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국어 교육의 특수성과 사고
Ⅱ. 텍스트의 이해 수준
Ⅲ. 텍스트의 이해와 사고
<중학교 읽기 영역의 읽기의 원리와 실제>
<고등학교 국어 과목 읽기 영역의 읽기의 원리와 실제>
Ⅳ. 텍스트 이해 교육
참고문헌
Ⅱ. 텍스트의 이해 수준
Ⅲ. 텍스트의 이해와 사고
<중학교 읽기 영역의 읽기의 원리와 실제>
<고등학교 국어 과목 읽기 영역의 읽기의 원리와 실제>
Ⅳ. 텍스트 이해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12) 글의 신뢰성, 정확성, 공정성 등에 대해 토의하고,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13)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폭넓게 찾아 읽고, 읽은 내용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진다.
고등학교 국어과의 경우 (6)~(9)까지는 대체로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들이지만 구성 및 표현의 효과 평가(10), 글쓴이의 의도나 목적 파악(11), 글 내용의 비판적 수용(12) 등은 독자 중심의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들이다. 여기서도 창의적인 읽기 수준의 이해를 요구하는 내용이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기는 하지만 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보다 사정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보면 위에서 지적한 교육과정에서 텍스트 중심의 이해를 조장하고 있다는 말은 그 타당성을 의심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지적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저학년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지적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진 고학년에서는 독자 중심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재의 교육과정은 계열성에 충실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육과정 내용의 계열성이라는 측면에서 저학년과 고학년의 차이를 두는 것은 결국은 기능들의 위계와 계열성을 강조하는 기능 중심 교육관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초보적인 독자와 능숙한 독자의 차이는 기능의 차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읽기에서의 연구도 또한 참조할 수 있다(Dole et als., 1991). 즉, 초보자라고 해도 그들이 잘 알고 있는 지식과 관련된 텍스트는 능숙한 독자처럼 읽을 수 있으며, 능숙한 독자라고 해도 불명확하고 모호한 텍스트에 대해서는 초보자가 된다. 따라서, 초보적인 독자와 능숙한 독자가 학습해야 할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초보적인 독자에게도 그들에게 알맞은 내용의 텍스트를 갖고 내용을 파악하고, 재해석하고, 비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가운데 독해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다.
텍스트의 수준 높은 이해와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교수 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텍스트의 이해 과정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호 협조적인 교실을 만들어야 하며 학생 스스로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교사는 전달자, 관리자의 역할에서 의미 구성자로 그 역할이 전환되어야 하며 협동적 의미 만들기 작업은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둘째, 이해 학습은 총체적이며, 기능적(functional)이며 의미 있을 때 효과적이다. 이해 학습은 어떤 상황과 어떤 목적을 갖는 의미 있는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 자신의 삶과 실체에 관련시키도록 격려해야 한다.
셋째, 이해 학습은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서 독자 반응 중심의 이해로 그 중심이 옮겨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배경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추론, 비판, 상상을 통하여 텍스트를 상세화하는 작업에 참여하도록 한다. 참고로 Wittrock(1990)이 제시한 상세화 목록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제목, 장제목, 소제목 등이 없을 경우 만들어라.
2) 중요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 문장은 밑줄, 동그라미를 치고, 체크하라.
3) 질문을 만들어라.
4) 중심 생각을 자신의 말로 다시 표현하라.
5) 텍스트를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켜라.
6) 생각들 사이의 관계와 텍스트 전체의 관계를 찾아라.
7) 텍스트 전체 구조에 민감하라.
8) 예, 유추, 은유를 만들어라.
9) 예언, 추론, 결론을 만들어라.
10) 취급하기 어려운 것에 대해 그림, 표, 그래프 등을 그려라.
11)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라.
12) 원리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라.
참고 문헌
김대행(1996),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과 수준별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연구 14호, 한국교육학회 교육과정 연구회.
김언주(1991), 인지심리학, 정민사.
김중신(1994),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서울대 출판부.
김홍원(1993), 사고력 교육에 접근 방법, 사고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시교육연구원.
노명완(1989), 국어 교육론, 한샘.
노명완(1994), 국어과 교육과 사고력 신장, 사고력을 기르는 국어과 교육, 대한교과서(주).
노명완손영애이인제(1989), 국어과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연구 자료 RM 89-9, 한국교육개발원.
손영애(1986),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국어 교육 5758 합병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돈희(1987), 사고와 사고력의 교육적 가치, 사고와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이삼형김중신심영택(1998), 중등학교 국어과 사고 기능 신장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화 탐색, 교원대 교과교육연구소 연구보고.
이성범 역(1997), 화용론, 한신문화사.
한승희(1990), 교육 내용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교육 17권, 한국교육개발원.
한철우가경신(1997), 문학교육의 변화와 독자 반응, 문학과 교육 창간호, 문학과 교육 연구회.
한철우천경록 역(1995), 독서 지도 방법, 교학사.
Brozo, W.G. & M.L. Simpson(1995), Readers, Teachers, Learners, Prentice Hall.
Dole, J.A., Duffy,G.G., Roehler, L.R. & Pearson, P.D.(1991), “Moving From the Old to New: Research on Reading Comprehension Ins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61.
Paris, S., Wasik, B., & Turner, J.(1991),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Readers”, In R. Barr, M. Kamil, P. Mosental, & P. D.(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2), N.Y: Longman.
Sternberg, R.J. & E.E. Smith(1990), THe Psychology of Human Thought, 이영애 역(1992), 인간사고의 심리학, 교문사.
(12) 글의 신뢰성, 정확성, 공정성 등에 대해 토의하고,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13)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폭넓게 찾아 읽고, 읽은 내용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진다.
