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학 소묘(素描)
* 학습학의 안드라고지
1. 학습학을 복원시키게 만들어주는 실천적이고도 이론적인 단서는 안드라고지이다.
2. 현대 사회와 학습의 마이다스
3. 인간의 학습력과 학습본능
4. 학습의 난조와 쥐쌍스
5. “학습학”을 쓰는 이유들
* 학습학의 안드라고지
1. 학습학을 복원시키게 만들어주는 실천적이고도 이론적인 단서는 안드라고지이다.
2. 현대 사회와 학습의 마이다스
3. 인간의 학습력과 학습본능
4. 학습의 난조와 쥐쌍스
5. “학습학”을 쓰는 이유들
본문내용
다. 배움을 통해서 맛보는 성취감은 흔히 “쁠레시(Plaisir)"적인 것과 ”쥐쌍스(Jouissance)"적인 즐거움으로 대별된다. 쁠레시적인 학습은 습관적으로 경험하는 배움의 즐거움이나 일상적인 독서학습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같은 즐거움들이다. 쥐쌍스적인 학습은 보다 자연스러운 배움의 본질에 접근된 학습쾌락을 말한다.
5. “학습학”을 쓰는 이유들
똘레랑스(Tolerance)한다 = 내가 동의하지 않는 생각에도 지성적으로 용인한 것을 말한다. 앵똘레랑스는 “네 생각은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내 생각을 파괴하고 반대되는 비판을 조건없이 거부하며 그런 비판을 하는 너를 없애겠다는 말이다.
똘레랑의 인간은 자기와 뜻을 달리하는 사람과 뜻밖의 만남을 위해서도 미지의 것을 늘 준비하는 사람들이다.
5. “학습학”을 쓰는 이유들
똘레랑스(Tolerance)한다 = 내가 동의하지 않는 생각에도 지성적으로 용인한 것을 말한다. 앵똘레랑스는 “네 생각은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내 생각을 파괴하고 반대되는 비판을 조건없이 거부하며 그런 비판을 하는 너를 없애겠다는 말이다.
똘레랑의 인간은 자기와 뜻을 달리하는 사람과 뜻밖의 만남을 위해서도 미지의 것을 늘 준비하는 사람들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