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진보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진보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은 비정상적 삶의 공간으로서 학교와 학습을 당연시하는 왜곡된 상식 때문이다.
따라서 ‘9시 등교’는 집에서 밥을 먹고 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학교의 학습문화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상상하는 것이다. 학생의 생존적 요구인 ‘9시 등교’를 우리는 교육의 관점으로 전환하여 상상하고 구체화해야 한다. 그러할 때에 ‘학생을 위한 교육문화의 변화’가 비로소 시작될 것이다.
어느새 교육의 주체는 학교가 아닌 학원이 되버렸다. 학원에서 공부하다 피곤한 학생들은 학교에서는 잠을 잔다. 학생들이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없으니 학교는 자연히 침체되어 간다. 이 잘못된 현실을 끊어내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9시 등교이다. 그 이후 방과후 수업, 학교에서 주최하는 각종 경시대회, 현장학습 등을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9시등교는 결국에는 사교육 줄이기, 공교육 정상화를 지향하는 정책이다. 학생들이 충분히 잠을 자고 학교에서는 깨어 있으라는 것이다. 그래야 학교수업이든 동아리 활동이든 각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학교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 참고자료
-진보주의교육운동[Progressive Education Movement],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5.31.)
-PD수첩, ‘위기의 공교육, 희망은 어디에?’, 1011회, 2014.10.07.
-최태욱, ‘학생·학부모·선생님이 매점 주인… 사회적 협동조합, 학교를 바꾸다’, 조선일보, 2014.10.14.
-유재, ‘오전 9시 등교 찬성 : 학생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위해 필요’, 국회도서관, 2014.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11.22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