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학]감염병, 기생충 및 위생동물에 관한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위생학]감염병, 기생충 및 위생동물에 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감염병
1) 감염병의 개념
2) 경구 감염병
3) 호흡기계 감염병
4) 곤충 매개 감염병
5) 인축 공통 감염병

2. 기생충
1) 채소 감염 기생충
2) 육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
3) 어패류 감염 기생충

3. 위생동물

본문내용

외우렁이이고 제2중간숙주인 참붕어, 잉어등에게 기생하여, 황달이나 복수현상을 일으킨다. “요코가와흡충”은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에 들어간 후 제2중간숙주인 민물고기(은어)를 만나 metacercaria가 되며, 장염, 혈변, 소화기장애 등을 일으킨다. “광절열두조충”은 제1중간숙주인 물벼룩이 섭취 후 제2중간숙주인 송어, 연어 등으로 옮겨진 후 소화기장애를 일으킨다. “아니사키스”는 제1중간숙주인 plankton에 들어가고 이것을 제2중간숙주인 해산어류(오징어)가 섭취 후 소화관과 근육 등에서 cyst를 형성하여 식도, 소장점막층등으로 감염되며 구토, 오심, 설사 등이 나타난다. 공통적인 예방법으로는 민물고기나 해산어류의 생식을 금하며, 조리할 때의 위생적 처리가 중요하고 오염지역의 물을 끓여 마신다.
3. 위생동물
우리에게 직간접으로 피해를 끼치는 곤충과 동물 등을 <위생동물>이라 하며, 설치류인 “쥐”는 페스트, 장티푸스, 이질, 살모넬라 발진열, 쯔쯔가무시병, 유행성출혈열등의 질병을 옮기고 “파리”는 이질,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살모넬라 식중독과 기생충, 결핵, 나병도 포함한다. 몸 안팎에 기생하는 “진드기”는 천식 등의 알러지를 유발하며, 20도 이상의 높은 온도와 75% 이상의 습도에서 잘 번식하나 10도 이하 70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증식되지 못한다. “바퀴벌레”는 따뜻한 곳에서 주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각종 알레르기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등을 식품에 오염시켜 질병을 일으킨다. 공통적인 구제방법은 환경위생개선이며, 항상 주변을 깨끗이 하고 살충제등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10.07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