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한국어 교육의 특수성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육]한국어 교육의 특수성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보면, 한국어 교사의 경우도, 한국어 및 한국어 교수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적 능력을 요구하고, 한국어 교육이라는 봉사 지향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교육 활동에서 자율권과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 교사집단으로서의 직업 윤리와 사회적 책임까지도 함께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히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와 이에 대한 검증 장치로서 교사 인증에 대한 논의가 발의되는 것은 한국어 교육이 실제로는 그다지 전문적이지 않은 인적 자원에 의해 수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일정한 능력 검증을 통해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지적 능력을 확보하려는 것은 한국어 발전을 위해서는 당연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앞에서 살핀 한국어 교사의 특성과 자질이 표준화된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사 인증 제도를 통해 공식적인 검증을 완료하게 된다면,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은 확고한 특성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김성렬(1987)의 전문직 기준에 대한 논의는 현행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한다.
전문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광범한 자율성을 갖는다. 그 자율성은 타인의 이익을 위해서 발휘해야 된다는 것이다. 즉, 전문직 자는 자기의 직무 수행에서 어떠한 외부의 통제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서 행동하며 이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지는 것이다. 이의 광범한 자율성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에 대한 봉사를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조건이 고도의 전문지식이며, 이 전문지식은 단편적인 잡동사니 지식이 아니라 이론 체계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만 다양한 상황에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직으로서의 자율성은 자기 결정(자기계획), 자기 실천(자기행동), 자기 책임(자기평가)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교사가 자신의 교육 행위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한국어 교사로서의 높은 수준의 지적 능력 못지 않게 ‘자율성’ 즉, 자신의 지적 능력의 유지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역량과 지식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0.07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