고등학교 국어과의 경우 (6)~(9)까지는 대체로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들이지만 구성 및 표현의 효과 평가(10), 글쓴이의 의도나 목적 파악(11), 글 내용의 비판적 수용(12) 등은 독자 중심의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들이다. 여기서도 창의적인 읽기 수준의 이해를 요구하는 내용이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기는 하지만 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보다 사정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보면 위에서 지적한 교육과정에서 텍스트 중심의 이해를 조장하고 있다는 말은 그 타당성을 의심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지적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저학년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지적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진 고학년에서는 독자 중심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재의 교육과정은 계열성에 충실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육과정 내용의 계열성이라는 측면에서 저학년과 고학년의 차이를 두는 것은 결국은 기능들의 위계와 계열성을 강조하는 기능 중심 교육관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초보적인 독자와 능숙한 독자의 차이는 기능의 차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읽기에서의 연구도 또한 참조할 수 있다(Dole et als., 1991). 즉, 초보자라고 해도 그들이 잘 알고 있는 지식과 관련된 텍스트는 능숙한 독자처럼 읽을 수 있으며, 능숙한 독자라고 해도 불명확하고 모호한 텍스트에 대해서는 초보자가 된다. 따라서, 초보적인 독자와 능숙한 독자가 학습해야 할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초보적인 독자에게도 그들에게 알맞은 내용의 텍스트를 갖고 내용을 파악하고, 재해석하고, 비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가운데 독해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다.
텍스트의 수준 높은 이해와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교수 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텍스트의 이해 과정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호 협조적인 교실을 만들어야 하며 학생 스스로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교사는 전달자, 관리자의 역할에서 의미 구성자로 그 역할이 전환되어야 하며 협동적 의미 만들기 작업은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둘째, 이해 학습은 총체적이며, 기능적(functional)이며 의미 있을 때 효과적이다. 이해 학습은 어떤 상황과 어떤 목적을 갖는 의미 있는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 자신의 삶과 실체에 관련시키도록 격려해야 한다.
셋째, 이해 학습은 텍스트 중심의 이해에서 독자 반응 중심의 이해로 그 중심이 옮겨져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배경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텍스트에서 출발하여 추론, 비판, 상상을 통하여 텍스트를 상세화하는 작업에 참여하도록 한다. 참고로 Wittrock(1990)이 제시한 상세화 목록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제목, 장제목, 소제목 등이 없을 경우 만들어라.
2) 중요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 문장은 밑줄, 동그라미를 치고, 체크하라.
3) 질문을 만들어라.
4) 중심 생각을 자신의 말로 다시 표현하라.
5) 텍스트를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켜라.
6) 생각들 사이의 관계와 텍스트 전체의 관계를 찾아라.
7) 텍스트 전체 구조에 민감하라.
8) 예, 유추, 은유를 만들어라.
9) 예언, 추론, 결론을 만들어라.
10) 취급하기 어려운 것에 대해 그림, 표, 그래프 등을 그려라.
11)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라.
12) 원리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라.
참고 문헌
김대행(1996),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과 수준별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연구 14호, 한국교육학회 교육과정 연구회.
김언주(1991), 인지심리학, 정민사.
김중신(1994),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서울대 출판부.
김홍원(1993), 사고력 교육에 접근 방법, 사고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시교육연구원.
노명완(1989), 국어 교육론, 한샘.
노명완(1994), 국어과 교육과 사고력 신장, 사고력을 기르는 국어과 교육, 대한교과서(주).
노명완손영애이인제(1989), 국어과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연구 자료 RM 89-9, 한국교육개발원.
손영애(1986),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국어 교육 5758 합병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돈희(1987), 사고와 사고력의 교육적 가치, 사고와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이삼형김중신심영택(1998), 중등학교 국어과 사고 기능 신장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화 탐색, 교원대 교과교육연구소 연구보고.
이성범 역(1997), 화용론, 한신문화사.
한승희(1990), 교육 내용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교육 17권, 한국교육개발원.
한철우가경신(1997), 문학교육의 변화와 독자 반응, 문학과 교육 창간호, 문학과 교육 연구회.
한철우천경록 역(1995), 독서 지도 방법, 교학사.
Brozo, W.G. & M.L. Simpson(1995), Readers, Teachers, Learners, Prentice Hall.
Dole, J.A., Duffy,G.G., Roehler, L.R. & Pearson, P.D.(1991), “Moving From the Old to New: Research on Reading Comprehension Ins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61.
Paris, S., Wasik, B., & Turner, J.(1991),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Readers”, In R. Barr, M. Kamil, P. Mosental, & P. D.(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2), N.Y: Longman.
Sternberg, R.J. & E.E. Smith(1990), THe Psychology of Human Thought, 이영애 역(1992), 인간사고의 심리학, 교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교수-학습의특징을 언어 사용 측면에서 분석
대중매체 언어의 특징과 대중매체 속 언어 사용의 실태
통신언어의 사용실태와 문제점 해결 방안
[미디어언어]신문사의 보도언어 사용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성차별적 언어의 사용 실태와 문제점 및 제언
인터넷언어 사용의 문제점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
대중문화 속 상품에서의 언어 사용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말과 언어,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특성, 유아언어교육...
총체적언어교육(총체적언어접근법)의 의미와 기본원리, 총체적언어교육(총체적언어접근법)의 ...
Godon의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서 관계를 악화시키는 장애요인적 언어표현의 종류(12가지)와 ...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각 예들에서 어떤 표현적 장치가 사...
(언어와생활2공통) 교재 1장을 참고,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 각 예들에서 어떤 표현...
언어와 현대사회, 남녀의 언어 사용 차이,음성적,어휘적,통사적,화용적 차이의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