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녀
1. 공녀의 어원
2. 공녀 요구의 목적
1) 원나라의 공녀 요구
2) 명나라의 공녀 요구
3) 청나라의 공녀 요구
3. 공녀의 헌납상황
4. 공녀선발
5. 공녀의 기피 실태
6. 공녀의 운명
7. 기황후
환향녀
1.환향녀 어원
2.환향녀가 생겨나게된 계기와 피해상황
1) 병자호란 명의 몰락과 청의 압박
2) 청이 대리고간 조선여인들의 수난
3.여인들의 비참한 눈물...
1) 돌아온 화냥녀
2) 갈곳을 잃은 그녀들
1. 공녀의 어원
2. 공녀 요구의 목적
1) 원나라의 공녀 요구
2) 명나라의 공녀 요구
3) 청나라의 공녀 요구
3. 공녀의 헌납상황
4. 공녀선발
5. 공녀의 기피 실태
6. 공녀의 운명
7. 기황후
환향녀
1.환향녀 어원
2.환향녀가 생겨나게된 계기와 피해상황
1) 병자호란 명의 몰락과 청의 압박
2) 청이 대리고간 조선여인들의 수난
3.여인들의 비참한 눈물...
1) 돌아온 화냥녀
2) 갈곳을 잃은 그녀들
본문내용
려가자 막대한 관리 문제 로 조녀방을 패쇠하고 조선으로 가기를 원하는 여인들은 대려다 주기로 합니다. 이때 인원이 4만5천여명 이었다고 합니다.
(청연사 : 환녀 기록중)
3. 여인들의 비참한 눈물
1) 환 향 녀... (돌아온 그녀들)
수용소에서 개만도 못한 삶을 견대내며 그리워한 고향에 도착한 여인들 은 기쁨을 누릴 시간조차 없이 개같은 유교사상에 사로 잡힌 이조의 사 대부 집안들의 냉대와 버림을 받아야 했습니다. 각자 집으로 찾아간
그녀들에게 몸이나 팔고 술이나 먹다가온 여인취급을 하며 대문밖에
세워놓은체 들어오지도 못하게 머슴을 시켜 막아놓고 은장도를 주어
자결하라 강요하고 심지어 친정집에서조차 출가외인이라 하여 들여 보내 주지 않자 대부분 분에 못이겨 자살을 하고 굶어 죽었으니 이수가
1만 5천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사대부집 가문의 남성들은 왕을 상대 로 집단 이혼 소송까지 하게 되는데 이쯤되서야 이조는 나머지 3만을
구제하려고 국정을 논하게 됩니다.
이조실록 내용입니다.
'조선시대 환향녀들은 정절을 잃었다는 이유로 남편들로부터 공개적으로 이혼 청구를 받은 여성들이었다. 그러나 남자들이 이혼을 청구할 경우에 는 먼저 왕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선조 때 절개를 잃은 여자의 남편들 이 집단으로 왕에게 이혼을 청구했다. 그러나 선조는 “이혼을 요청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절개를 잃은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허락할 수 없다”고 이혼청구를 거절했다.
선조의 이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남편들은 모두 첩을 얻어 부인을 멀리 했다.
환향녀는 1627년(인조 5) 정묘호란과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도
많이 발생했다. 주로 북쪽 지방에 사는 여인들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의주에서 평양까지는 미인이 많아 벼슬아치나 양반의 처까지도
끌려갔다. 청나라에 끌려간 여자들 중 대부분 돌아올 수 없었으나 많은 돈을 주고 돌아온 여자들도‘환향녀’로 불리면서 치욕을 감수해야했다.
병자호란 후 돌아온 여자들도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아야만 했다.
인조도 선조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인조가 제시한 첩 허용을 받아들였으나, 강화도에서 청군에 붙잡혀 끌려간 영의정 장유의 며느리는 실절했다는 이유로
시부모로부터 이혼청구를 당했다. 물론 처음엔 인조의 허락을 받지 못했 지만, 장유가 죽은 후 그의 아내 김씨는 환황녀라 는 이유로 며느리를 내쫓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시부모에게 불손하다는 이유로 허락을
받아 이혼시켰다. 이처럼 암울한 역사의 산물인 환향녀는 신분사회에서 더 이상 설자리 가 없었다.
