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인적사항
2. 주요 문제
3. 현 문제 및 과거병력
4. 가족배경
5. Client의 강점과 약점
6.사정욕구틀
7. 개입내용
8.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2. 주요 문제
3. 현 문제 및 과거병력
4. 가족배경
5. Client의 강점과 약점
6.사정욕구틀
7. 개입내용
8.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본문내용
TV만 보는 것이 아니라 아들에게 하루일과를 물어볼 수 있고 며느리에게 반찬이야기를 할 수 있고 손자와 손녀에게도 여러 가지 이야기를 꺼내본다.
- 가족들에게 대화방법을 소개해준다. 노인과의 대화가 어려워서 대화가 단절될 수 있으므로 대화기법을 알려주고 교육시켜준다.
지역사회복지관
: 대화기법을 교육시켜주고 올바른 대화법을 알려준다.
2. 산책을 한다.
혼자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볼 수 있는 시도를 해본다. 그 후에 가족에게 요청을 해 볼 수 있다.
- 가족들이 없는 시간이 낮이므로 요청할 상대가 없다. 자원봉사자를 투입해 정기적으로 산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지역사회복지관
: 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투입시켜준다.
8.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1) 대화의 시간을 가진다.
- 혼자 있는 시간에 TV로 듣기만 하고 대화상대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우울증이 오게 되고 자아존중감이 낮아졌다. 손자들을 자신이 키워주고 돌봐줬는데 이제 돌봐줄 사람이 없고 자신이 돌봄을 받아야할 입장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거기에서 오는 상실감도 큰 이유이다. 혼자서 자신은 항상 외톨이고 존재자체도 부정하고 혼자만의 생각에 자꾸 빠져든다.
▷ 장기목표 - 자아존중감 향상
▷ 단기목표 - ① Client가 가족들에게는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해 주어야 한다.
: 가족들은 항상 Client를 염두에 두어 행동을 한다. ② 외출을 할 때나 돌아왔을 때 눈을 마주치며 인사를 한다.
③ 모르는 것은 Client에게 먼저 물어본다.
: 삶의 지혜라든지 일본어를 물어본다.
④ TV를 보는 것보다 Client와 대화하는 것이 더 즐겁다는 것을 표현한다.
⑤ 일상의 사소한 것들도 즐겁게 이야기를 한다.
2) 산책을 한다.
- 다리가 아프고 몸이 아파 밖에 나가본지가 오래된 Client는 TV로 여행프로그램만을 즐겨본다. 대리만족이라고 생각하면서 “저 곳은 참 공기도 좋을 것이다.”라는 말을 하면서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맺힌다. 몸과 마음이 허약해진 Client는 조그만 일에도 상처를 받고 자신을 비하한다. “밖에 다니지도 못하는 사람이 먹을 줄만 안다.”며 넋두리를 한다.
▷ 장기목표 - 우울감 해소
▷ 단기목표 - ① 지팡이를 짚고 나설 수 있도록 한다.
② 혼자서 힘들다면 가족들이 부축을 해서 같이 걸을 수 있도록 한다.
③ 낮에 주로 혼자 있기 때문에 그 낮 시간에 자원봉사자를 파견해서 산책 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 가족들에게 대화방법을 소개해준다. 노인과의 대화가 어려워서 대화가 단절될 수 있으므로 대화기법을 알려주고 교육시켜준다.
지역사회복지관
: 대화기법을 교육시켜주고 올바른 대화법을 알려준다.
2. 산책을 한다.
혼자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볼 수 있는 시도를 해본다. 그 후에 가족에게 요청을 해 볼 수 있다.
- 가족들이 없는 시간이 낮이므로 요청할 상대가 없다. 자원봉사자를 투입해 정기적으로 산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지역사회복지관
: 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투입시켜준다.
8. 장기목표 및 단기목표
1) 대화의 시간을 가진다.
- 혼자 있는 시간에 TV로 듣기만 하고 대화상대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우울증이 오게 되고 자아존중감이 낮아졌다. 손자들을 자신이 키워주고 돌봐줬는데 이제 돌봐줄 사람이 없고 자신이 돌봄을 받아야할 입장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거기에서 오는 상실감도 큰 이유이다. 혼자서 자신은 항상 외톨이고 존재자체도 부정하고 혼자만의 생각에 자꾸 빠져든다.
▷ 장기목표 - 자아존중감 향상
▷ 단기목표 - ① Client가 가족들에게는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해 주어야 한다.
: 가족들은 항상 Client를 염두에 두어 행동을 한다. ② 외출을 할 때나 돌아왔을 때 눈을 마주치며 인사를 한다.
③ 모르는 것은 Client에게 먼저 물어본다.
: 삶의 지혜라든지 일본어를 물어본다.
④ TV를 보는 것보다 Client와 대화하는 것이 더 즐겁다는 것을 표현한다.
⑤ 일상의 사소한 것들도 즐겁게 이야기를 한다.
2) 산책을 한다.
- 다리가 아프고 몸이 아파 밖에 나가본지가 오래된 Client는 TV로 여행프로그램만을 즐겨본다. 대리만족이라고 생각하면서 “저 곳은 참 공기도 좋을 것이다.”라는 말을 하면서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맺힌다. 몸과 마음이 허약해진 Client는 조그만 일에도 상처를 받고 자신을 비하한다. “밖에 다니지도 못하는 사람이 먹을 줄만 안다.”며 넋두리를 한다.
▷ 장기목표 - 우울감 해소
▷ 단기목표 - ① 지팡이를 짚고 나설 수 있도록 한다.
② 혼자서 힘들다면 가족들이 부축을 해서 같이 걸을 수 있도록 한다.
③ 낮에 주로 혼자 있기 때문에 그 낮 시간에 자원봉사자를 파견해서 산책 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작업치료의 영역과 역할
재가 노인복지서비스
재가노인복지에 관하여
복지실천론(사례분석)
사회복지상담이론-심리사회모델
신라 호텔 마케팅
지역사회복지와 사례관리
[사회복지실습] 사례관리 계획서 - 지역아동센터
가족사정
정신장애, 정신분열병관련 영화감상문 <처음 만나는 자유(Girl, Interrupted)>을 보고
정신보건사회복지-심리사회적사정 양식
[원서번역]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저자- Dean H. Hepworth) 8장 A...
심리사회적 모델 이론적 기반
간호계획의 정의,간호계획의 목적,간호계획의 종류,간호계획 과정,간호계획 체계,간호진단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