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culture후 anti. (항생제로 안되면 스테로이드)
-환자는 보통 루틴으로 hourly urine check한다.(패혈증엔 저혈압→핍뇨.)
저혈압 쇼크를 방지하기위해 보통 dopa, dobuta를 인퓨전으로 달아줌.(혈압 상승 효과)
-V/S...셉틱 쇽이 일반 쇼크와 다른점은 BT가 증가해서 warm shock이 나타난다는 것.
(BP감소, PR증가, RR증가, BT증가)
Intubation(기관내 삽관)
순서
1)oxygenation (O2 full +ambu bagging)
2)laryngoscope blade를 handle에 끼움->insert
3)endotracheal tube, airway 준비
4)puspan에 saline
5)e-tube에 stylet 삽입 ->insert
6)e-tube insert후 stylet remove
7)10cc ballooning
8)airway 물림
9)청진
10)silk plaster로 고정
Motor function사정
CTD(chest tube drainage, closed thoracotomy drainage)
1)목적: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체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 & 폐를 재 팽창시켜 흉강 내 압력을 정상화하도록 하기 위함.
2)적응증: 흉곽수술 후, 기흉, 혈흉, 농흉, 수흉
3)삽입법: -공기제거시 : 쇄공중앙선에서 2번째 늑간에 삽입
-혈액 or 삼출물 제거시 : 후방 액와선에서 7-8 or 8-9늑간에 삽입
4)흉곽배액의 원리&구조
밀봉흉곽배액기구는 보통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 조절병’의 3가지로 구성됨.
(각 병의 관의 길이가 다름)
-배액병: 흉막강 내에 있는 공기와 혈액이 배액되는 곳
-밀봉병: 배액병에서 짧은 유리대롱을 통해 밀봉병의 길 투명관으로 이동시켜 air제거
-흡인압력조절병: 밀봉병과 조절병의 압력차 15cm H2O가 되도록 유지시켜 대기와 환자 흉막강
내의 압력이 음압이 되도록 함.
5)CTD의 종류
-one bottle system : 배액병만. 기흉일 때, air만 배액 가능.
-two bottle system : 배액병과 밀봉병. 체액, 삼출물, air배액 가능.
-three bottle system :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조절병. 배액, 압력조절 가능.
6)간호시 주의사항
-병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70-90cm아래에 둔다. (역류방지)
-환자의 자세는 semi-fowler‘s P (15도~30도)
-흉곽튜브 삽입 후 폐쇄드레싱
-밀봉병에서 물의파동(tidaling)이 있는지 관찰.(환자의 환기 반영, 튜브의 개방이 완전함)
-배액량(시간당 100ml이상 나오면 노티!), 색깔, 농도, 냄새 기록
-환자 호흡시 흉곽의 대칭적 팽창여부, 비정상호흡음 여부 관찰
-심호흡, 기침, 흉곽배액관쪽 어깨운동 격려 (합병증 예방)
-환자 곁에 켈리를 비치하여 환자 이동시에 이용.
-흉곽튜브 제거시: 물의 파동이 없어질 때.(폐가 재팽창 되었음을 의미)
이를 확인하기 위해 chest X-ray.
욕창단계 사정
-환자는 보통 루틴으로 hourly urine check한다.(패혈증엔 저혈압→핍뇨.)
저혈압 쇼크를 방지하기위해 보통 dopa, dobuta를 인퓨전으로 달아줌.(혈압 상승 효과)
-V/S...셉틱 쇽이 일반 쇼크와 다른점은 BT가 증가해서 warm shock이 나타난다는 것.
(BP감소, PR증가, RR증가, BT증가)
Intubation(기관내 삽관)
순서
1)oxygenation (O2 full +ambu bagging)
2)laryngoscope blade를 handle에 끼움->insert
3)endotracheal tube, airway 준비
4)puspan에 saline
5)e-tube에 stylet 삽입 ->insert
6)e-tube insert후 stylet remove
7)10cc ballooning
8)airway 물림
9)청진
10)silk plaster로 고정
Motor function사정
CTD(chest tube drainage, closed thoracotomy drainage)
1)목적: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체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 & 폐를 재 팽창시켜 흉강 내 압력을 정상화하도록 하기 위함.
2)적응증: 흉곽수술 후, 기흉, 혈흉, 농흉, 수흉
3)삽입법: -공기제거시 : 쇄공중앙선에서 2번째 늑간에 삽입
-혈액 or 삼출물 제거시 : 후방 액와선에서 7-8 or 8-9늑간에 삽입
4)흉곽배액의 원리&구조
밀봉흉곽배액기구는 보통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 조절병’의 3가지로 구성됨.
(각 병의 관의 길이가 다름)
-배액병: 흉막강 내에 있는 공기와 혈액이 배액되는 곳
-밀봉병: 배액병에서 짧은 유리대롱을 통해 밀봉병의 길 투명관으로 이동시켜 air제거
-흡인압력조절병: 밀봉병과 조절병의 압력차 15cm H2O가 되도록 유지시켜 대기와 환자 흉막강
내의 압력이 음압이 되도록 함.
5)CTD의 종류
-one bottle system : 배액병만. 기흉일 때, air만 배액 가능.
-two bottle system : 배액병과 밀봉병. 체액, 삼출물, air배액 가능.
-three bottle system : 배액병, 밀봉병, 흡인압력조절병. 배액, 압력조절 가능.
6)간호시 주의사항
-병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70-90cm아래에 둔다. (역류방지)
-환자의 자세는 semi-fowler‘s P (15도~30도)
-흉곽튜브 삽입 후 폐쇄드레싱
-밀봉병에서 물의파동(tidaling)이 있는지 관찰.(환자의 환기 반영, 튜브의 개방이 완전함)
-배액량(시간당 100ml이상 나오면 노티!), 색깔, 농도, 냄새 기록
-환자 호흡시 흉곽의 대칭적 팽창여부, 비정상호흡음 여부 관찰
-심호흡, 기침, 흉곽배액관쪽 어깨운동 격려 (합병증 예방)
-환자 곁에 켈리를 비치하여 환자 이동시에 이용.
-흉곽튜브 제거시: 물의 파동이 없어질 때.(폐가 재팽창 되었음을 의미)
이를 확인하기 위해 chest X-ray.
욕창단계 사정
추천자료
교육과정과 평가 1차 과정 - 제 7회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 계획안
국어학입문 제1장. 국어와 국어학 용어 용어정리사전
[과학과교수법]과학의 통념중에서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항목과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항목
[경영학과] 경영전략론 정리
[교육학] 캐럴(캐롤 Carroll)의 학교학습이론
[교육학과]사회복지관 및 평생교육 교육기관 분석및 프로그램분석. -아동 청소년 방과 후 교육 -
[교육평가]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의의와 필요성, 표준발음지도(표준발음교육) 내용, 표준발음지도...
[공부][공부 방법]공부의 방법, 공부의 적용, 공부와 예습, 공부와 독서방법, 공부와 국어공...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andura[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위장기능, 관장 (소화기능 – 위장기능, 금식, 관장, 장운동회복) [간호학]
신경계 병동 사전 레포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레포트(식품영양학과, 비만아동 영양교육, 교육방법 및 교수과정, 스프...
초/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보건교육 C형 2017년 중간과제물 레포트 그린의 PREC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