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동수정주의 철학>>
<행동주의 정의>
1. 행동주의란?
2.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ex) 수학교사가 싫으면 수학이 싫어짐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행동주의 학습이론>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2.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
3. Bendura의 관찰학습(사회적 학습)
<행동주의 장점과 단점>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행동주의 정의>
1. 행동주의란?
2.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ex) 수학교사가 싫으면 수학이 싫어짐
3.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행동주의 학습이론>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2.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
3. Bendura의 관찰학습(사회적 학습)
<행동주의 장점과 단점>
긍정적 영향
부정적 영향
본문내용
수업 등은 모두 개별화된 수업모형 들이다. 이들은 모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기초로 그들에게 맞는 내용을 가지고 그들의 학습 속도에 따라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도 이런 개별화수업 모형에서 나온 것이다.
프로그램 수업이란 일종의 자율 학습 방식으로, 학생은 대개 혼자서 프로그램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개별화 수업 모형들이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증거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 학습 단위의 세분화-구체화,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일 것이다. 행동적 수업목표란 일정한 수업의 도달 지점에서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행동’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하자는 것이다. ‘-을 안다.’, ‘-을 이해한다’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을 설명한다’, ‘-문제를 해결한다.’,‘-을 비교한다’ 등의 행동적 용어를 사용해서 목표를 설정한다. 행동적 목표를 사용하면 교사는 물론 학생 자신도 수업의 목표가 무엇인지 정확하고 쉽게 알 수 있으며, 목표의 달성 여부도 쉽게 알 수 있다.
2)행동수정 이론의 발달
보상이나 벌 등이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상식적인 일이며, 실제로 오래 전부터 생활의 실제에서 사용되어 왔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은 이들 보상이나 벌의 사용과정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다는 점일 것이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기초로 개발된 대표적인 행동 수정 방법들로는 행동 조성(shaping), 토큰체제(token system), 소거(extiction) 등이 있다.
행동조성이란 목표로 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달성해 나가는 방법이다. 행동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이 같은 방법은 생활지도 영역에 효과적이다
1) 행동조성의 최종목표와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의 목표 확인
2) 각 목표들에 대한 작동 수준을 조사
작동수준: 아무런 강화나 벌이 제공되지 않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목표로 하는 행 동이 일어나는 빈도
3) 각 목표 단계에 대한 강화 계획 세우기
4) 시행. 선택된 목표를 가지고 행동의 발생빈도에 대한 계속적인 점검
토큰 체제는 조건화된 강화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수정 방법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토큰이란 다른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는 물건 즉, 조건화된 강화인을 말한다.
예) 지각이 잦은 아이에게 지각을 하지 않을 때마다 스티커나 카드를 한 장씩 준다. 그 카드를 일정 수 모으면 보상이 주어진다
소거란 어떤 행동의 강화인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부정적 영향
1) 내면적 사고 과정 간과
인간의 내면적 사고과정의 이해는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행동주의 이론이 관찰가능한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내면적 사고과정을 소홀히 하는 경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고차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 사고 기능의 계발을 중요시하는 오늘날의 교육적 과제에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다.
2) 행동에 대한 외적 통제의 한계
인간은 외적 통제보다는 주로 자유의지에 의해 행동을 결정하고 판단한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은 외적인 환경의 인과적 배열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고, 교육에 있어서도 자연히 환경요인에 역점을 두게 된다. 그래서 행동주의 이론에 의한 학습 결과의 진단과 예측은 빚나갈 확률이 높다. 보상을 주는 것이 항상 강화에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보상을 받는 개인에 따라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프로그램 수업이란 일종의 자율 학습 방식으로, 학생은 대개 혼자서 프로그램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개별화 수업 모형들이 행동주의 학습 이론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증거는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 학습 단위의 세분화-구체화, 즉각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행동적 수업목표의 설정일 것이다. 행동적 수업목표란 일정한 수업의 도달 지점에서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행동’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하자는 것이다. ‘-을 안다.’, ‘-을 이해한다’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을 설명한다’, ‘-문제를 해결한다.’,‘-을 비교한다’ 등의 행동적 용어를 사용해서 목표를 설정한다. 행동적 목표를 사용하면 교사는 물론 학생 자신도 수업의 목표가 무엇인지 정확하고 쉽게 알 수 있으며, 목표의 달성 여부도 쉽게 알 수 있다.
2)행동수정 이론의 발달
보상이나 벌 등이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상식적인 일이며, 실제로 오래 전부터 생활의 실제에서 사용되어 왔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은 이들 보상이나 벌의 사용과정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다는 점일 것이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기초로 개발된 대표적인 행동 수정 방법들로는 행동 조성(shaping), 토큰체제(token system), 소거(extiction) 등이 있다.
행동조성이란 목표로 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달성해 나가는 방법이다. 행동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이 같은 방법은 생활지도 영역에 효과적이다
1) 행동조성의 최종목표와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의 목표 확인
2) 각 목표들에 대한 작동 수준을 조사
작동수준: 아무런 강화나 벌이 제공되지 않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목표로 하는 행 동이 일어나는 빈도
3) 각 목표 단계에 대한 강화 계획 세우기
4) 시행. 선택된 목표를 가지고 행동의 발생빈도에 대한 계속적인 점검
토큰 체제는 조건화된 강화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수정 방법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토큰이란 다른 일차적 강화인과 교환할 수 있는 물건 즉, 조건화된 강화인을 말한다.
예) 지각이 잦은 아이에게 지각을 하지 않을 때마다 스티커나 카드를 한 장씩 준다. 그 카드를 일정 수 모으면 보상이 주어진다
소거란 어떤 행동의 강화인을 제거함으로써 그 행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부정적 영향
1) 내면적 사고 과정 간과
인간의 내면적 사고과정의 이해는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행동주의 이론이 관찰가능한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내면적 사고과정을 소홀히 하는 경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고차적 사고과정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 사고 기능의 계발을 중요시하는 오늘날의 교육적 과제에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다.
2) 행동에 대한 외적 통제의 한계
인간은 외적 통제보다는 주로 자유의지에 의해 행동을 결정하고 판단한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은 외적인 환경의 인과적 배열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고, 교육에 있어서도 자연히 환경요인에 역점을 두게 된다. 그래서 행동주의 이론에 의한 학습 결과의 진단과 예측은 빚나갈 확률이 높다. 보상을 주는 것이 항상 강화에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보상을 받는 개인에 따라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학습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학습 이론)
[행동주의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분석 및 행동...
[행동주의 학습이론][파블로프][스키너][거스리][손다이크][헐][반두라]행동주의 학습이론(파...
[행동주의이론][반두라][스키너][파블로프][손다이크][상담기법][치료기법]행동주의이론(반두...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Lorenz의 동물생태학, Pi...
학습이론 / 행동주의 학습이론(연합설) / 인지학습이론(형태이론)
[영유아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행동주의 이론의 배경과 기본전제, 행동주의 이론의 학자(파...
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Bandura의 생애,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과정, ...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특징을 서술하고, 행동주의적인 학습법칙,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행동주의(行動主義) 이론을 통한 개인체계의 이해 ...
청소년지도방법론의 지적 토대를 이루는 경험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
[학습이론별 학습동기]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