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텔(Raymond B. Cattell)의 특질 이론 {캐텔의 생애, 주요 개념, 성격 발달, 성격 평가기법, 성격이론의 적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캐텔(Raymond B. Cattell)의 특질 이론 {캐텔의 생애, 주요 개념, 성격 발달, 성격 평가기법, 성격이론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캐텔(Raymond B. Cattell, 1905~1998)의 생애

2. 주요 개념
1) 성격의 정의
2) 캐텔의 과학관
3) 특질의 종류
4) 역동적 특질 및 격자

3. 성격 발달
1) 유아기(0~6세)
2) 아동기(6~14세)
3) 청소년기(14세~23세)
4) 성인기(23~50세)
5) 성인후기(50~65세)
6) 노년기(65세 이후~)

4. 성격 평가기법
1) 생활기록법(L-date)
2) 질문지법(Q-date)
3) 검사법(T-date)
4) 16PF 검사

5. 성격이론의 적용

<캐텔에 대한 논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높은 점수의 연속선상에서 16가지 요인에 대한 점수에 따라 프로파일로 나타낸다.
※ 16PF의 요인 및 내용
요인
낮은 점수
높은 점수
AB
C
EFGHILMN
OQ₁Q₂Q₃Q₄
내성적인(reserved)
지능이 낮은(less intelligent)
정서적 불안정(emotional)
복종적인(submissive)
심각한(serious)
편의적인(expedient)
소심한(timid)
완고한(tough-minded)
신뢰하는(trusting)
실제적(practical)
솔직한(forthright)
자기-확신적(self-assured)
보수적인(conservative)
집단 의존적(group-dependent)
충동적인(impulsive)
이완된(relaxed)
사교적인(outgoing)
지능이 높은(more intelligent)
정서적 안정(emotionally stable)
지배적인(dominant)
낙천적인(happy-go-lucky)
양심적인(conscientious)
모험적인(adventurous)
부드러운(tender-minded)
의심 많은(suspicious)
상상적인(imaginative)
약삭빠른(shrewd)
걱정하는(apprehensive)
실험적인(experimenting)
자족적인(self-sufficient)
통제적인(controlled)
긴장한(tense)
5. 성격이론의 적용
캐텔의 특질이론은 이론이라 말하기 보다는 측정과 경험적 연구로, 광범위한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 방법인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그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16PF검사는 사람들의 성격평가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가 사용했던 방식과 유사하게 성격을 평가하고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캐텔은 성격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엄격한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론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양적 연구들을 실시한 결과에서 비롯한 캐텔의 이론은 성격을 연구하는 데 과학적 연구 방법의 대표적 사례가 되었다.
<캐텔에 대한 논평>
캐텔의 노력이 미친 광범위한 영향은 정말로 대단하다. 그의 연구는 성격 이론과 관련된다고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거의 모든 영역들에 닿아 있다. 캐텔은 성격의 유전적 기여를 결정하기 위한 기법뿐만 아니라 새로운 다변량 기법들의 개발에도 관심을 가겼다.
캐텔은 다변량 연구를 확장하고자 1960년대에 다변량 실험 연구 학회(SMEP)를 창립하기도 하였다. 미국에 있는 대부분의 요인분석 성격 연구자들은 명성 있는 이 학회의 회원이었다. 또한 캐텔은 비교 문화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하는데 힘을 쏟았다.
한 추종자는 “캐텔의 이론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인상적이다. 성격 연구에 대한 캐텔의 청사진은 어떤 다른 성격이론보다도 더 많은 경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대단히 풍부한 이론적 구조를 제공했다.”라고 하였다.
반면, 캐텔의 연구를 무시하는 성격 심리학자들도 있다. 이들은 캐텔이 사용한 검사들의 타당성, 요인분석에 대한 지나친 의존, 자료상의 정보를 지나치게 넘어서는 이론적인 추측들에 의문을 가졌다. 아이젠크가 그랬던 것처럼 캐텔도 자신의 자료를 자주 과장하였다. 불행하게도 캐텔은 자신의 관점에 너무 몰입하여 때때로 자신의 노력은 무비판적으로 추켜세웠던 반면 타인의 연구는 일방적으로 비난하였다. 예를 들어, 임상적 접근과 이원변량 접근의 장점은 평가 절하하고 다변량 접근의 장점은 과장하였다.
[참고문헌]
노안영, 강영신 공저, <성격심리학>, 학지사
이연수 외 공역, , 중앙적성출판사
홍숙기 저, <성격심리(하)>, 박영사
조현춘 외 공역, <성격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