2) 갈곳을 잃은 그녀들.
우리나라 역사속에 비통하게 사라져간 여인들의 넋을 달래보며
그 여인들에게 이 시를 바칩니다.
환향녀
어디를 쏘대다 이제 왔느냐.
이방인과 생활이 얼마나 재미 있었으면 저고리 고름 손때로 반질하고
헤쳐진 머리칼에 이방인의 숨소리가 아직도 들리느냐
이러고도 사립 슬그머니 열고 타달 타달 들어 온 즉 어찌하겠다는 것이냐.
네년의 몸에선 서방의 흔적은 간 곳 없고 이방인 발자국만 남았으니
차라리 그곳에서 뒈져야지, 왜 왔느냐.
네년이 아니면 누룽지 못먹고 두레박질 못 할 줄 아느냐
어찌 더러운 몸으로 조상을 뵈며 정한수 한 그릇 떠 기도할꼬
오지랍 눈물 떨구는 네년 모습 가련타마는 용서 할 수 없는구나.
돌아갈 곳 어디메뇨, 네 에미 있는 곳 아니냐
서방님 골이나 욱대기시는 말씀, 죄 많은 이년 어찌 모르리이까.
살아도 여기서 살고, 죽어도 여기서 죽을 것이오니
제발 외인이 된 이녁을 친정으로 가란 말씀 거두시고 한 말씀 들어 보소서.
타향에 있을 적에 서방님 그리워 몸부림 친 날이 하늘의 별처럼 많아
밤마다 흘린 눈물, 저 달 속에 담았고
예까지 오다가 흘린 눈물, 피가 되어 땅을 적신즉
원하옵시면 가져다가 서방님 가슴에 얼룩이 되도록 뿌려 드리오리다.
고향 떠나 낯선 곳, 어두운 그늘에서도
어찌할 수 없어 이방인에게 몸을 버려 혀를 깨물고 싶었으나
모진 목숨 지탱하여 예까지 온 것은
서방님 얼굴 한 번이라도 더 보고 싶었기 때문이온 데 하여도 너무하오
하지만,
이제, 꿈에도 그리운 서방님 뵈었으니 지금 이슬 되어 이 집 귀신이 되다한들 여한이 없음이여
부디, 분이 풀리지 않으시면 이녁 죽여 까마귀 밥이 되게 하옵소서.
이제 죽음이 다가와 달이 변하여 피가 된다 한들
서방님 사랑하는 마음 변치 않으리오.
- 이호길 -
미려의 독백 중에서.....
(청연사 : 환녀 기록중)
3. 여인들의 비참한 눈물
1) 환 향 녀... (돌아온 그녀들)
수용소에서 개만도 못한 삶을 견대내며 그리워한 고향에 도착한 여인들 은 기쁨을 누릴 시간조차 없이 개같은 유교사상에 사로 잡힌 이조의 사 대부 집안들의 냉대와 버림을 받아야 했습니다. 각자 집으로 찾아간
그녀들에게 몸이나 팔고 술이나 먹다가온 여인취급을 하며 대문밖에
세워놓은체 들어오지도 못하게 머슴을 시켜 막아놓고 은장도를 주어
자결하라 강요하고 심지어 친정집에서조차 출가외인이라 하여 들여 보내 주지 않자 대부분 분에 못이겨 자살을 하고 굶어 죽었으니 이수가
1만 5천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사대부집 가문의 남성들은 왕을 상대 로 집단 이혼 소송까지 하게 되는데 이쯤되서야 이조는 나머지 3만을
구제하려고 국정을 논하게 됩니다.
이조실록 내용입니다.
