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화학 안에서의 약속
1. 원자, 이온
2. 주기율표
3. 화학식
4. 산화ㆍ환원 반응
1. 원자, 이온
2. 주기율표
3. 화학식
4. 산화ㆍ환원 반응
본문내용
: 원자번호 - 10
여러 가지 이온의 반응식 예시
Na+ + Cl- → NaCl (염화나트륨)
Ca2+ + 2Cl- → CaCl2 (염화칼슘)
Al3+ + 3Cl- → AlCl3 (염화알루미늄)
2Li+ + O2- → Li2O (산화리튬)
Ca2+ + O2- → CaO (산화칼슘)
※ 음이온은 ‘~화 이온’ 이라고 불러주며 ‘소’는 제외한다.
- 전이금속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2가 양이온으로 생각한다 (Fe2+, Cu2+, Sn2+, Zn2+, Ag+ 등)
- 예외의 경우에는 전자의 개수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Fe2O3, CuCl, CuCl2 등)
다원자 이온 (여러가지 원자가 결합해 형성한 이온)
종 류
OH- (수산화이온) H3O+ (옥소늄이온) NO3- (질산이온) NH4+ (암모늄이온)
PO43+ (인산이온) CH3COO- (아세트산이온) SO42- (황산이온) CO32- (탄산이온)
이온
결합
Na+ + OH- → NaOH (수산화나트륨)
Ca2+ + 2OH- → Ca(OH)2 (수산화칼슘)
Al3+ + 3OH- → Al(OH)3 (수산화알루미늄)
2Na+ + CO32- → Na2CO3 (탄산칼슘)
2H+ + SO42- → H2SO4 (황산)
4. 금속과 비금속
- 금속 : 양이온이 되려고 하는 성질이 강함 (전자를 잘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쉽고, 산화되기 쉬움)
- 비금속 : 음이온이 되려고 하는 성질이 강함 (전자를 잘 얻고, 음이온이 되기 쉽고, 환원되기 쉬움)
○ 산화ㆍ환원 반응
1. 산화와 환원의 정의
- 산화 : 산소와 결합하는 것, 전자를 잃는 것 (산소는 플루오린 다음으로 전자를 얻는 성질이 강함)환원력이 강한 환원제의 역할 (자신은 산화되면서 다른 것을 환원시키는 성질)
- 환원 : 산소와 분리되는 것, 전자를 얻는 것산화력이 강한 산화제의 역할 (자신은 환원되면서 다른 것을 산화시키는 성질)
2. 산화ㆍ환원 반응의 예
산화ㆍ환원 반응
산화(환원제)
CuO
+
CO
→
Cu
+
CO2
환원(산화제)
- 산소와의 결합과 분리로 산화와 환원이 결정된다.
산화(환원제)
CuSO4
+
Zn
→
Cu
+
ZnSO4
환원(산화제)
- 금속의 반응성은 ‘Zn’이 ‘Cu’보다 크다 (같은 말로 환원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산화(환원제)
Cl2
+
2KBr
→
2KCl
+
Br2
환원(산화제)
- 비금속의 반응성은 ‘Cl’이 ‘Br’보다 크다 (같은 말로 산화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이온의 반응식 예시
Na+ + Cl- → NaCl (염화나트륨)
Ca2+ + 2Cl- → CaCl2 (염화칼슘)
Al3+ + 3Cl- → AlCl3 (염화알루미늄)
2Li+ + O2- → Li2O (산화리튬)
Ca2+ + O2- → CaO (산화칼슘)
※ 음이온은 ‘~화 이온’ 이라고 불러주며 ‘소’는 제외한다.
- 전이금속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2가 양이온으로 생각한다 (Fe2+, Cu2+, Sn2+, Zn2+, Ag+ 등)
- 예외의 경우에는 전자의 개수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Fe2O3, CuCl, CuCl2 등)
다원자 이온 (여러가지 원자가 결합해 형성한 이온)
종 류
OH- (수산화이온) H3O+ (옥소늄이온) NO3- (질산이온) NH4+ (암모늄이온)
PO43+ (인산이온) CH3COO- (아세트산이온) SO42- (황산이온) CO32- (탄산이온)
이온
결합
Na+ + OH- → NaOH (수산화나트륨)
Ca2+ + 2OH- → Ca(OH)2 (수산화칼슘)
Al3+ + 3OH- → Al(OH)3 (수산화알루미늄)
2Na+ + CO32- → Na2CO3 (탄산칼슘)
2H+ + SO42- → H2SO4 (황산)
4. 금속과 비금속
- 금속 : 양이온이 되려고 하는 성질이 강함 (전자를 잘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쉽고, 산화되기 쉬움)
- 비금속 : 음이온이 되려고 하는 성질이 강함 (전자를 잘 얻고, 음이온이 되기 쉽고, 환원되기 쉬움)
○ 산화ㆍ환원 반응
1. 산화와 환원의 정의
- 산화 : 산소와 결합하는 것, 전자를 잃는 것 (산소는 플루오린 다음으로 전자를 얻는 성질이 강함)환원력이 강한 환원제의 역할 (자신은 산화되면서 다른 것을 환원시키는 성질)
- 환원 : 산소와 분리되는 것, 전자를 얻는 것산화력이 강한 산화제의 역할 (자신은 환원되면서 다른 것을 산화시키는 성질)
2. 산화ㆍ환원 반응의 예
산화ㆍ환원 반응
산화(환원제)
CuO
+
CO
→
Cu
+
CO2
환원(산화제)
- 산소와의 결합과 분리로 산화와 환원이 결정된다.
산화(환원제)
CuSO4
+
Zn
→
Cu
+
ZnSO4
환원(산화제)
- 금속의 반응성은 ‘Zn’이 ‘Cu’보다 크다 (같은 말로 환원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산화(환원제)
Cl2
+
2KBr
→
2KCl
+
Br2
환원(산화제)
- 비금속의 반응성은 ‘Cl’이 ‘Br’보다 크다 (같은 말로 산화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화학에너지
유기화학실험(아닐린, Novolac형 Bakelite, Resite형 Bakelite)
일반화학실험-결정장 갈라짐 에너지의 측정
화학적 접근을 통한 대기 오염
화학 교육 과정의 변천
화학적 기상 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CVD) (친절한 설명과 핵심적인 내용을 논문 ...
화학공정실험 시계반응
일반화학 요약집
수질화학 및 실험 - ph[용액속의 수소 이온의 농도]측정, 산.염기성 판단, 물의 특성
분석화학실험 - 전위차법
유기화학실험 -Nitrobromobenzene 의 제조와 분리
이수화학 자소서 및 면접자료, 기업분석
화학 및 실험 - 에탄올과 부탄가스의 몰 질량 측정
화학공학 실험 - 활성탄 실험
소개글