 실제적 훈련과 전문 교육학 강좌를 통해 제공되는 교육 사이의 균형과 관련해서는 교육학 일반 이론을 배우면 특정 교수 기법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가, 교육은 서로 다른 개개 학생들을 다루어야 하는 독특한 상황속에서 이루어지는데 과연 현장에서의 실제적 훈련이 일반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여기에 관해서는 연구가 별로 많지 않으면서도 결론은 다양한데(Smith & O'day, 1988; Gran, 1989) 주류를 이루는 결론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양자간에 균형을 이룬 교사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Wagner, 1995, p. 324).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데 이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은 교사교육을 통해서 가르치고 기르고자하는 지식과 능력이 무엇인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내용을 제공할 때 가장 효과적인가, 그리고 교사교육에 입문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능력, 관심, 배경, 그리고 동기들을 어떻게 배려할 것인가 하는 것 등이다.
내적 효율성에서 또 하나 이슈가 되는 것은 준비교육과 현직연수 사이의 균형이다. Eraut(1989)은 스웨덴과 일본을 비교한 연구에서 준비교육에 더 초점을 두고 있는 스웨덴의 제도가 현직연수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일본의 제도보다 효과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에 따르면 준비교육을 충실히 시키면 현직 연수의 효과가 더 커지고, 비용도 적게 든다(Wagner, 1995, p. 325에서 재인용). 하지만 교사교육 제도가 다양화되고, 정시제 교사 비율이 증가하며, 다른 경력 소지자가 교직에 들어오고, 교사 수요가 간헐적으로 급증하는 경우에는 현직연수가 더 효과적이다 (Wagner, 1995, p. 324).
2) 외적 효율성
외적 효율성이란 교사교육의 결과를 교사가 획득한 지식과 기술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교육 효과가 학생들에게 나타난 결과를 가지고 교사교육을 평가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행한 실험 연구의 경우 기존의 교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행동하도록 교육을 시켰더니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교육을 받은 교사의 교수 행위가 변화하여 학생들의 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성과는 학교 수준, 학생들의 특성, 과목, 그리고 성취도 유형에 따라 다양했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의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Wagner, 1995, p. 325). 일반적으로 어느 나라에서나 교사들은 교사교육이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박남기, 2000. 6; Smith & O'day, 1988). 이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내적 효율성 - 전달하는 지식과 기술을 미래교사들이 잘 습득하고 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가르치는 지식과 기술이 일선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적합하지 않거나 부적절하게 활용되면 외적 효율성을 갖지 못하게 됨을 말해준다 (Cohen, 1990). 어느 수준(학사, 석사 혹은 석사 상당 프로그램)에서 교사를 기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에 하는 문제도 외적 효율성의 차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다.
7. 교사 현직교육 경제학
교사교육이라고 하면 보통 준비교육을 일컬으나 넓게는 현직교육까지 포함된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현직교육과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로는 현직교육 프로그램의 비용 분석과 비용-수익 분석 등이 있다. 미국의 현직교육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중반 연간 현직교육 비용은 총 20억달러에 달하고 교사 1인당으로 따지면 약 1,000달러 정도 된다고 한다(Farries & Fluckm, 1985. Peseau, 1990, p. 167에서 재인용). Fennell (1980)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접비용보다는 현직교육을 위해 비운 시간 그리고 그 시간을 담당할 대체교사를 위한 비용이 여섯 배나 더 많다. 이 연구는 현직교육 프로그램 비용을 계산할 때 간접비용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Moore and Hyde (1981)는 미국 도시지역 세 곳에서의 현직교육 비용을 분석하면서 현직교육 비용을 강사료, 안식기간(sabbaticals), 연금, 대체 강사, 급여 인상, 그리고 교재와 비품 등의 여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직교육 유인체제로 사용하고 있는 급여 인상과 연금이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eseau, 1990, p. 167에서 재인용). 이 연구는 현직교육 간접비용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의 범위를 더 넓게 보여주고 있다.
현재 OEDC 국가에서는 현직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쟁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장 좋은 프로그램을 가장 낮은 가격으로 제공하는 현직교육 프로그램을 사도록 각 학교나 교육청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 그것이다(Wagner, 1995, p. 324). 우리 나라가 도입한 자율연수제도도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경우는 연간 교사 근무 시간중 약 8 퍼센트 정도가 다양한 현직 교육에 사용되고 있다. 스웨덴은 약 12 퍼센트의 교사들이 현직 교육 과정을 밟고 있으며 모든 교사들은 연 5일간 학교에서 실시하는 현직 연수에 참여해야 한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교사들의 현직 연수 비용이 교사 급여 총액의 약 1 퍼센트 정도된다. 세계 각 나라는 현직 연수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는데 첨단 정보 시스템 활용과 원격 교육이 그것이다 (Wagner, 1995, p. 323). 우리 나라도 다른 나라와 마찬 가지로 시도하고 있는 각종 원격 연수 프로그램 도입시에 교사교육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