'조선시대 환향녀들은 정절을 잃었다는 이유로 남편들로부터 공개적으로 이혼 청구를 받은 여성들이었다. 그러나 남자들이 이혼을 청구할 경우에 는 먼저 왕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선조 때 절개를 잃은 여자의 남편들 이 집단으로 왕에게 이혼을 청구했다. 그러나 선조는 “이혼을 요청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절개를 잃은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허락할 수 없다”고 이혼청구를 거절했다.
선조의 이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남편들은 모두 첩을 얻어 부인을 멀리 했다.
환향녀는 1627년(인조 5) 정묘호란과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도
많이 발생했다. 주로 북쪽 지방에 사는 여인들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의주에서 평양까지는 미인이 많아 벼슬아치나 양반의 처까지도
끌려갔다. 청나라에 끌려간 여자들 중 대부분 돌아올 수 없었으나 많은 돈을 주고 돌아온 여자들도‘환향녀’로 불리면서 치욕을 감수해야했다.
병자호란 후 돌아온 여자들도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아야만 했다.
인조도 선조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인조가 제시한 첩 허용을 받아들였으나, 강화도에서 청군에 붙잡혀 끌려간 영의정 장유의 며느리는 실절했다는 이유로
시부모로부터 이혼청구를 당했다. 물론 처음엔 인조의 허락을 받지 못했 지만, 장유가 죽은 후 그의 아내 김씨는 환황녀라 는 이유로 며느리를 내쫓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시부모에게 불손하다는 이유로 허락을
받아 이혼시켰다. 이처럼 암울한 역사의 산물인 환향녀는 신분사회에서 더 이상 설자리 가 없었다.
2) 갈곳을 잃은 그녀들.
우리나라 역사속에 비통하게 사라져간 여인들의 넋을 달래보며
그 여인들에게 이 시를 바칩니다.
환향녀
어디를 쏘대다 이제 왔느냐.
이방인과 생활이 얼마나 재미 있었으면 저고리 고름 손때로 반질하고
헤쳐진 머리칼에 이방인의 숨소리가 아직도 들리느냐
이러고도 사립 슬그머니 열고 타달 타달 들어 온 즉 어찌하겠다는 것이냐.
네년의 몸에선 서방의 흔적은 간 곳 없고 이방인 발자국만 남았으니
차라리 그곳에서 뒈져야지, 왜 왔느냐.
네년이 아니면 누룽지 못먹고 두레박질 못 할 줄 아느냐
어찌 더러운 몸으로 조상을 뵈며 정한수 한 그릇 떠 기도할꼬
오지랍 눈물 떨구는 네년 모습 가련타마는 용서 할 수 없는구나.
돌아갈 곳 어디메뇨, 네 에미 있는 곳 아니냐
서방님 골이나 욱대기시는 말씀, 죄 많은 이년 어찌 모르리이까.
살아도 여기서 살고, 죽어도 여기서 죽을 것이오니
제발 외인이 된 이녁을 친정으로 가란 말씀 거두시고 한 말씀 들어 보소서.
타향에 있을 적에 서방님 그리워 몸부림 친 날이 하늘의 별처럼 많아
밤마다 흘린 눈물, 저 달 속에 담았고
예까지 오다가 흘린 눈물, 피가 되어 땅을 적신즉
원하옵시면 가져다가 서방님 가슴에 얼룩이 되도록 뿌려 드리오리다.
고향 떠나 낯선 곳, 어두운 그늘에서도
어찌할 수 없어 이방인에게 몸을 버려 혀를 깨물고 싶었으나
모진 목숨 지탱하여 예까지 온 것은
서방님 얼굴 한 번이라도 더 보고 싶었기 때문이온 데 하여도 너무하오
하지만,
이제, 꿈에도 그리운 서방님 뵈었으니 지금 이슬 되어 이 집 귀신이 되다한들 여한이 없음이여
부디, 분이 풀리지 않으시면 이녁 죽여 까마귀 밥이 되게 하옵소서.
이제 죽음이 다가와 달이 변하여 피가 된다 한들
서방님 사랑하는 마음 변치 않으리오.
- 이호길 -
미려의 독백 중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